Democracy, The Media and Discourse Politics -Case Study about Media's Intervention in Representing Labor Strikes

민주주의, 언론 그리고 담론정치 -파업에 대한 미디어 프레임 변화를 중심으로

  • Choi, Jong Hwan (Dept. of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Daegu University) ;
  • Kim, Sung Hae (Dept. of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Daegu University)
  • 최종환 (대구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 김성해 (대구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Received : 2014.03.02
  • Accepted : 2014.07.25
  • Published : 2014.08.15

Abstract

Public opinion has dramatically shifted from positive to negative in Korea society especially since the IMF crisis. Such terms as 'aristocratic union', 'collectivism', 'damages on public interest' became a kind of conventional wisdom. Undoubtedly, media's representation has much to do with such a tantamount difference. This study thus attempts to understand the mechanism by analyzing media discourse related to labor strike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made a choice three cases including doctor-pharmacist dispute, general strike by truckers' solidarity, and Ssangyong Motor's strike. Total 217 editorial pieces of , and conceived to be a representative newspaper of ideological stance were analyzed. Research showed that while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demoralizing labor strikes, shed positive light on such disputes by articulating fundamental causes hampered by pro-capital policies along with anti-labor law enforcement. The believed to be relatively a neutral one showed ambivalent attitudes toward those cases. More favorable and inclusive reporting were found in accordance with policy shifts as well. Media's selective partisanship for the sake of private interests is firmly believed to downgrading credibility on Korean journalism. Also is fair, balanced and less biased reporting over socal disputes a vital part in crystallizing social consensus. In this consideration, the authors hoped this study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contemplate on what would be desirable journalistic values in modern democracy.

1987년 6월 민주항쟁이후 한국의 민주주의는 많은 굴곡을 겪고 있다. 민주화 직후 국민적 공감대를 받았던 노동자 파업은 외환위기를 계기로 '귀족노조', '집단이기주의', '공익훼손' 과 같은 부정적 인식에 시달리고 있다. 담론 생산자 및 유통자로서 언론은 노동운동에 대한 국민의 부정적 인식과 정서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과연 언론은 노동운동을 어떻게 재구성하고 있을까? 노동운동에 대한 미디어 담론은 언론사별로, 정권별로 어떤 차이가 있으며 어떤 변화를 겪고 있을까?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에서 출발했으며 공정하고 균형 있는 중재자로서 언론의 규범적 가치를 성찰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분석사례로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정부 기간 동안 파장이 컸던 의약분업, 화물연대, 쌍용차, 철도노조 파업을 선정했다. 분석대상은 "동아일보", "서울신문", "한겨례" 등 종합지에 등장한 사설 217개였다. 전반적으로 "동아일보"는 분쟁의 원인보다는 기득권과 기존질서를 옹호하는 입장이 강했다. "서울신문"은 원만한 문제해결을 위해 상호간 합의를 강조했으며 폭력적인 정부와 노조의 불법 행위 모두를 비판했다. "한겨례" 신문은 정부 비판에 집중하면서 원론적 수준의 대안을 강조했다. 분석결과 언론은 정부별 국정방향에 영향을 받았으며, 자의적으로 의제를 확대 재생산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진은 이 연구를 통해 언론을 통한 담론정치의 실체를 드러내고 건전한 민주주의를 위한 언론의 역할을 고민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정권별 이해관계와 언론사의 정파성 등이 담론을 통해 정치적 영향력을 발휘하게 되는 메카니즘을 보여줌으로써 미디어 담론에 대한 성찰의 기회를 제공했다는 것도 이 연구의 의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