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ocial Network Characteristics in Press Organizations of Korea

국내 언론사 조직에 내재한 사회적 네트워크 특성 연구 -국민정부에서 실용정부까지 신문사와 방송사 조직에서의 밀도 및 위치 분석을 중심으로

  • Kwon, Jang-Wo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 Advertising,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권장원 (대구가톨릭대학교 언론광고학부)
  • Received : 2013.12.01
  • Accepted : 2014.07.25
  • Published : 2014.08.15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implications, and problems of Social Network of Press Organizations from the Kim Dae-jung administration to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in Korea. For analyzing these issues,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traits of social network structure based on the density analysis, distribution character analysis and correspondence analysis in each and among regimes.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study utilizes human relationship data which related to personal network aspects (place of birth, affiliated college) and expertise aspects (types of major field), and which data has been gathered from the biographical web-site of Press Organizations in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mbership format of each Press Organizations depends on the connection with political environment directly and indirectly. Especially, the network traits of Broadcasting Press Organizations stands out a place of birth aspect. This findings indicate that the broadcasting policy reality that the path of decision making is connected with the political environment is more effective.

본 연구에서는 국민정부에서 실용정부에 이르기까지 정권 교체에 따라 신문사 조직과 방송사 조직을 이사진과 실무진으로 구분, 조직 내, 조직 간의 특성을 밀도 분석과 분포 분석, 대응 일치 분석 등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언론 환경에서 형성되어 온 사회적 네트워크 특성과 그 변화 경향이 정권 교체에 따라 어떠한 특성과 변화 경향을 보이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앞서 설정한 시점에서 과연 연고 조직의 영향력이 여전히 지속될 수 있는 여건을 유지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국내 언론사가 내집단 중심의 폐쇄적인 특징으로부터 벗어나 공동체 중심의 사회적 자본으로 전환될 수 있는 환경 변화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집중하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으로 설정한 정권에서, 밀도와 분포 분석을 통한 집중 경향과 대응일치분석 방법을 통해 위치 분석 등 다각도의 방법론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 참여정부에서는 국민정부에서와는 달리 변화 경향을 엿볼 수 있었지만, 실용정부에서는 참여정부 이전 정권에서의 사회적 네트워크 특성과 유사한 형태로 회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