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study of radial nerve injury associated with humerus shaft fracture

상완골 간부 골절에 동반된 요골신경손상에 대한 치험 1례

  • Lee, Jae-Eun (Dept of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Lee, Jung-Min (Dept of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Oh, Min-Seok (Dept of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이재은 (대전대학교 부속 둔산 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 교실) ;
  • 이정민 (대전대학교 부속 둔산 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 교실) ;
  • 오민석 (대전대학교 부속 둔산 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 교실)
  • Received : 2014.07.05
  • Accepted : 2014.07.27
  • Published : 2014.08.20

Abstract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patient with radial nerve injury associated with humerus shaft fracture, who was improved by Korean medical treatments. Methods : The patient was treated by Jungsongouhyul pharmacopuncture, 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physical therapy, and herbal medicine according to "Locating Yang brightness meridians" theory. Coding result, Numeric rating scale(NRS) and digital grip dynamometer were used to evaluate the wrist drop, numbness of fingers and grip power. Results : The patient showed the first sign of recovery after 6 weeks from onset. After 9 weeks from onset, the patient could perform delicate manual activity. Grip power showed noticeable improvement as well as coding result and NRS. Conclusions : The results suggest that providing Korean medical treatments according to "Locating Yang brightness meridians" theory is a good method for treating radial nerve injury associated with humerus shaft fracture. But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concretely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is method for treating radial nerve injury associated with humerus fracture.

상완골 간부 골절에 동반된 요골신경 손상을 가진 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내경(內經)"의 독취양명치법(獨取陽明治法)에 따라 침구치료, 약침치료, 물리치료와 한약치료를 병행하였다. 손목관절의 하수 및 근력약화에 대한 치료성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완관절의 운동범위와 능동저항검사를 통한 상대적인 지수를 평가하였으며, 요골신경마비로 인한 장악력의 약화정도는 악력측정기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수지의 비증의 정도는 Numeric Rating Sclae(NRS) 사정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환자는 발병일로부터 약 6주째에 첫 회복징후를 보이기 시작하였으며, 발병이로부터 약 11.5주째에 가벼운 물건에 대한 집게운동이 가능하며 일상생활을 하는데에 큰 지장이 없는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이는 상완골 간부 골절이 동반된 요골신경손상의 자연회복시기보다 빠른 것으로, "내경(內經)"의 독취양명치법(獨取陽明治法)에 따른 한방치료요법이 상완골 골절에 동반된 요골신경손상의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한태륜, 방문석. 재활의학. 셋째판, 서울, 군자출판사, p.975. 2011.
  2. Robert K. Sinder MD. Essentials of Mucoskeletal care. 서울, 도서출판 한우리, pp.147-150. 2009.
  3. 이문호, 김경식. 요골신경마비의 침구치료에 관한 문헌적 고찰. 침구학회지. 11(1):451-564, 1994.
  4. 권영달, 박용헌, 이종덕, 송용선. 요골신경마비의 임상적 고찰. 한방재활의학회지. 8(2) :372-37, 1998..
  5. 김은미, 박영수, 허윤경, 송현근, 최가원, 김정호, 김영일, 홍권의, 이현, 임윤경. 內經의 獨取陽明理論으로 치료한 요골신경마비 환자 7례에 대한 증례보고. 대한침구학회지. 22(5):167-174, 2005.
  6. 이세연, 이경민, 정태영, 서정철, 한상원. 요골신경마비의 치험 1례. 대한 침구학회지. 20(1): 236-243, 2003.
  7. 서정철, 이윤경, 임성철, 정태영, 한상원. 오공 약침을 병행한 요골신경마비 치험 1례. 대한약침학회지. 8(2):91-95, 2005.
  8. 임청산, 유영진, 권기록. 침치료와 효소제거 봉독요법 집중치료의 압박성 요골신경마비 환자에 대한 증례보고. 대한침구학회지. 26(6):241-249, 2005.
  9. 최은희, 천혜선, 이주희, 류혜선, 양동선, 홍석. 중성어혈 약침치료를 병행한 요골신경바미 환자 치험 4례. 대한약침학회지. 14(4):63-70, 2011.
  10. 황욱, 김정신, 배기태, 남상수, 김용석. 침과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으로 치료한 요골신경마비에 대한 보고. 대한침구학회지. 21(6):249-257, 2004.
  11. 한영길, 나수균, 최창욱. 요골신경마비 및 수지신전건 손상 환자의 건전이술에 의한 치료. 대한정형외과학회지. 7(1):287-306, 1997.
  12. Ruth E. M. Bowden and J. R. Napier. The assessment of hand function afetr peripheral nerve injury. The journal of bond and joint surgery. 43(B):481-492, 1961.
  13. 정운규, 김민영, 김진수, 최영일, 최희승, 조태영. 금출도담탕을 투여한 어깨 충돌증후군 환자 치험 3례.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7(1):85-94, 2012.
  14. Arthur Holstein and Gwilym B. Lewis. Fractures of the humerus with radial-nerve paralysis. The journal of bond and joint surgery. 45(A):1382-1388, 1963.
  15. 김효수, 김일환, 위통순. 봉약침요법을 이용한 요골신경마비 치험 3례. 대한약침학회. 7(2):75-81, 2004.
  16. 대한정형외과학회. 대한정형외과학. 제 6판, 서울, 최신의학사, pp.874-875. 2006.
  17. 한방재활의학과학회. 한방재활의학. 제 3판, 서울 군자출판사, pp.155-157. 2011.
  18. 김성준, 김태승, 이광현, 이도경, 김병석. 상완골 간부골절에 동반된 요골 신경마비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정형외과학회지. 27(1):382-390,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