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독서능력에 대한 독서환경, 독서경험, 독서교육의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 -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that Affect Students' Reading Ability - focused on Jeollabuk-do

  • 김성준 (전북 이리여자고등학교)
  • 투고 : 2014.05.21
  • 심사 : 2014.06.11
  • 발행 : 2014.06.30

초록

이 연구는 전라북도 학생 1,285명의 독서능력, 독서환경, 독서경험, 독서교육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해 현재의 독서수준을 진단하고, 종속변수인 학생의 독서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나머지 3변수 사이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학생 독서능력의 신장방안을 모색하였다. 통계분석 결과를 통해 도출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전반적인 독서수준 중에서 독서경험 즉, 독서량과 독서시간의 수준은 다른 변수에 비해 상당부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은 중 고등학생에 비해 보다 높은 수준의 독서생활을 영위하고 있지만 학생의 학령이 높아짐에 따라 전반적인 독서수준은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다. 셋째, 인과관계 분석에서 독서환경은 독서교육에, 독서교육은 독서경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학생의 독서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는 독서교육 보다 독서경험의 영향력이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통계분석을 통해 학생의 독서능력 신장을 위해 독서경험 확대와 독서교육의 체계화가 중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an actual condition of students' reading through the survey from 1,285 students in Jeollabuk-do and analysed the casual relationships which affect students' reading ability. 4 variables selected in this study are students' reading ability, reading environment, reading education and reading experiences. The results are as follow: the level of students' reading experience which means the number of books they read and time they consumed for reading is very low compared to the other variables. The reading level of elementary students is revealed higher than tha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found out through the analysis are that reading education is influenced by reading environment, reading experience is affected by reading education and eventually reading ability is mainly affected by students' reading experience. Through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d that expansion of students' reading experience and systematization of reading education are needed to strengthen their reading ability effectivel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경일. "초, 중 고교생 및 성인의 독서실태." 도협월보, 제13권, 제5호(1972), pp.16-22.(Kim, Kyung-Il. "A Survey of Reading Trends in Korea." Dohyeobwolbo, Vol.13. No.5(1972), pp.16-22.)
  2. 김계수. AMOS 16.0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서울 : 한나래, 2007.(Kim, Kye-Su. AMOS 16.0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Seoul : Hannarae, 2007)
  3. 김종성. "학교도서관 전담 전문인력이 학생 독서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8권, 제1호(2007. 3), pp.173-194.(Kim, Jong-Sung.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chool Librarian on Students' Reading Behavior -With Special Reference to Daegu-."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38, No.1(2007), pp.173-194.)
  4. 문화체육관광부. 2013년 국민 독서실태 조사. 서울 : 문화체육관광부, 2013.(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3 Gungmin Dokseosiltae Josa. Seoul :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3.)
  5. 변우열. 독서교육의 이해. 고양 : 조은글터, 2009.(Byun, Woo-Yeoul. Introduction to Reading Education. Goyang : Joeungeulteo, 2009.)
  6. 변우열, 이병기. "학교도서관 중심의 독서교육 내용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7권, 제4호(2006), pp.111-141.(Byun, Woo-Yeoul & Byeong-Ki Lee. "A Study on the Scope and Sequence of Reading Education in School Librar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37, No.4(2006), pp.111-141.)
  7. 이만수. "대학생의 독서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 D대학교 신입생 독서실태를 중심으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5권, 제1호(2004. 3), pp.155-185.(Lee, Man-Soo. "A Study on the Reading Education Method of University Student."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35, No.1(2004), pp.155-185.)
  8. 이학식, 임지훈.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7.0. 파주 : 법문사, 2008.(Lee, Hak-Shik & Ji-Hun Im.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AMOS 7.0. Paju : Beommunsa, 2008.)
  9. 전라북도교육청 홈페이지. "2013년 교육행정자료" [인용 2013. 7. 10].(Jeollabukdo Office of Education Homepage. 2013Nyeon Gyoyukhaengjeongjaryo [cited 2013. 7. 10])
  10. 정대근. 청소년의 독서유효성 영향요인 연구.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문헌정보학과, 2014.(Jeong, Dae-Keun.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Adolescent' Reading Effectiveness. Ph. D. Dissertation,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Graduate Scho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14..)
  11. 최영임, 한복희. "학습만화를활용한효율적인독서지도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3권, 제1호 (2009. 3), pp.251-270.(Choi, Young-Im & Bock-Hee Hahn. "A Study on the Plans of Efficient Reading Guidance through a Studying Carto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43, No.1(2009), pp.251-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