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호산청일기(護産廳日記)』를 통해 본 조선왕실출산(朝鮮王室出産)의 의학적처치(醫學的處置)와 의철학(醫哲學)에 대한 고찰(考察)

通过 ≪护产厅日记≫ 对朝鲜王室关于分娩的 医学处置以及医学哲学的考察

  • 류정아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 투고 : 2014.05.09
  • 심사 : 2014.05.23
  • 발행 : 2014.05.31

초록

연구목적 : 조선(朝鮮) 왕실자녀(王室子女)의 출산과정을 일지(日誌) 형식으로 기록한 "호산청일기(護産廳日記)"는 후기 조선(朝鮮)의 임산(臨産)과 분만, 산후 및 신생아 증상에 대한 의학적 처치 및 산실배설(産室排設)과 출산의례를 고찰할 수 있는 가치 있는 의학사료(醫學史料)이다. 연구방법 : 1. "호산청일기(護産廳日記)"에 기록된 세 번의 출산에 대해 출산 전후 산부(産婦)와 신생아의 실제 상황과 증상, 의관(醫官)의 판단과 치법(治法), 처방(處方)내용, 치료경과 등 의학적 처지의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당시 산과의학(産科醫學)의 경향성, 발달정도 등을 가늠해보았다. 2. "호산청일기(護産廳日記)"에 기록된 세 번의 출산에 대해 조선왕실(朝鮮王室)의 출산형식 및 관련의례에 드러난 당시 의학의 출산에 대한 의철학(醫哲學)이 어떠하였는지 고찰하였다. 결과 및 결론 : 산전(産前) 의관(醫官)의 정기문진으로 산모와 의사 간 관계형성 및 산부(産婦)의 안정을 도모하였으며, 의녀(醫女)의 진찰소견을 의관(醫官)이 판단하여 처방하였다. 임산(臨産)에 불수산(佛手散)과 인삼차(人蔘茶), 산후어혈증(産後瘀血症)에 가미궁귀탕(加味芎歸湯)을 빈용(頻用)하였으며, 화반곽탕(和飯藿湯)의 식치(食治)가 주요 산후조리법이었다. 신생아의 구급(救急)에 특히 우황(牛黃)을 빈용(頻用)하고 증상에 따라 유모(乳母)가 복약(服藥)하기도 하였으나, 조산(早産)된 신생아의 청색증(靑色症)(cyanosis)으로 보이는 증후(症候)와 사망례(死亡例)가 보인다. 산실배설(産室排設) 및 현초(懸草), 권초제(捲草祭) 등 관련의례에는 출산을 '하늘과 직접 소통하는 하나의 의례(儀禮)'로 생각하여 외부 환경의 방해 없이 산부(産婦)와 신생아의 천계(天癸)가 잘 작동하도록 배려한 의철학(醫哲學)이 드러나 있다.

키워드

참고문헌

  1. 护产厅(朝鲜)编. 护产厅日记. 1693-1698(肃宗19-24)写. 韩国学电子图书馆MF35-1917.
  2. 李王职 编. 大君公主御诞生的制. 1920-1935写. 韩国学电子图书馆MF35-696.
  3. 韩国学中央研究院 藏书阁 编. 朝鲜王室的分娩文化. 首尔 : 이회文化社. 2005.
  4. 国立文化遗产研究所. 国译 护产厅日记. 首尔 : 民俗院. 2007.
  5. 신명호 著. 朝鲜王室的仪礼及生活. 서울 : 돌베개. 2002.
  6. 许浚 著. 东医文献研究室 译. 新增补对译 东医宝鉴. 首尔 : 法人文化社. 2012.
  7. 金志荣. 朝鲜王室的分娩文化研究. 韩国学中央研究院博士学位论文. 2010.
  8. 신명호. 朝鲜时代宫中的分娩风俗及宫中医学. 古文书研究. 2002 ; 21.
  9. 백옥경. 关于朝鲜时代分娩的认识及其实际. 梨花史学研究. 2007 ; 34.
  10. 김호. 朝鲜后期王室的分娩指南书:临散豫智法. 医史学. 2004 ; 13(2).
  11. 윤성민, 강한주, 정우석, 장명준. 关于传统分娩法的文献考察. 大韩医疗气功学会誌. 2009 ; 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