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Methods and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ized Representation of Traditional Features Adopted in Guest Rooms of Modern Hotels - Focus on a Comparative Field Study of Five-star Hotels in Metropolitan Cities in Korea, China and Japan -

현대 호텔객실에 적용된 전통의 현대화 표현방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한, 중, 일 도심 특1급 호텔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 Received : 2012.05.30
  • Accepted : 2014.08.01
  • Published : 2014.08.30

Abstract

Seoul is entering an era of 20 million tourists, which has been driven by the widespread adoption of five-day workweek and the ever-increasing foreign tourists seeking for personal experience of Korean culture. This is the right time in this sense to bring some changes into the modern hotel rooms, since they are the very front lines that the Korean traditions can be disseminated along. This study attempts to extract traditional expressive factors residing in guest rooms and to suggest the modernization methods applicable to Seoul five-star hotel rooms through an in-depth study on how the traditional factors can be expressed effectively in modern fashion. This study unfolds its attempt as follows: The factors that can express traditional aspects in guest rooms are extracted first, and the standard analytic tools are set up using the modernization method of traditional factors, such as reproduction, alteration and reinterpretation of original forms. Adopting those standard tools from the modernization method of traditional factors the guest rooms of hotels in Korea, China, and Japan are examined comparatively, and the patterns in expressing the traditional factors are analyzed for all sample hotels. Finally, based upon these we propose some guidelines and data necessary for the effective modernized representation of traditional factors, which can be applicable to domestic hotels.

Keywords

References

  1. 전병직, 호텔 건축 계획, 세진사, 1998
  2. 유영희, 실내건축디자인을 위한 한국성 디자인,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석논, 2005
  3. 권영걸, 공간디자인 16강, 국제사, 2001
  4. 박영순, 이현주, 색채와 디자인, 교문사, 1998
  5. 전경희, 한국 현대 실내공간의 전통성 표현 경향에 관한 연구: 전통의 장요소 적응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5
  6. 이숙경, 한국 현대 실내 디자인에서 한국성 표현 방법에 관한 연구:1990년대 이후 주요 작가작품의 디자인 방법 분석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석논, 2006
  7. 김정아, 호텔 객실 디자인에 내재된 상징적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009
  8. 권영걸, 한중일 전통공간의 조영정신과 방법에 관한 비교연구, 고려대학교 박사 논문, 2001
  9. 김연정, 동서양 전통적인 주택 양식의 실내 공간 특성 비교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 논문, 1999
  10. 이현주, 국내 호텔 객실에 나타난 디자인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실내디자인학회, 2007
  11. 최효선,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한 호텔 비즈 니스센터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공간디자인학회, 2008
  12. 이민아, 현대 공간의 전통 요소에 대한 사용자 인식과 태도: 전문잡지의 내용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2010
  13. 최상헌, 전통성, 한국성 그리고 한국 현대 실내 디자인, 실내디자인학회, 2001
  14. 홍진영, 호텔 로비공간에서의 전통성 표현에 관한 연구-국내 외 특급호텔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석논, 2000
  15. 신미옥, 현대 실내 공간에 반영된 전통성의 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