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esign Strategic of Public Space in Urban Housing for Sustainable Cities - focused on prizewinner of the Europan 11 -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한 도시주거 공공공간의 디자인 전략에 관한 연구 - 유로판 11의 당선작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4.03.03
  • Accepted : 2014.07.21
  • Published : 2014.08.30

Abstract

The public space in urban housing, which is planned as utilization of unused area in the inner city has the potential for sustainable city and it can revitalize the whole area. This study is focused on prizewinner of the Europan 11. The design strategy of public space in urban housing for sustainable cities is linked to urban development project of city and local government, which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area. And also natural environmental, social, economic factor for sustainability are integrated in the design strategic. It shows up in form of ambiguous boundary between city and public space for reconnecting to urban fabric. The natural environment of local area shows up in form of shared nature and it is integrated in community space for revitalization of local communities. To consider natural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the transformation by natural rhythm is integrated in exterior space for coexistence of nature and city. The design strategy for social sustainability appears in many different forms in connection with the community programs for the revitalization of local community. For the economic sustainability there are also diverse ideas to reinforce the regional competitiveness with the identification of local specificities.

Keywords

References

  1. 도경미, 남용훈, 신중진, 공공성 증진을 위한 도시주거로서의 공동주택 계획기법 연구, 도시설계학회춘계학술발표대회, 2004
  2. 김은주,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공동주거의 외부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2010
  3. 김수암, 환경적 건축의 계획과 설계, <건축>, 1997.12
  4. 임상인, 지속가능 개념을 도입한 주거단지의 계획특성과 '패턴언어' 적용모델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논문, 2002
  5. 유로판 11 공식 홈페이지: http://www.europan-europe.eu/en/sessions-info/europan-11
  6. 조인숙, 신화경, 지속가능한 공동주택계획을 위한 커뮤니티 평가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09.11
  7. 박수현, 이상훈, 도시형 생활 주택의 지속가능한 공공공간 계획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계획계 제30권 제1호(통권 제54집), 2010.10
  8. 최희랑 이상홍, 건축적 공적공간에 나타난 인터렉션디자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34권 제1호(통권 제61집), 2014
  9. http://www.archdaily.com/199347
  10. http://www.europan.nl/detail-winner/items/118.html
  11. EUROPAN 11-Espana, p.81
  12. 박훈, 공동주택단지 생활가로의 계획적 의미분석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7권 제12호(통권 278호), 2011.12
  13. http://www.archdaily.com/199346
  14. http://www.archdaily.com/202736
  15. Reconnections-Europan 11 Results, Europan Europe, 2012
  16. 에드워드 렐프, 장소와 장소상실, 김덕현, 김현주, 심승희 역, 논형, 2005, p.p.290-292
  17. 최두호, 이주형, 도시조직과의 연계성 확보를 위한 공동주택 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17(6), 2006
  18. 김광현, 김태영, 신은기, 김현아, 현대주거의 공공 공간의 유형과 공동체 성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18권 제5호(통권 163호), 2002.05
  19. 박철수, 김은미, 유로판1-9의 당선작에 나타난 도시주거 담론과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제 5회 우수졸업논문전 수상논문 개요집 제5권 제1호(통권5호), 2009.04
  20. 임영환, 지역주의 건축의 현대적 해석과 지속가능성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9권 제1호(통권291호), 2013.01
  21. 백승경, 김주현, 이승훈, 도시화에 따른 공공공간의 지속가능한 디자인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8권 제6호(통권77호), 2009.12
  22. 김희경, 주변지역과의 연계를 고려한 공동주택 계획기법 연구, 학위논문, 성균관대 대학원, 건축학, 2008.02
  23. http://www.europan.nl
  24. http://www.europan.de

Cited by

  1. Urban Sustainability through Public Architecture vol.10, pp.4, 2018, https://doi.org/10.3390/su10041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