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영재를 위한 융합교육(STEAM) 자료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in STEAM Education Materials for Gifted Student

  • 투고 : 2014.06.30
  • 심사 : 2014.08.27
  • 발행 : 2014.08.31

초록

본 연구는 창의적 지식의 생산자 양성을 위한 융합형 영재교육의 일환으로서 STEAM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문헌과 델파이 조사를 통해 학문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국내 영재교육현장에 적용 가능한 STEAM교육 자료를 개발했으며, 개발한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타당도 및 수업 만족도 조사 결과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영재 STEAM교육 자료는 교재 구성의 적절성과 학습 만족도, 융합적 사고능력의 함양 면에서 유익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국내의 상황은 STEAM 중심의 융합형 교육의 정책적 강조와 활성화 노력에 비해 영재를 위한 STEAM교육의 필요성이나 방향 등에 대한 근본적 논의가 부족한 상황이므로 영재 STEAM교육에 관한 기초연구를 토대로 수행된 본 연구의 결과는 영재교육 프로그램으로서의 STEAM교육의 활용 가능성을 확장한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cademically examined about whether STEAM education is really needed, as part of the convergence-style gifted education for training a producer in creative knowledge, through the documentary and Delphi survey. Based on the results, it developed STEAM education materials available for being applied to the domestically gifted education field, and examined the field applicability of the developed program. As a result of surveying validity and class satisfaction, the STEAM education materials of having been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were indicated to be useful in the aspects of the appropriateness for teaching-material composition, the learning satisfaction, and the promotion in the convergence-based thinking ability. The currently domestic situation is in being short of fundamental discussion about necessity or direction of STEAM education for gifted student, compared to an effort for emphasizing and activating policy of convergence-based education focusing on STEAM. Hence, the outcome of this study, which was performed on the basis of basic research on STEAM education for the gifted student, has significance in the aspect as saying of expanding applicability of STEAM education as the gifted education program.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과학기술부,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STEAM 가이드북 '손에 잡히는 STEAM 교육'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2. 교육부 (2013). "영재교육 최적화를 통한 창조적 인재육성"을 위한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2013-2017). 서울: 교육부(창의인재정책관)
  3. 김권숙, 최선영 (2012). 과학기반 STEAM 프로그램이 초등과학 영재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31(2), 216-226.
  4. 김도훈 (2014). 창의성과 창조경제. 2014년 한국창의력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3-17.
  5. 김진수 (2012). STEAM 교육론. 서울: 양서원.
  6. 김왕동 (2012). 창의적 융합인재에 대한 개념 틀 정립: 과학기술과 예술 융합 관점. 영재와 영재교육, 11(1), 97-119.
  7. 김태미 (2014). STEAM 수업 자료 개발 및 적용을 통한 중등 수학 영재의 창의성 변화 분석.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8. 김태훈 (2013). 초등과학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9. 맹희주 (2013). 융합영재교육의 발전 과제와 연구 방향에 대한 논의. 영재교육연구, 23(6), 981-1001.
  10. 박병열, 이효녕 (2014). 중등 과학 영재학생들의 시스템 사고력 향상을 위한 융합인재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영재교육연구, 24(3), 421-444.
  11. 박인호 외 (2014). 융합형 과학영재교육 모델 개발 및 활용 방안 연구 보고서.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12. 백윤수 외 (2012). 융합인재교육(STEAM) 실행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한국과학창의재단.
  13. 백희수 (2013). 수학영재를 위한 STEAM교육 방안 마련을 위한 델파이 조사. 학교수학, 15(4), 867-888.
  14. 서예원 외 (2011). 제2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평가 및 중장기 전망 연구. 수탁연구 CR 2011-68.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5. 서울시교육청 (2013). 제3차 서울영재교육발전계획. 서울시교육청 중등교육과.
  16. 송진웅 (2008). 과학기술, 교육, 문화의 융합 시너지 효과 제고를 위한 한국과학창의재단 운영방안 연구.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정책연구과제 2008-26.
  17. 왕희경 (2014).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영재 지도교사와 예비 영재 지도교사의 인식분석. 석사학위논문. 대구교육대학교.
  18. 이재분 외 (2012). 초중등 영재학급 및 영재교육원의 융합인재교육(STEAM) 적용 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9. 정상윤, 손정주 (2013). 초등과학영재를 위한 '지구와 달' 단원의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과학교육학회지, 37(2), 359-373.
  20. 조선미, 한기순 (2014). 비인지적 영역 영재교육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영재교육연구, 24(1), 45-61.
  21. 조영은 (2013). 초.중학교 융합영재프로그램의 융합요소와 교수학습 전략 분석.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2. 조현미 (2014). 영재교육원 초등 과학 교육과정의 내용영역 및 교육형태의 분석. 석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23. 최보라 (2013). 영재학생들의 창의성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융합인재교육의 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4. 최태호, 박명옥 (2011). 융합형 영재교육의 가능성 모색. 영재교육연구, 21(3), 683-702.
  25. 태지훈 (2013). 영재를 위한 차별화된 융합인재교육(STEAM)의 방향 모색.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26. 태진미 (2010). 영재를 위한 문화예술통합교육의 필요성과 적용 방안.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제26집, 241-273.
  27. 태진미 (2011). 창의적 융합인재양성. 왜 예술교육에 주목하는가? 영재교육연구, 21(4),1011-1032.
  28. 태진미 외 (2014), 초중등 영재 융합교육 자료집. 서울: 서울시과학전시관.
  29. 한국교육개발원 (2013). 영재교육통계연보.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통계자료 SM 2013-01
  30. Amabile, T. M. (1996). Creativity in context: Update to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Boulder CO: Westview.
  31. Baer, J. (1998). The case for domain specificity in creativity. Creativity Research Jounal, 11, 173-177. https://doi.org/10.1207/s15326934crj1102_7
  32. Carey, S., & Spelke, E. (1994). Domain specific knowledge and conceptual change. In L. A. Gelman (Eds.), Mapping the mind: Domain specificity in cognition and culture (pp. 169-200).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3. Cox, C. M. (1926). The early mental traits of three hundred geniuses.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34. Cranefield, P. (1966). The philosophical and cultural interests of the biophysics movement of 1847. Journal of the History of Medicine, 21, 1-7.
  35. Csikszentmihalyi, M. (1996). Creativity.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New York: Harper Collins.
  36. Davis, G. A. & Rimm, S. B. (2009). 영재교육. [이경화, 최병연, 박숙희 공역]. 서울: 박학사. (원본출간년도: 2004)
  37. Drake, S. M., & Burns, R. C. (2006). 통합교육과정. [박영무, 강현석, 김인숙, 허영식 공역]. 서울: 원미사. (원본출간년도: 2004)
  38. Feist, G. J. (2005). Domain-specific creativity in the physical sciences. In J. C. Kaufman & . J. Baer (Eds.), Creativity across domains: Faces of the muse (pp. 123-138). Mahwah, NJ: Lawrence Erlbaum.
  39. Gardner, H. (1983).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New York: Basic Books.
  40. Gardner, H. (1999). Intelligence remind: Multiple intelligences for the 21st century. New York: Basic Books.
  41. Karmiloff-Smith, A. (1992). Beyond modularity: A developmental perspective on cognitive science. Cambridge, MA: MIT Press.
  42. Kaufman, J. C., & Baer, J. (Eds.). (2005). Creativity across domains: Faces of the muse (pp. 313-320). Mahway. NJ: Lawrence Erlbaum.
  43.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https://doi.org/10.1111/j.1744-6570.1975.tb01393.x
  44. Milgram, R., & Hong, E. (1993). Creative thinking and creative performance in adolescents as predictors of creative attainments in adults: A follow-up study after 18 years. In R. Subotnik & K. Arnold (Eds.). Beyond Terman: Langitudinal studies in contemporary gifted education. Norwood, NJ: Ablex.
  45. NRC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Retrieved from http://www3.nd.edu/-nismec/articles/framework-science% 20standards.pdf
  46. Okoli, C., & Pawlowski, S. D. (2004). The Delphi method as a research tool: an example, design considerations and application. Information & Management, 42(1), 15-29. https://doi.org/10.1016/j.im.2003.11.002
  47. Plucker, J., Beghetto, R. A., & Dow, G. (2004). Why is'nt creativity more important to educational psychologists? Potential, pitfalls, and future directions in creativity research. Educational Psychologist, 39, 83-96. https://doi.org/10.1207/s15326985ep3902_1
  48. Root-Bernstein, R. (2009). Multiple Giftedness in Adults: The Case of Polymaths. In L.V. Shavinina(Eds.), International Handbook on Giftedness (pp. 853-872), Quebec: Springer.
  49. Sternberg, R. J, Grigorenko, E., & Singer, J. L. (Eds.). (2004). Creativity: From potential to realizatio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0. White, R. K. (1931). The versatility of genius.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2, 4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