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봉화 청암정과 석천계곡 주변을 대상으로 사료 분석과 현지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과거의 식재 원형과 식생 관리방안은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석천지(石泉誌)"에 의하면 청암정 주변에는 소나무, 잣나무, 느티나무, 단풍나무 등의 교목류와 모란, 작약, 철쭉, 장미, 국화, 연꼿 등의 화목류가 심겨져 있었으며, 석천정사 주변에는 회양목, 대나무, 단풍나무, 복숭아나무, 다래, 작약이 식재되어 있었다. 이를 통해 청암정과 석천정사 주변은 사시가경(四時佳景)을 즐기는 완상의 목적 뿐 아니라 다양한 상징성과 의미를 가지는 식재 경관을 연출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들 사료에 나타난 당시의 식재 현황은 차후 청암정과 석천정사와 주변 계곡의 식생 정비와 관리시 매우 유용한 준거(準據)가 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서 조선 후기의 식재 양상을 파악해 볼 수 있는 중요한 가치가 있다. 둘째, 청암정과 석천정사 주변은 "석천지"에 묘사된 대로 식재 경관을 유지해야 할 것이며, 석천계곡의 소나무 군락은 점차 축소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소나무군락을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외래수종과 낙엽활엽수를 제거하는 등 지속적인 관리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has conducted historical data analysis and on-site investigation on Chungam Pavilion and Seokchun Valley in Bonghwa. Based on the results, the original planting form was identified, and the vegetation management were drawn up.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Book of Seokchun states that there used to be forest trees such as pine tree, saw-leaf zelkova and maple tree, and flowering trees such as peony, royal azalea, rose, chrysanthemum, and lotus, planted around Chungamjeong. Around Seokchunjeongsa, there used to be boxwood, bamboo, maple, peach, gooseberry and peony planted in the area. Through this discovery it can be realized that the vicinity of Chungam Pavilion and Seokchunjeongsa provided not only the grand aesthetics of four clear seasons, but also planting landscapes with various symbolistic significance and meanings. The description of the planting situation in the historical records offers a useful reference for future vegetation management in Chungam Pavilion, Seokchunjeongsa and surrounding valleys. Furthermore, it holds critical value in the identification of planting pattern in late Chosun dynasty. Second, the planting landscape in and around Chungam Pavilion and Seokchunjeongsa will have to be maintained as described in the historical records The Book of Seokchun. Also, the once famous colony of pine trees in the area is gradually reducing in its scale, which calls for active management measures such as elimination of broadleaf tre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