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zing Spatial Pattern by moving Factors of out-migration people Related moving to the Provinces of Capital Region Firms

수도권 유출인구의 공간적 패턴분석 및 이동영향 요인 분석 - 수도권 기업의 지방이전과 관련하여 -

  • 홍하연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
  • 이길재 (대한지적공사 공간정보연구원)
  • Received : 2014.09.23
  • Accepted : 2014.11.12
  • Published : 2014.12.10

Abstract

This study targets to recognize needs of spatial pattern analysis and to draw the relationship between relocation of Capital Region firms and population outflow in Capital Region through the regression analysis. The population outflow in Capital Region has moved to and around Yesan-gun and Asan-si. Also, such outflow is found to compose mostly one or two household members for their jobs. In addition to this study has analyzed to find effect factors through the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has confirmed that the most decisive factors affecting population flow from Capital Region to Chungcheongnam-do were population factors and transportation factors and others. Thus, the below policy implications could be derived and also may be applied toward Sejong City which are currently experiencing the relocating of Public sectors and new constructions. Firstly, the effect of Capital Region firms movement on population inflows could be better observed in small-scale towns like "kun" than larger-scale towns like "si.". On the other hand, people in Capital Region moved to larger-scale towns like "si" unlike the Capital Region firms. This difference implicates that people select their residence according to not only their jobs but also residential environment. Secondly, moving people from Capital Region to another region for their jobs are expected to appear more in a form of family units rather than individual units. Sejong city, where public organizations are being relocated, should recognize this particular Chungcheonnam-do phenomenon and be prepared to be more effectively used in perspectives of land use as well as urban planning.

본 연구는 산업과 인구의 이동현상을 대상으로 한 공간적 패턴 분석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수도권에서 충남으로 이전한 가구의 가구특성 및 공간적 패턴을 파악한 후 종합적으로 지리적 가중 회귀분석을 통해 수도권 기업의 지방이전에 따른 인구이동의 관계성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분석결과 수도권에서 충청남도로 전입하는 인구는 직업을 주 목적으로 예산과 아산을 중심으로 하여 1, 2인 가구가 주로 전입하고 있었으며, GWR을 통해 연구지역의 시 군별로 직업을 사유로 이동하는 인구의 이동 요인을 파악한 결과 경제적 요인 이외에도 인구 요인과 교통 요인, 주거환경 요인 등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위와 같은 분석결과들을 공공기업의 지방이전 및 수도권 기업의 기업이전에 따른 도시조성과 연관시켜 생각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들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 첫째로, 현재 충청남도의 탈 수도권인구의 이동에 있어 수도권 기업의 이전에 따른 영향이 직접적으로 미치는 지역은 '시'단위의 규모보다 '군'단위의 소도시에서 효과가 더욱 좋은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럼에도 수도권 유출인구가 천안시, 아산시, 당진시 같은 대형 '시'단위의 도시로 가장 많이 이주하는 것은 사람들이 거주지를 선택함에 있어서는 직장 외 다른 이유가 작용한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둘째로, 향후 직업을 사유로 이동하는 인구는 개인단위보다는 가족단위의 이동이 대두될 것이며 유년 고령인구 위주로 거주지를 선택하게 될 것이므로 유년층 혹은 고령층에 대비하여 정주환경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