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design in field research methods of Land Characteristic Survey for Individual Land Prices

개별공시지가 토지특성조사를 위한 현장조사방법 설계 적용에 관한 연구

  • 이성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 대학원) ;
  • 배상근 (대한지적공사 공간정보연구원) ;
  • 정동훈 (대한지적공사 공간정보연구원)
  • Received : 2014.10.06
  • Accepted : 2014.11.12
  • Published : 2014.12.10

Abstract

The Officially Announced Land Price System has a limit, that is required to be able to reflect changes in land constantly every year, to implement Land Characteristic Survey for calculating land price during a specific period and human resources with limi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National Territory Space Usage status Survey' method to survey part of the territorial feature status information inside of selected the target sites, considering the core survey items (land category, the state of land use, altitude difference, standard site inclusion, etc) in the areas surrounding Yeonshinnae Station in which three dongs (Galhyeon-dong, Daejo-dong, Bulgwang-dong) of Eunpyeong-gu, Seoul share borders with. Based on the given budget, the manpower and period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to sort a total of 2,041 lots and conduct surveys on all sites. This study will be able to diagnose the efficient idle human resource utilization and work process construction plan through pilot projects specialized for providing real estate information services in preparation for cases in which national territory information survey projects that provide various business model, as well as major future core projects of the corporation will be carried out.

부동산 공시지가제도는 매년 시시각각 변화하는 토지의 변동사항을 반영할 수 없으며, 제한된 인력과 기간에 지가산정에 필요한 토지특성 조사를 수행해야하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토지특성의 현황 정보를 조사 수집하기 위해 '국토공간 이용현황 조사' 방법을 적용하여 서울시 은평구 3개동(갈현동, 대조동, 불광동)이 접하는 연신내역 주변지역 중 핵심 조사 항목(지목, 토지이용현황, 고저차, 표준지 포함 등)을 고려하여 조사대상 필지를 선정하였으며, 주어진 예산을 기준으로 인력과 기간을 고려하여 전체 2,041 필지를 선별하고 전수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공사의 주요 핵심 사업이자 다양한 먹거리가 제공될 국토정보조사사업이 진행될 경우를 대비하여 실시한 부동산 정보 서비스 제공에 특성화된 시범 사업을 통해 효율적 유휴인력 활용 및 업무 프로세스 구축 방안에 대해 진단해 볼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