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제품 개발활동이 신제품 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ew Product Development Activity on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 투고 : 2014.09.29
  • 심사 : 2014.11.14
  • 발행 : 2014.12.31

초록

본 연구는 신제품 개발 전략 보유 여부 및 정형화된 신제품 개발(NPD)활동 여부가 국내 코스닥 기업들의 신제품 개발 성과에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신제품 개발 프로그램을 주도하고 통합 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신제품전략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이 48.5%, 보유하고 있지 않은 기업이 51.5%로 아직은 신제품개발 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기업이 다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제품개발 성과달성 결과는 신제품 성공비율이 51.21%, 신제품수익 성공비율은 44.87%로 나타났으나, 1993년 미국의 Kuczmarski & Associates의 77개 다양한 산업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신제품 개발 성과가 '매우 성공적'이거나 '성공적'이라고 평가한 응답자들이 53%, 미국의 제품개발관리협회(PDMA)에서 1995년에 두 번째 best practice 연구를 통하여 신제품 개발 성공률이 59% 였던 점을 비교했을 때 이번 조사 기업은 1995년 미국의 제품개발관리협회에서 조사한 결과의 평균에 다소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제품 개발 전략을 보유한 여부에 따라 신제품 개발 성과간의 차이가 있는 지를 검증한 결과 신제품개발 전략을 보유여부에 따라 신제품 성공비율이 차이가 나고 신제품전략을 보유할수록 신제품 성공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제품 개발활동은 문서화된 프로세스는 없지만 제품 개발에 따르는 개별업무가 완성되기까지 명확하게 인지된 절차를 따르는 기업이 39.6%로써 미국의 1990년 PDMA 결과 76%인 것과 비교해 볼 때 아직 우리 코스닥 기업들이 미국 기업들 보다는 정형화된 NPD 프로그램을 적게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NOVA 검증 결과 공식적으로 문서화된 프로세스 존재여부에 따라 신제품 개발 성공률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cheffe, Bonferroni 사후검증 결과 공식적으로 문서화된 프로세스는 없지만 개별업무 절차를 보유한 기업들 보다 공식 문서화된 프로세스를 보유하고 정해진 부문에서 일련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업들이 5%유의수준에서 18.385 만큼 신제품 개발 성공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은 미국의 제품개발관리협회(PDMA)가 미국전역에 걸쳐 연구한 내용을 국내 코스닥기업에 적용했다는 점이다. 또한 국내의 신제품개발관련 기존 연구가 과거 일부 산업에 국한된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본 연구에서는 국내 코스닥기업의 다양한 산업에 적용하였다는 것이다. 본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코스닥기업협회나 관련 부처에서는 기업들의 생존율을 높이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신제품개발에 대한 정형화된 프로세스를 교육하고 지도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NPD(New Product Development) strategy and standardized NPD activity on NPD performance in KODAK compan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companies with a specific NPD strategy that can lead and integrate NPD programs were 48.5% and companies without NPD strategy were 51.5% among KOSDAQ companies, which showed that companies without NPD programs were relatively higher than companies with NPD programs. According to result of NPD performance, success rate of new product showed 51.2% and success rate of new product revenue showed 44.87%, but respondents who evaluated NPD performance as "very successful" and "successful" were 53% based on the study of 77 various industries by Kuczmarski & Associates in America in 1993, and the companies in this study showed relatively below-average marks to the result of the study examined by USA PDMA in 1995 as compared to 59% of NPD success rate according to the 2nd study of best practice in 1995 by USA PDMA(Product Development & Management Association). As a result of testing the difference between NPD performances depending on whether company has NPD strategy or not, i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uccess rate of NPD depending on NPD strategy and had a higher success rate of NPD as company has NPD strategy. Although NPD activity does not provide with documented process, companies which follow clearly recognized procedure until individual business for product development is completed were 39.6%, indicating that KOSDAQ companies still have fewer standardized NPD procedure than USA companies with 76% as compared to the result of 1990 PDMA in America. As a result of ANOVA test, NPD success rate showed th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officially documented process. As a result of Scheffe and Bonferroni test as post hoc test, companies with officially documented process, carrying out a series of business in a given section showed a higher NPD success rate by 18.385 at the 5% significance level than companies with individual business procedure without officially documented process. The difference of this research from the previous studies is that the findings of PDMA in America throughout the United States were applied to the domestic KOSDAQ companies. In addition, the existing studies related to NPD in Korea were conducted for some limited industries in the past, but this study was applied to various industries of KOSDAQ companie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for KOSDAQ Industry Association or other related governmental departments to educate and guide the standardized process about NPD for increasing survival rate and reinforcing competitiveness of the compani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