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tus of Youth Entrepreneurship in Korea

국내 청년층의 창업인식 실태와 증대방안 - 청년층의 직업관을 중심으로

  • Lee, Jae Hoon (Smart Startup Team, Korea Institute of Startup &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 Received : 2014.11.10
  • Accepted : 2014.12.26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The government has established a foundation activation measures across a total of 10 times to expanse job creation, promote new growth engines and enhance youth entrepreneurship for trying to spread socially. In order to improve startup activation policies and excavation,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gaps going to construct a stable infrastructure through periodic status research on their occupational sense and entrepreneurship awareness. Since 2012, the government's has been surveyed to address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the occupational sense and entrepreneurship awareness of population characteristics. Until 2013 only the youth were surveyed, recently from 2014 expanded its range to the public. This study laid the foundation for a more comprehensive set of analysis through which to learn and underst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tatus of each group for entrepreneurship awareness by utilizing survey data from the government. And this study was obtained from a survey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 general public. A total of 3000 people nationwide survey was conducted about the entrepreneurship environment for start-ups and entrepreneurship awareness and success factors for a month. The University students survey result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area, school and gender. And The general public survey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area, the age and gender. Each response result indicate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tudents and the general public did not appear. But through this survey,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startup infrastructure.

우리정부는 신성장 동력 확충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총 10차례에 걸친 창업 활성화 대책을 수립 추진하여, 청년층 및 기술인력 등 주요 창업원의 기업가정신을 제고하고 범사회적으로 확산시키고자 노력을 해왔다. 이러한 창업 활성화 정책 발굴 및 개선을 위해서는 이들의 직업관 및 창업인식에 관한 주기적인 현황 파악을 통해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 안정된 인프라를 구축해 가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정부는 인구특성별 직업관 및 창업인식에 관한 현 주소 파악을 위해 2012년부터 매년 실태조사 실시해 왔으며, 현황파악을 위한 실태조사의 대상을 2013년까지는 청년층만을 대상으로 하다가 2014년 최근 그 범위를 일반인에게까지 확대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정부의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창업인식에 대한 현황파악과 각 그룹간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좀 더 다양한 분석을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는 전국의 대학생 및 일반인 총 3,0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여 창업환경과 창업인식 그리고 창업성공요인에 대한 설문조사를 한 달간 실시하였다. 대학생은 지역과 학교 그리고 성별을 분류하여 조사를 진행하였고, 일반인은 지역과 연령 그리고 성별을 분류하여 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원을 활용한 면접조사를 원칙으로 하고 필요시 온라인과 유선조사를 병행하여 조사하였다. 각 응답결과가 나타내는 큰 차이는 대학생과 일반인 사이에서 나타나지 않았지만, 이러한 실태조사를 통하여 현재 국내의 창업 인프라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한다는데 그 의미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