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stablishment of Assessment Index for Sustainable Back-to-Farm Cooperative Village

지속가능한 귀촌형 공동체마을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

  • 박경옥 (충북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 이상운 (충북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Received : 2013.10.03
  • Accepted : 2014.01.09
  • Published : 2014.01.2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assessment index for sustainable back-to-farm cooperative village. The assessment index will be applied as a guideline to plan or to stimulate the cooperative village. The 1st step is to organize the assessment items from the precedent studies, and the 2nd step is to make them confirmed by the professionals by means of on-line questionnaire. The tool was SPSSwin statistical program and its outputs' mean. The final 3rd step is to take consult with professionals on the issues derived from the 2nd stage, and fix assessment index.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selected grand assessment items are five; living-environmental, social-environmental, managerial-environmental, regional-environmental and economic-environmental assessments. Five grand items have 26 medium assessment items and 76 small assessment items. 2) The questionnaire of professionals ranked the importance of grand assessment items as social-living-economic-managerial-regional environments. The adequacy got more than 3 points, above the mean, in all assessment items by professionals. 3) Managerial-environmental assessment was renamed to maintenance assessment. With professionals' advice, items that are hard to take quantitative measurements or to be seen as characteristics of cooperative village were either deleted or combined together; 26 medium items into 21 items and 78 small items into 52 items.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

References

  1. 김대식, 전택기, 배승종, 농촌마을단위의 정주환경진단지표개발, 농촌계획, 16권 3호, p.p.27-41, 2010.
  2. 김은자, 고아라, 이정원, 김상범, 저탄소사회 실현을 위한 농촌마을 계획지표 개발, 농촌계획, 17권 1호, p.p.29-42, 2011.
  3. 김은정, 안유정, 이만형, 읍 면 소재지 종합정비사업 평가지표 체계의 개선방안 -기존 소도읍 사업의 평가지표 체계분석을 바탕으로-,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14권 1호, p.p. 45-56, 2012.
  4. 김인순, 진정, 지속가능한 주거지로서 전주한옥마을의 거주성확립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부연합논문집, 9권 3호, p.p.89-96, 2007.
  5. 박경옥, 이상운, 류현수, 전원마을조성사업에 의한 귀촌형공동체마을의 주민참여 계획과정 특성- 남원시 작은마을을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4권 3호, p.p.135-147, 2013.
  6. 송승현, 지속적 마을만들기의 운영.관리에 관한 연구-농촌 마을규약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7. 오문향, 델파이 기법과 AHP를 활용한 국가 간 관광산업 경쟁력 평가지표 개발,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8. 유순선, 박철수, 주거단지의 지속전환 개념 및 계획요소 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7권 11호, p.p.33-42, 2011.
  9. 이관규, 양병이, 송병화, 지역고유자원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농촌마을 계획모델, 한국생태건축학회논문집, 6권 1호, p.p.47-55, 2006.
  10. 이남표, 농촌재정비사업 지표의 평가 연구-독일, 일본 지표와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1. 이승한, 김대식, AHP법을 이용한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사업항목별 중요도 설정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 16권 3호, p.p.43-49, 2010.
  12. 이재준, 이상문 지속가능한 농촌발전을 위한 주민참여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8권 3호, p.p.39-55, 2003.
  13. 전영미, 농촌문화마을의 주거환경 실태와 주관적 평가.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9.
  14. 전호상, 계획공동체마을의 공간구성,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15. 조영재, 농촌마을 발전방향 설정을 위한 마을평가시스템 개발,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6. 최정신, 국내 계획공동체 마을의 주민참여의 실태 및 특성,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9권 5호, p.p.93-102, 2008.
  17. 한경수, 김기현, 전택기, 엄대호, 최윤상,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중간 점검을 위한 평가지표 적용사례, 농촌계획, 13권 2호, p.p.121-132, 2007.

Cited by

  1. The Application of Assessment Index for the Planning & Management Guideline on Sustainable Back-to-Farm Cooperative Village vol.30, pp.9, 2014, https://doi.org/10.5659/JAIK_PD.2014.3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