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Typological Review on The Rich Peasant's Dwelling of Hamkyeong Province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 Based on the Descriptions and Drawings of Immigrants -

일제시기 함경도 부농주거의 성격에 관한 연구 - 실향민들의 증언과 도면자료를 기반으로 -

  • Received : 2013.09.23
  • Accepted : 2014.02.10
  • Published : 2014.02.28

Abstract

Plenty of researchers have paid attention to the traditional dwelling of korea since 1970's. Various approaches on the traditional way of dwelling design produced deep and broad understanding such as regional, periodical, social class characteristics etc. However these understandings have covered only on south korea. As far as north korea, very few studies have been added after korean war. Very fortunately, a recent research discovered some of dwelling drawings drawn by immigrants, which provided the new possibility on reviewing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dwelling. Based on these examples, this paper discusses the differences of dwelling design among social classes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high class dwellings mainly inhabited by rich peasant in Hamkyeong province.

Keywords

References

  1. 岩規善之, <朝鮮民家의 家構에 대하여>, 朝鮮과 建築3집 2 호, 1924
  2. 朝鮮總督府, <朝鮮部落調査報告>, 1924, 민속원(서울, 1989)
  3. 朝鮮總督府, <朝鮮의 聚落후편>, 1936, 경인문화사(서울, 1974)
  4. 최재석, <한국농촌사회연구>, 일지사, 초판5쇄, 서울, 1983
  5. 리종목, <우리나라 농촌주택의 류형과 그 형태>, 문화유산, 제5호, 1960
  6. 황철산, <우리나라 과거주택의 류형과 그 형성 발전>, 고고민속, 3호, 1965
  7. 리화선, <조선건축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평양, 1989
  8. 장보웅, <한국의 민가연구>, 4판, 진보제출판사, 서울, 1985
  9. 김광언, <한국의 주거민속지>, 민음사, 서울, 1988
  10. 김홍식, <한국의 민가>, 한길사, 서울, 1993
  11. 울산대 건축학부, <장재촌>, 울산대 출판부, 울산, 1995
  12. 한국건축역사학회편, <한국건축사 연구1>, 발언, 서울, 2003
  13. 강영환, <북한지역 전통주거에 관한 조사연구(1)>, 건축역사연구, 5권, 2호, 1996
  14. 강영환, <북한지역 전통주거에 관한 조사연구(2)>, 건축역사연구, 6권, 3호, 1997
  15. 한국건축역사학회편, <한국건축사 연구1>, 발언, 서울, p.p. 193-254, 2003
  16. 강영환, <한국 주거문화의 역사>, 1판, 기문당, 서울, 2004
  17. 강영환, <북한의 옛집- 함경도편>, 1판, 이담북스, 파주,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