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Operational Efficiency and Productivity for deep-sea fishing vessels in the North Pacific Ocean

북태평양 조업선박의 운영 효율성 및 생산성 분석

  • 조우연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
  • 조건식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
  • 여기태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 Received : 2014.04.30
  • Accepted : 2014.06.17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With the global warming phenomenon, the deep sea water area that fishing vessels can enter and operate is ever widening. For example, the Arctic Ocean recently has overall competitive advantages due to having many deep-sea fish stocks. The North Pacific region is a strategic coastal district, the closest access point of Arctic Ocean. For Korean fishing vessels which now operate in North Pacific region, and want to entry the Arctic Ocean, the analysis of technical efficiency is needed for preparing the better industry's future.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relative efficiency, and select the low effective deep-sea fishing vessels in the North Pacific, and to suggest their desirables strategies. As a research methodology,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and Malmquist Index are applied to 16 fishing vessels for the periods(2009 to 2013). To draw out the efficiency of targeted deep-sea fishing vessels, gross tons, horsepowers, and operating days are used as input variables while total catch stands for an output variable. As a result, CCR efficiency, BCC efficiency and scalability efficiency are measured to be 0.8405, 0.9484 and 0.8858 respectively for 5 years (2009 to 2013). In conclusion, 38% of total tons, 36% of horsepowers and 29% of operating days each fishing vessel should be reduced to keep their competitive powers.

지구온난화와 더불어 조업이 가능한 수역이 넓어지고 있다. 특히 수온상승으로 풍부한 어족자원이 이동하고 있는 북극해의 경우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북태평양지역은 북극해에 가장 가깝고 진입하기 용이한 지역이다. 현재 북태평양에서 조업하고 있는 한국수산업은 미래 북극해 조업에 대비하여 효율성분석 등을 통하여 미래를 대비하여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자료포락분석(DEA)방법 및 Malmquist지수를 활용하여 북태평양 수역에 조업하는 선박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운항한 16척의 선박의 효율성을 분석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효율성 분석을 위해 투입변수로는 선박톤수, 선박마력수, 조업일수를, 산출변수로는 연간어획량을 선정하였다. 측정결과에 의하면, 지난 5년간(2009년~2013년) 평균 효율성은 CCR효율성 0.8405, BCC효율성 0.9484, 규모효율성 0.8858로 나타나, 운영하고 있는 선박들은 전반적으로 선박톤수를 38%, 선박마력수를 36%, 조업일수를 29% 줄여야 현재보다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도훈, "DEA 기법을 이용한 우리나라 대형선망어업의 어획능력 측정에 관한 연구", 자원.환경경제연구, 제15권 제1호, 2006, 71-94.
  2. 김도훈.안희춘.이경훈.황진욱, "DEA 기법을 이용한 낙지통발어업의 어획능력 측정", 한국어업기술학회지, 제43권 제4호, 2007, 339-346.
  3. 김수암, "기후변화와 북태평양의 수산자원 변동에 관한 고찰", 해양정책연구, 제10권 제1호, 1995, 107-142.
  4. 김영승.오택윤.조삼광.최석관.고정랑.양원석, "북태평양 중부 해산어장에 있어서 저층 트롤의 어획실태", 한국어업기술학회지, 제41권 제3호, 2005, 179-187.
  5. 김학소, "미래 국부창출을 위한 북극해 전략", 한국선진화포럼/한국해양수산개발원 특별토론회, 2011. 11.
  6. 류동근, "국내 컨테이너 전용터미널의 효율성 비교: DEA 접근", 해운물류연구, 제47권, 2005, 21-38.
  7. 문성주.진상대.안영수.김영승.황선재, "불확실성하에서 북태평양 미드웨이 시험어장의 경제성 평가: 다량어연승 어장을 중심으로", 수산경영론집, 제40권 제1호, 2009, 153-172.
  8. 방희석.강효원, "DEA를 활용한 글로벌해운선사의 효율성측정",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7권 제1호, 2011, 213-234.
  9. 서동균, "DEA모형을 이용한 부산항 배후시설 ODCY의 운영효율성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7권 제4호, 2011, 51-71.
  10. 서주남.김도훈, "대형선망어업의 동태적 생산효율성 분석", 수산경영론집, 제43권 제1호, 2012, 11-18.
  11. 이동우.이재봉.정석근.김영혜, "한국 근해 쌍끌이 대형기선저인망어선의 규모별 효율성과 어획 능력 활용도 평가", 한국수산과학회지, 제41권 제6호, 2008, 485-492.
  12. 이선영.주수현.이동철, "수산도매업 정보화와 상대적 효율성: 부산지역의 수산물도매업을 중심으로", 유통정보학회지, 제11권 제1호, 2008, 51-68.
  13. 이장원.김형기.김성호, "한.중.일 3국의 항만 경쟁력 비교 연구", 국제지역연구, 제11권 제4호, 2008, 333-360.
  14. 이흥동.이광남, "북태평양 명태자원관리와 국내 명태수급에 관한 분석", Ocean and Polar Research, 제18권, 1996, 79-89.
  15. 장동헌, "농협 하나로마트의 DEA 효율성과 Malmquist 생산성 분석", 산업경제연구, 제24권 제2호, 2011, 953-967.
  16. 조건식.여기태, "DEA와 Malmquist지수를 이용한 연안여객 항로 운영 효율성 분석", 로지스틱스연구, 제21권 제4호, 2013, 67-85.
  17. 조현수.문대연.김영승.이주희.김형석, "북태평양 한국 꽁치봉수망어업의 현황 분석", 한국어업기술학회지, 제40권 제2호, 2004, 97-103.
  18. 최정윤.남수현.강석규, "한국 수산업협동조합의 경영효율성 평가: 자료포략분석", 수산경영론집, 제34권 제2호, 2003, 109-129.
  19. 최종열.김기석.김도훈, "연안어업경영의 생산효율성 분석: DEA와 SFA 기법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경영과학회지, 제35권 제3호, 2010, 59-68.
  20. 표희동.김종천, "수산물 도매업의 생산 효율성 평가에 관한 연구", 수산경영론집, 제41권 제3호, 2010, 21-44.
  21. 표희동.김종천, "맘퀴스트 생산성지수를 이용한 수산물 가공식품 도매업의 생산성 분석에 관한 연구", Ocean and Polar Research, 제32권 제4호, 2010, 387-396. https://doi.org/10.4217/OPR.2010.32.4.387
  22. 황경연.성봉석.송우용, "DEA와 Malmquist지수를 활용한 외항해운기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 분석", 통상정보연구, 제14권 제3호, 2012, 323-350.
  23. 해양수산부, 제 21차 한-러 어업위원회 합의의사, 2011.
  24. 한국원양산업협회, 2013년 원양산업 통계연보, 2013.
  25. 한국원양산업협회, 원양산업지, 2014.
  26. Banker, R. D., Charnes, A. and Cooper, W. W.,"Some models for estimation technical and scale inefficiencies in data envelopment analysis", Management science, Vol.30 No.9, 1984, 1078-1092. https://doi.org/10.1287/mnsc.30.9.1078
  27. Boussofiane, A., Dyson, R. G. and Thanassoulis, E.,"Applied data envelopment analysi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Vol.52 No.1, 1991, 1-15. https://doi.org/10.1016/0377-2217(91)90331-O
  28. Caves, D. W., Christensen, L. R. and Diewert, W. E.,"The Economic Theory of Index Numbers and the Measurement of Input, Output, and Productivity", Econometrica: Journal of the Econometric Society, Vol.50 No.6, 1982, 1393-1414. https://doi.org/10.2307/1913388
  29. Charnes, A., Cooper, W. W. and Rhodes, E. L.,"Measuring the Efficiency of Decision Making Unit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Vol.2, 1978, 429-444. https://doi.org/10.1016/0377-2217(78)90138-8
  30. Cooper, W. W., Seiford, L. M. and Tone, K., Data Envelopment Analysis: A Comprehensive Text with Models, Applications, References and DEA-Solver Software,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00.
  31. Fare, R., Grosskopf, S., Norris, M. and Zhang, Z.,"Productivity growth, Technical progress, and Efficiency change in Industrialized countries",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Vol.84 No.1, 1994, 66-83.
  32.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United Nations(FAO), Report of the technical consultation on te measurement of fishing capacity, FAO Fisheries Report, Vol.615, 2000, 1-51.
  33. Pascoe, S. and Herrero, I.,"Estimation of a composite fish stock index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Fisheries Research, Vol.69 No.1, 2004, 91-105. https://doi.org/10.1016/j.fishres.2004.03.003
  34. Sherman, H. D. and Gold, F.,"Bank branch operating efficiency: evaluation with data envelopment analysis", Journal of Banking & Finance, Vol.9 No.2, 1985, 297-315. https://doi.org/10.1016/0378-4266(85)90025-1
  35. Wu, Y. C. J. and Goh, M.,"Container port efficiency in emerging and more advanced markets", Transportation Reveiw, Vol.46 No.6, 2010, 1030-10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