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Relative Importance of Jeju International Ship Register System by the AHP - Primarily on the Activation Factor -

AHP를 활용한 제주선박등록특구제도의 상대적 중요도 평가 -활성화 요인을 중심으로-

  • 김광희 (동명대학교 항만로지스틱스학부)
  • Received : 2014.04.06
  • Accepted : 2014.05.02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Although 'the International Ship Registration Act' has been enacted in Korea as of 1997, its effect is still in question to make shipowners and operators flag in or reflag because of insufficient incentives for them. Therefore, 'the Special Law for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has been established and the system of 'Special Ship Registration Zone' has also been enforced. Despite this, few studies were carried out to measure the relative importance of factors for Jeju International Ship Register yet. Against this backdrop,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firstly, to investigate a relative importance of Jeju International Ship Registration System using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and secondly,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Flags of Convenience(FOC) with International Ship Register(ISR) which was adopted by several Far East Asia Countries(e.g., China, Hong Kong, Chinese Taipei and Japan). Moreover, this study aims to compare FOC with ISR in terms of shipping policy, ship management, and expenses and tax policy. In this paper, the factors were constructed with four high levels consisting of twenty one low levels to evaluate Jeju International Ship Register by utilizing Expert's brainstorming and AHP. According to the results, it is critical to expand the exemption and tax-related expenses, and also manage foreign-related systems systemically. This study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to maintain the tonnage tax system for ships effectively as well as to intensify the competitiveness of Jeju International Ship Register System.

우리나라는 1997년 외국에 편의치적하는 선박을 방지하고 우리나라로 재이적을 유도하기 위하여 국제선박등록제도를 제정하였으나 그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는 제주도에 국제자유도시 특별법을 제정하고 제주도를 특별선박등록지역으로 지정하는 국제선박등록특구제도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편의치적제도, 국제선박등록제도 및 제주국제선박등록특구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국제선박등록제도의 활성화 전략 수립에 필요한 평가요인을 도출하고 평가요인간의 중요도를 측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AHP 분석을 실시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중국, 홍콩, 대만, 일본의 선박등록제도 상의 특징을 분석하였고 전문가의 자문을 거쳐 상위기준 4개 항목, 하위기준 21개 항목을 도출하였다. 상위기준 4개 항목에 대하여 제주국제선박등록특구의 활성화를 위해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제도운영의 개선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는 선박등록시의 행정적인 지원이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제주해양관리단의 조직관리와 선원복지에 대한 측면은 사실상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파악되었다. 제주국제선박등록 특구의 경쟁력 강화 및 활성화를 위해서는 선박의 톤세제도 유지 및 관련 제비용과 세금에 대한 면세제도의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외국인 관련 제도와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우리나라에 선박의 등록을 기피하는 우리나라의 선사 및 외국인 선사들을 적극 유치하기 위해서는 전담조직의 마케팅 활동도 필요하지만 근본적으로 선원에 대한 국적 제한을 완화하여 선원비절감을 가져올 수 있도록 제도개선이 필요하다. 선원측면에서 선원노조와 화합하여 국제선박등록제도를 확대하여야 하며 조직관리측면에서 제주국제선박등록특구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제주해양관리단 내에 홍보와 마케팅을 전담하는 조직의 신설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특히 외국인 선주를 전담하여 유치하는 조직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종희, 한철환, 황진회, 편의치적제도 활용방안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1.
  2. 김부찬, "편의치적과 국제선박등록특구 제도", 국제법학회논총, 제47권, 제3호, 2002, 21-48.
  3. 김선구, 최용석, "컨테이너 터미널 효율성 평가를 위한 AHP/DEA 통합모형",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8권 제2호, 2012, 179-194.
  4. 김향자, "분권적 계층과정에 의한 관광정책 우선순위 설정에 관한 연구", 관광학 연구, 제28권 제2호, 2012, 179-194.
  5. 김형태, "해운산업 경쟁력 유지 위한 톤세제 존속방안", 바다와 경제 포럼, 전국해양산업총연합회, 2014. 4.
  6. 김화영, 김운수, "AHP분석을 이용한 해운중계서비스의 상대적 중요도 평가",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9권 제4호, 2013, 157-174.
  7. 박용섭, 이태우, 임종길, "편의치적제도와 국제선박등록제도와의 비교 연구", 한국항해학회지, 제15권 제1호, 1991, 95-110.
  8. 박태원, "아시아 주요국의 선박등록제도 현황과 시사점", 월간 해양수산, 통권 제224호, 2003. 5, 21-27.
  9. 박태원, "유럽주요국의 선박등록제도", 월간 해양수산, 통권제218호, 2002. 5-14.
  10. 이재민, 양종서, 이기한, "부산금융중심지의 선박금융특화를 정책선호도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9권 제4호, 2013, 97-117.
  11. 한철환, "편의치적제도 활용의 필요성 및 기대효과에 관한 연구", 해양정책연구, 제16권, 제2호, 20011, 240-281.
  12. 해운산업연구원.한국전략문제연구소, 국가안보와 국민경제 안정을 위한 한국 상선대의 유지.확보 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해사재단, 1997.
  13. 中村秀之, "韓國船舶ファンド-1997年末の經濟危機を契機として", 日本海事新聞, 日本海事センタ-企劃硏究部, 2000.
  14. (公財)日本海事センタ-, 諸外國の海運關係施策, 公財)日本海事センタ-, 2012.
  15. 財團法人 日本海事センタ-, 外航海運における船社間協定に係る調査報告書, 日本海事センタ-, 2008.
  16. 財團法人 海事産業硏究所, 海運における市場構造と競争政策, 日本海事産業硏究所, 2004.
  17. Saaty, Tomas. L.,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New York, McGrawHill, 1980.
  18. UNCTAD, "Review of Maritime Transport 2012", (www.unctad.org/rmt2012)
  19. UNCTAD, "Review of Maritime Transport 2013", (www.unctad.org/rmt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