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Application Plan of Basic Original Technology in Science & Research Parks : Focus on Science Parks in Korea

과학연구단지의 기초원천 기술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지방과학연구단지를 중심으로

  • 이원철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국제기술혁신협력센터) ;
  • 최종인 (한밭대학교 경영회계학과)
  • Received : 2014.04.28
  • Accepted : 2014.06.16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From the 1950s, the science parks were begun the composition as a way for innovation and commercialization in the world around developed countries. Since the 1980s, Korea also starting with quantitative investment in R & D for technology innovation, so far has been a continuous effort. Korea's patent creation level according to these R & D investment is already within the world's top 10, but the fact that the domestic technology trade balance appearing current competitive level compared to the developed technology is very insufficient. This means that the creation of economic value is low as compared with financial commitment. Therefore the plans to ensure the economic value through technology are required. As one of plans to do this for local economy activation through technical advances, constructing regional innovation systems and making science parks have been made. These science parks are required to develop the basic original technology in order to secure new growth engines, but the science parks in Korea are facing difficulties of performing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regional industry advancement and local economy activation.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s to organize the concept of 'science park' is similar but there is difference, and to compare institutions with similar functions based on regional innovation systems theory. In addition, the study is to obtain the application plans of basic original technology in science & research Parks through the model for overcoming weaknesses of Korea's innovation system and enabling organic cross-linking between institutions.

1950년대부터 선진국을 중심으로 세계 도처에서 기술혁신과 사업화를 위한 수단으로서 과학 단지가 조성되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 역시 1980년대 이후 기술혁신을 위한 R&D의 양적 투자 확대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지속적인 노력의 결과, 특허 창출 수준은 이미 세계 10위권 이내에 위치한다. 하지만 국내 기술무역수지 등을 통해 나타나는 현재의 기술경쟁력 수준은 선진국에 비해 매우 미흡한 현실이다. 이는 곧 투입된 재원에 비해 경제적 가치 창출이 저조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기술을 통해 경제적 가치를 확보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전국에 걸쳐 설치된 10개의 과학연구단지는 지역의 산업고도화와 지역경제의 성공적인 활성화를 위한 R&D 수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유사하지만 차이점이 있는 '과학 단지'의 개념을 정리하고, 지역혁신체제(RIS)의 이론을 토대로 각기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기관 및 단지를 비교 분석하여 각자에 부합 또는 적합한 임무 구분을 시도한다. 또한 이를 통해 우리나라 혁신시스템의 약점을 보완하고 관련된 각 기관의 역량 극대화와 동시에 시장 선도를 가능하게 하는 기초원천 기술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