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n the GIS-related Test Items of High School Korean Geography: Focusing on the Nationwide Tests for the 12th Graders in the 7th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고등학교 한국지리 GIS 관련 평가 문항 분석: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3학년 전국 규모 평가를 대상으로

  • Cho, Daeheon (SNU BK21 Plus for Geography department(4-Zero Land Space Creation group), Seoul National University)
  • 조대헌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BK21+ 4-Zero 지향 국토공간창조 사업단)
  • Received : 2014.05.21
  • Accepted : 2014.06.27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GIS-related test items of high school Korean Geography in the 7th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and to discuss some issues and challenges. First, we developed a framework for analyzing test item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content analysis on the textbooks, which categorizes test items in terms of content elements and activity elements. Then, we examined test items of nation-wide tests including CSAT(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arried out 2004-2012 and analyzed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as well.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predominance of particular test item categories, and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of GIS-related items was slightly higher than whole average but it depended on the test item categories. Finally,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is analysis to the tests as well as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in the classroom, and suggested improvement directions such as integration of GIS with other contents, reinforcement of the inquiry-based test items, maintaining moderate difficulty.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7차 교육과정 한국지리 교과 내용 중 GIS에 관련된 평가 문항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밝히고, 그것이 시사하는 바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 및 7차 교육과정 교과서에 대한 내용 분석을 토대로 평가의 내용 요소와 행동 요소에 초점을 둔 분석의 틀을 제시하였다. 이에 기초하여 대학 수학능력시험을 포함, 2004~2012년에 시행된 전국규모평가를 대상으로 문항의 특성과 정답율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문항의 유형과 관련하여서는 특정 문항에의 집중이 크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정답율의 경우 전체 평균 보다 다소 높았으나 문항의 유형별로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이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 과정 및 교실 수업에 시사하는 바를 제시하였는데, 지형이나 인구와 같은 일반 교과 내용과의 연계, 탐구 지향형 평가의 문항의 강화 및 적정 난이도 유지 등이 개선 방향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