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김영찬, 오현주, "'아이돌 장르'의 부상에 따른 아이돌 스타덤 연구: KBS 드라마 <드림하이>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5권, 제6호, pp.125-161, 2011.
- 정소하, 유영선, "K-Pop 걸그룹의 패션에 나타난 이미지 연출 특성에 대한 분석", 복식, 제63권, 제2호, pp.98-109, 2013.
- 김수경, "여성 아이돌 그룹 의상의 특성", 한국디자인포럼, 제33권, pp.329-342, 2011.
- 김수아, "소녀 이미지의 볼거리화와 소비 방식의 구성: 소녀 그룹의 삼촌 팬 담론 구성", 미디어, 젠더 & 문화, 제15호, pp.79-119, 2010.
-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4&no=262774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6793316
-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I71&newsid=01341526606020040&DCD=A407&OutLnkChk=Y
- 박수경, 최명일, 정은정, "소셜테이너 활동 관련 보도와 제3자 효과에 관한 연구", 방송통신연구, 제85호, pp.135-163, 2013.
- W. P. Davison, "The Third Person Effect in Communication," Public Opinion Quarterly, Vol.47, pp.1-15, 1983. https://doi.org/10.1086/268763
- 유홍식, "악성 댓글에 대한 제 3자 효과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4권, 제5호, pp.238-278, 2010.
- 정재민, "대부업 광고에 대한 제 3자 효과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1권, 제6호, pp.111-134, 2007.
- 하승태, 이정교, "청소년시청보호시간대와 비보 호시간대의 TV 선정성 수준 비교: 등장인물의 인구학적, 사회관계적, 언어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제20권, 제4호, pp.133-157, 2009.
- S. Martino, R. L. Collins, M. N. Elliot, A. Strachman, D. N. Kanouse, and S. H. Berry, "Exposure to Degrading Versus Nondegrading Music Lyrics and Sexual Behavior among Youth," Pediatrics, Vol.118, No.2, pp.430-441, 2006. https://doi.org/10.1542/peds.2006-1061
- 이세용, "인터넷과 청소년의 성의식", 정보와 사회, 제2권, pp.154-182, 2000.
- 이성식, "청소년 인터넷음란물 접촉이 성폭력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조건적 효과", 청소년학연구, 제11권, 제2호, pp.22-45, 2000.
- D. Linz, E. Donnerstein, and S. Penrod, "The Effect of Multiple Exposure to Filmed Viloence against Women," Journal of Communication, Vol.34, pp.130-147, 1984. https://doi.org/10.1111/j.1460-2466.1984.tb02180.x
- 한균태, 차동필, 최수진, "포르노마? 공중파와 케이블 자체제작 드라마의 선정성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3집, 제3호, pp.252-282, 2007.
- 하승태, 박범길, 이정교, "한국 지상파 텔레비전에 나타난 선정성 유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4권, 제1호, pp.73-112, 2010.
- 송경희, 방송프로그램 등급체제 마련을 위한 수용자 연구, 한국방송영상진흥원, 1997.
- 이기현, 박웅진, 텔레비전 모니터 보고서 99-2, 한국방송영상진흥원, 1999.
- 이대식, 국내 뮤직비디오 표현양식에서의 선정성 및 폭력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김형지, 윤영민, "청소년 대상 음악프로그램의 선정성 연구: 지상파 방송 3사를 중심으로", 제25권, 제5호, pp.49-88, 2011.
- A. C. Gunther, "Overrating the X-Rating: The Third-Person Perception and Support for Censorship of Pornography," Journal of Communication, Vol.45, No.1, pp.21-39, 1995.
- 양승목, "여론조사와 제 3자효과: 여론조사의 영향에 대한 국회의원의 지각적 편향을 중심으로", 언론과사회, 제18호, pp.6-28, 1997.
- 한균태, 차동필, "금연광고와 제 3자 효과: 중고등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광고연구, 제56호, pp.263-286, 2002.
- 김인숙, "연예인 자살보도와 제 3자 효과: 언론의 연예인 자살보도에 대한 태도, 미디어 이용, 미디어 규제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9권, 제3호, pp.5-36, 2009.
- 윤태일, 심재철, 글렌 레슈너, "안티 사이트의 제3자 효과: 타인반응에 대한 지식과 동의수준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47권, 제1호, pp.31-55, 2003.
- 한미정, 김종은, "미디어 효과 지각과 광고규제 및 보도강화에 대한 태도: 음주, 흡연, AIDS이슈에 대한 제 3자 효과, 제1자 효과를 중심으로", 방송통신연구, 제58권, pp.301-328, 2004.
- 유홍식, "인터넷게임에 대한 제3자 편향적 지각과 규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11권, 제2호, pp.333-364, 2011.
- W. Peiser and J. Peter, "Third-Person Perception of Television-Viewing Behavior," Journal of Communication, Vol.50, No.1, pp.25-43, 2000. https://doi.org/10.1111/j.1460-2466.2000.tb02832.x
- 양승찬, "제 3자 효과 가설과 침묵의 나선 이론의 연계성-여론조사 보도에 대한 제 3자 효과 지각과 공개적 의견 표명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43권, 제2호, pp.109-141, 1998.
- 김옥태, 김규찬, "언론의 신종플루 보도가 대학생의 예방위생 행동에 미치는 영향: 제 3자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4권, 제6호, pp.344-367, 2010.
- D. M. McLeod, W. P. Eveland, and A. I. Nathanson, "Support for Censorship of Violent and Misogynic Rap Lyrics: An Analysis of the Third-Person Effect," Communication Research, Vol.24, No.2, pp.153-174, 1997. https://doi.org/10.1177/009365097024002003
- 탁진영, "과장광고의 설득효과와 제 3자 효과: 규제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10권, 제1호, pp.398-441, 2010.
- 이병관, 백혜진, 김봉철, "광고에서 유명인 모델의 부정적 정보와 유명인 모델 광고의 부정적 효과에 대한 광고주의 지각을 중심으로", 광고연구, 제65호, pp.147-169, 2004.
- 송경희, 이수영, "외국위성방송 수신과 제3자 효과", 한국방송학보, 제10권, pp.229-256, 1998.
- D. V. Shah, R. J. Faber, and S. Youn, "Susceptibility and Severity: Perceptual Dimensions Underlying the Third-Person Effect," Communication Research, Vol.26, No.2, pp.240-267, 1999. https://doi.org/10.1177/009365099026002006
- 박신영,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제 3자 효과", 한국방송학보, 제25권, 제6호, pp.290-331, 2011.
- W. Eveland, A. Nathason, B. Detender, and D. M. McLeod, "Rethinking the Social Distance Corollary-Perceived Likelihood of Exposure and the Third-Person Perception," Communication Research, Vol.26, No.3, pp.275-302, 1999. https://doi.org/10.1177/009365099026003001
- I. Lewis, B. Watson, and R. Tay,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Physical Threats in Road Safety Advertising: The Role of the Third-Person Effect, Gender, and Age,"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F: Traffic Psychology and Behavior, Vol.10, pp.48-60, 2007. https://doi.org/10.1016/j.trf.2006.05.001
- 차동필, "신종 조류독감 보도에 대한 제 3자 효과 연구", 홍보학연구, 제18권, 제1호, pp.188-211, 2014.
- 안세근, 조정희,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자기 통제력과의 연구", 한국교육논단, 제6권, 제2호, pp.87-103, 2007.
- 주정민, "인터넷 포르노그래피의 이용과 지각적 편향", 한국방송학보, 제19권, 제4호, pp.563-603, 2005.
- 박재영, 김세은, "열독신문에 대한 비판이 독자의 신뢰도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제48권, 제5호, pp.295-318, 2004.
- M. Gottfredson and T. Hirschi. A General Theory of Crime, Palo Alto: Standford University Press, 1990.
- 심재웅, "포르노그래피 이용이 성차별주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2권, 제6호, pp.167-188, 2008.
- 홍종필, 이시연, "잡지 속의 신체 이미지 광고에 대한 노출이 20대 여성의 기분과 신체 불만족에 미치는 영향", 미디어, 젠더&문화, 제4호, pp.72-118, 2005.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스마트세대 20대의 미디어 이용 행태, KISDI stat report, 2013.
- 올리버 브라이언트, 김춘식,양승찬, 이강형 역, 미디어 효과 이론, 나남,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