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nge Process of River Management Policy and the Factors of Dam and River-mouth Weir's Problems in Japan

일본 하천관리정책의 변화과정과 댐.하구언 문제의 요인

  • Ito, Tatsuya (Institute of Regional Development, KNU) ;
  • Lee, Chul Woo (Institute of Regional Development, Department of Geograph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이등달야 (법정대학지리학과, 경북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
  • 이철우 (경북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지리학과)
  • Received : 2014.04.30
  • Accepted : 2014.05.18
  • Published : 2014.05.31

Abstract

Since the late 1990s, a nationwide movement against dam and river-mouth weir plans in Japan has been promoted with a movement against a river-mouth weir for the Nagara river(長良川). This movement has been a catalyst for institutional frameworks on the central government's dam and river-mouth weir plans. Subsequently, water resource and river management policies have entered a new phase, with provinces governors's participation in "Statements on withdrawal from dam and river-mouth weir" as well as the seizing of power by the Democratic Party. However, problems with dams and river-mouth weirs have been confused due to poor countermeasures from the Democratic Party and to the Liberal Democratic Party(LDP)'s return to power. The fundamental causes on this situation are the non-establishment of fiscal norms for public projects and the rigidity of the water-right allocation system in Jananese policy-making processes. To successfully settle future policy on water resources and rivers, the first priority is to prepare specific institutional frameworks on finance of public projects and to organize a practical policy coordination system among government organizations. These policy tasks provide implications for river and water management policy in Korea.

일본의 댐 하구언 계획에 대한 전국적 차원의 반대운동은 1990년대 말 나가라강 하구언 반대운동을 계기로 본격화 되었다. 이는 중앙정부차원에서 댐 하구언 계획에 대한 재검토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도록 하는 기폭제가 되었다. 그 후 광역자치단체장들의 "탈 댐 하구언 선언" 참여와 민주당의 집권으로 수자원 및 하천 관리정책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였다. 그러나 민주당 정권의 미숙한 대응책과 자민당의 재집권으로 댐 하구언 문제는 혼선을 거듭하고 있다. 이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은 일본의 공공사업 정책결정 과정에 있어서의 재정에 대한 규범의 미 확립과 수리권 배분 제도의 경직성에서 찾을 수 있다. 향후 일본의 수자원 및 하천 정책이 성공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최우선적으 로 공공사업 재정에 대한 구체적인 제도적 기반과 정부 조직 간의 실질적인 정책조정 시스템이 정비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한국의 하천 및 물 관리 정책에 있어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