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der and Political Space with a Focus on the Rhetoric of Female Politicians

젠더와 정치공간: 여성 정치인의 수사학을 중심으로

  • Ahn, Sook-Young (Department of Women's Studies, Graduate School of Policy Studies, Keimyung University)
  • 안숙영 (계명대학교 정책대학원 여성학과)
  • Received : 2014.03.30
  • Accepted : 2014.06.15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Political space, the area where politics takes place, is generally treated as a male-centric space. The number of female politicians is increasing, but the core of political space is still dominated by male politicians. Therefore, on the one side, female politicians use masculine rhetoric in order to show that they are equal to male politicians, and on the other side, they use feminine rhetoric like the rhetoric of the First Lady or the rhetoric of motherhood in order to emphasize the differences with male politicians and stress their novelty as female politicians. In this situation, female politicians are confronted with the difficulty that they have to keep a balance between masculine and feminine rhetoric. In this context, this study, in chapter II, analyzes the monopoly of male politicians on political space and the dominance of masculine rhetoric and emphasizes that the political space is strongly gendered. Chapter III examines the possibilities and limits of the rhetoric of the First Lady and of the rhetoric of motherhood which female politicians use in the political space to draw attention to their messages. Chapter IV suggests two strategies to change the situation of the dominance of masculine rhetoric in the political space: the strategy of mainstreaming of women and the strategy of mainstreaming of gender agendas. Lastly, this study emphasizes that we need to develop an alternative feminine rhetoric by paying attention to the diversity of women.

정치가 펼쳐지는 장소로서의 정치공간은 일반적으로 남성의 공간으로 간주된다. 여성 정치인의 숫자가 증가하고 있지만 대다수의 핵심적인 정치공간은 여전히 남성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 그래서 여성 정치인은 정치공간에서 남성 정치인과 다름없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남성적 수사학을 활용하는 한편으로, 남성 정치인과의 차별성을 드러내고 여성 정치인으로서의 새로움을 강조하기 위해 퍼스트레이디나 어머니의 수사학 같은 여성적 수사학을 활용하기도 한다. 이런 가운데 여성 정치인은 남성 정치인과는 달리 남성적 수사학과 여성적 수사학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을 유지해야 하는 어려움에 직면한다. 이런 맥락에서, 이 글은 먼저 II장에서 남성에 의한 정치공간의 독점 및 이에 따른 남성적 수사학의 지배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정치공간이 젠더화되어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어 III장에서는 남성적 수사학이 정치공간을 지배하고 있는 상황에서 여성 정치인이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 위해 주로 활용해 온 여성적 수사학, 즉 퍼스트레이디나 어머니의 수사학이 갖는 가능성과 한계를 분석한다. 나아가 IV장에서는 남성에 의한 정치공간의 독점 및 남성적 수사학의 지배라는 상황을 변화시키기 위한 두 가지 전략, 즉 여성의 주류화 전략과 젠더의제의 주류화 전략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결론에 해당하는 V장에서는 앞으로의 여성적 수사학이 여성의 다양성에 주목하여 새로운 대안적 수사학을 발전시켜 나갈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