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원구, 강민희, 양정림 등(2009). 컴퓨터를 이용한 집중력 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일반노인과 치매노인의 뇌 활성화 비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7, 1-13.
- 김경신(2008). 원예치료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우울과 기능적 재활에 미치는 영향. 탐라대학교 경영.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민정(2008). 집단미술치료가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의 시공간 능력에 미치는 영향. 가천의과학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정순, 정인숙, 김윤진 등(2003). 지역사회 치매 고위험군 선별 및 웹을 이용한 예방프로그램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33(2), 236-245.
- 김현주(2014). 감각 훈련을 활용한 음악활동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 증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노효련, 황기철, 감진아(2011). 의도적인 다감각환경(snoezelen)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일상생활활동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지, 50(3), 393-412.
- 박성휘(2007). 인지재활프로그램이 노인성 치매환자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박윤정, 윤탁, 김명선(2005). 주의력 재활 훈련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인지 기능에 미치는 효과. 국심리학회지, 24(4), 721-737.
- 박윤진(2012). 전신진동운동이 노인성 치매 환자의 신체 기능과 뇌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박재설, 강연욱, 진주희 등(2000). 알쯔하이머병과 혈관성 치매의 시공간적구성능력 비교. 연차학술대회발표 논문집, 2000, 40-41.
- 박종한, 권용철(1989). 노인용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의 표준화 연구-제2편: 구분점 및 진단적 타당도. 신경정신의학회지, 28(3), 508-513.
- 박흥석, 황수연, 민경철 등(2007). 뇌졸중,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알렌 인지 수준 판별검사(ACLS)의 신뢰도 연구.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1(1), 1-6.
- 안석균, 오병훈, 현명호 등(1997). 만성정신분열증 환자에서 전산화 인지재활프로그램을 이용한 주의력 향상 훈련의 효과. 신경정신의학회, 36(1), 72-79.
- 염지영(2006). 나이에 따른 전두엽 기능의 변화 : 인지기능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오상원(2011). 치매노인의 집단미술치료 효과성 연구.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유익성(2011). 고정식자전거 운동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균형능력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경원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유주연(2010). 12주간의 요가운동이 초기 혈관성 치매노인의 신체조성, 체력, 혈중 지질 및 신경전달물질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유혜숙(2011). 중창 음악요법이 치매증상에 미치는 영향. 고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윤숙영(2007). Pincus의 재활실천이론에 근거한 원예치료 적용이 치매노인의 일상활동기능 및 생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이남원(2014). 선율 중심 인지재활 프로그램이 경증 알츠하이머 치매노인의 단기기억력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이병철(1999). 혈관성 치매의 분류 및 치료. 서울, 최신의학사.
- 이병희, 박준수, 김나라(2011).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치매 노인의 인지, 신체적 수행능력, 보행, 삶의 질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지, 50(2), 307-328.
- 이선영(2008). 탄력저항 운동이 치매노인의 뇌기능지수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이은희, 이정화(2005). 몬테소리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대인관계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지, 30, 237-261.
- 이성은(2014). 주의력과 단기기억력 중심의 인지재활 음악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 음악적 주의제어훈련(MACT)와 음악적 기억훈련(MMT)의 효과.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전미경(2001). 감각자극이 치매환자의 균형반응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정원미, 이동영, 유승호 등(2008). 지역사회 경증치매환자에서의 집단인지재활 치료효과 : 작업치료 치료과정모델을 중심으로.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6(4), 1-17.
- 정혜임(2008). 규칙적인 운동이 치매노인의 신체적 기능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문헌적 고찰.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조성현, 김승준(2010). 12주간 복합운동프로그램이 혈관성 치매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삶의 질 지수에 미치는 효과. 대한물리의학회지, 5(4), 633-644.
- 지광호(2011). 아세틸콜린분해효소 억제제 복용 및 규칙적인 운동이 혈관성 치매 환자의 인지기능, 일상생활 동작,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지혜련(2003). 치매간호중재 프로그램이 경증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최애나, 류기광(2007). 집단음악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정서 삶의 질 및 정신행동증상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지, 46(3), 143-174.
- 통계청(2012). 2012년 치매 유병률 조사. 보건복지부.
- 한상우, 이재신, 김수경 등(2012). 스노즐렌 치료가 치매노인의 이상심리행동과 뇌파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0(4), 81-94.
- 한태륜, 김진호(2002). 재활의학. 서울, 군자출판사.
- 황경옥(2012). 강제성 저항운동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대뇌피질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Allen CK(1985). Occupational therapy for psychiatric diseases: measurement and management of cognitive disabilities. Boston, Little, Brown.
- Chen SH, Thomas JD, Glueckauf RL et al.(1997). The effectiveness of computer-assisted cognitive rehabilitaion of person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Brain Injury, 11(3), 197-210. https://doi.org/10.1080/026990597123647
- Davis RN, Massman PJ, Doody RS(2001). Cognitive intervention in Alzheimer's disease: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study. Alzheimer Dis Assoc Disord, 15(1), 1-9. https://doi.org/10.1097/00002093-200101000-00001
- Penades R, Boget T, Catalan R et al.(2002). Cognitive mechanism, phychosocial functioning and neurocognitive rehabilitation in schizophrenia. Schizophr Res, 63(3), 219-227.
- Quayhagen MP, Quayhagen M, Corbeil RR et a.l(1995). A dyadic remediation program for care recipients with dementia. Nurs Res, 44(3), 153-159.
- Quayhagen MP, Quayhagen M, Corbeil RR(2000). Coping with dementia: evaluation of four nonpharmacologic interventions. Int Psychogeriatr, 12(2), 249-266. https://doi.org/10.1017/S1041610200006360
- Requena C, LopezIbor MI, Maestu F et al.(2004). Effects of cholinergic drugs and cognitive training on dementia. Dement Geriatr Cogn Disord, 18(1), 50-54. https://doi.org/10.1159/000077735
- Zanetti O, Frisoni GB, De Leo D et al.(1995). Reality orientation therapy in Alzheimer's disease: useful or not? A controlled study. Alzheimer Dis Assoc Disord, 9(3), 132-138. https://doi.org/10.1097/00002093-199509030-00003
Cited by
- 경증치매 노인을 위한 인지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vol.4, pp.4, 2014, https://doi.org/10.17703/jcct.2018.4.4.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