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Computer - based Attention Program on Cognition and Executive Function in Elderly with Vascular Dementia

컴퓨터 주의집중 프로그램이 혈관성 치매노인의 인지,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 Lee, Hyojeong (Dept. of Physcial Therapy,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
  • Hwang, Kyoungok (Dept. of Physcial Therapy,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 이효정 (한국교통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 황경옥 (한국교통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Received : 2014.05.06
  • Accepted : 2014.06.12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cognition and executive function by computer - based attention program in vascular dementia. Method : The subjects of this study, old man diagnosed with vascular dementia, 12 patients were picked up, who were agreed with this research and were having hospital care for 4 weeks at nursing care centers. Computer-based attention program was applied to vascular dementia. Cognitive function measured by a K-MMSE and executive function measured by ACL. The SPSS Ver. 18.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for data processing. The significance level for statistical inspection was set as 0.05. Result : In comparison of cognitive function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in the pre and post test and executive func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in the pre and post test. Conclusion : Therefore, the computer-based attention program is useful to improve the cognitive and executive function in elderly with vascular dementia.

Keywords

References

  1. 강원구, 강민희, 양정림 등(2009). 컴퓨터를 이용한 집중력 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일반노인과 치매노인의 뇌 활성화 비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7, 1-13.
  2. 김경신(2008). 원예치료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우울과 기능적 재활에 미치는 영향. 탐라대학교 경영.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김민정(2008). 집단미술치료가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의 시공간 능력에 미치는 영향. 가천의과학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김정순, 정인숙, 김윤진 등(2003). 지역사회 치매 고위험군 선별 및 웹을 이용한 예방프로그램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33(2), 236-245.
  5. 김현주(2014). 감각 훈련을 활용한 음악활동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 증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노효련, 황기철, 감진아(2011). 의도적인 다감각환경(snoezelen)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일상생활활동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지, 50(3), 393-412.
  7. 박성휘(2007). 인지재활프로그램이 노인성 치매환자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박윤정, 윤탁, 김명선(2005). 주의력 재활 훈련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인지 기능에 미치는 효과. 국심리학회지, 24(4), 721-737.
  9. 박윤진(2012). 전신진동운동이 노인성 치매 환자의 신체 기능과 뇌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박재설, 강연욱, 진주희 등(2000). 알쯔하이머병과 혈관성 치매의 시공간적구성능력 비교. 연차학술대회발표 논문집, 2000, 40-41.
  11. 박종한, 권용철(1989). 노인용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의 표준화 연구-제2편: 구분점 및 진단적 타당도. 신경정신의학회지, 28(3), 508-513.
  12. 박흥석, 황수연, 민경철 등(2007). 뇌졸중,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알렌 인지 수준 판별검사(ACLS)의 신뢰도 연구.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1(1), 1-6.
  13. 안석균, 오병훈, 현명호 등(1997). 만성정신분열증 환자에서 전산화 인지재활프로그램을 이용한 주의력 향상 훈련의 효과. 신경정신의학회, 36(1), 72-79.
  14. 염지영(2006). 나이에 따른 전두엽 기능의 변화 : 인지기능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오상원(2011). 치매노인의 집단미술치료 효과성 연구.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유익성(2011). 고정식자전거 운동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균형능력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경원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유주연(2010). 12주간의 요가운동이 초기 혈관성 치매노인의 신체조성, 체력, 혈중 지질 및 신경전달물질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유혜숙(2011). 중창 음악요법이 치매증상에 미치는 영향. 고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 윤숙영(2007). Pincus의 재활실천이론에 근거한 원예치료 적용이 치매노인의 일상활동기능 및 생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 이남원(2014). 선율 중심 인지재활 프로그램이 경증 알츠하이머 치매노인의 단기기억력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이병철(1999). 혈관성 치매의 분류 및 치료. 서울, 최신의학사.
  22. 이병희, 박준수, 김나라(2011).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치매 노인의 인지, 신체적 수행능력, 보행, 삶의 질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지, 50(2), 307-328.
  23. 이선영(2008). 탄력저항 운동이 치매노인의 뇌기능지수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4. 이은희, 이정화(2005). 몬테소리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대인관계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지, 30, 237-261.
  25. 이성은(2014). 주의력과 단기기억력 중심의 인지재활 음악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 음악적 주의제어훈련(MACT)와 음악적 기억훈련(MMT)의 효과.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6. 전미경(2001). 감각자극이 치매환자의 균형반응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7. 정원미, 이동영, 유승호 등(2008). 지역사회 경증치매환자에서의 집단인지재활 치료효과 : 작업치료 치료과정모델을 중심으로.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6(4), 1-17.
  28. 정혜임(2008). 규칙적인 운동이 치매노인의 신체적 기능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문헌적 고찰.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9. 조성현, 김승준(2010). 12주간 복합운동프로그램이 혈관성 치매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삶의 질 지수에 미치는 효과. 대한물리의학회지, 5(4), 633-644.
  30. 지광호(2011). 아세틸콜린분해효소 억제제 복용 및 규칙적인 운동이 혈관성 치매 환자의 인지기능, 일상생활 동작,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1. 지혜련(2003). 치매간호중재 프로그램이 경증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2. 최애나, 류기광(2007). 집단음악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정서 삶의 질 및 정신행동증상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지, 46(3), 143-174.
  33. 통계청(2012). 2012년 치매 유병률 조사. 보건복지부.
  34. 한상우, 이재신, 김수경 등(2012). 스노즐렌 치료가 치매노인의 이상심리행동과 뇌파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0(4), 81-94.
  35. 한태륜, 김진호(2002). 재활의학. 서울, 군자출판사.
  36. 황경옥(2012). 강제성 저항운동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대뇌피질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7. Allen CK(1985). Occupational therapy for psychiatric diseases: measurement and management of cognitive disabilities. Boston, Little, Brown.
  38. Chen SH, Thomas JD, Glueckauf RL et al.(1997). The effectiveness of computer-assisted cognitive rehabilitaion of person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Brain Injury, 11(3), 197-210. https://doi.org/10.1080/026990597123647
  39. Davis RN, Massman PJ, Doody RS(2001). Cognitive intervention in Alzheimer's disease: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study. Alzheimer Dis Assoc Disord, 15(1), 1-9. https://doi.org/10.1097/00002093-200101000-00001
  40. Penades R, Boget T, Catalan R et al.(2002). Cognitive mechanism, phychosocial functioning and neurocognitive rehabilitation in schizophrenia. Schizophr Res, 63(3), 219-227.
  41. Quayhagen MP, Quayhagen M, Corbeil RR et a.l(1995). A dyadic remediation program for care recipients with dementia. Nurs Res, 44(3), 153-159.
  42. Quayhagen MP, Quayhagen M, Corbeil RR(2000). Coping with dementia: evaluation of four nonpharmacologic interventions. Int Psychogeriatr, 12(2), 249-266. https://doi.org/10.1017/S1041610200006360
  43. Requena C, LopezIbor MI, Maestu F et al.(2004). Effects of cholinergic drugs and cognitive training on dementia. Dement Geriatr Cogn Disord, 18(1), 50-54. https://doi.org/10.1159/000077735
  44. Zanetti O, Frisoni GB, De Leo D et al.(1995). Reality orientation therapy in Alzheimer's disease: useful or not? A controlled study. Alzheimer Dis Assoc Disord, 9(3), 132-138. https://doi.org/10.1097/00002093-199509030-00003

Cited by

  1. 경증치매 노인을 위한 인지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vol.4, pp.4, 2014, https://doi.org/10.17703/jcct.2018.4.4.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