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1) to analyze the impact factor of clothing and textile-related journals by utilizing the average number of cross-citation that evaluates the relative importance of an academic journal and 2) to provide a list of journals with higher impact factor by analyzing closeness and betweenness among individual journals through graph networks. To fulfill this, a total of 10 clothing and textile-related journals, which are accredited b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were analyzed. For analysis of the average number of cross-citation, the targeted research papers were limited to those published between 2008 and 2011 and they were derived from the Korea Citation Index. The software used for network analysis was R ver. 2.15.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Korean Society of Knit Design' was indicated as the highest rate of self-citation, followed by 'Journal of the Korean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Secondly, the average impact power of clothing & textile-related journals was relatively lower (0.681) compared to that (1.00) of 23 journals under the human ecology discipline.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was found to have impact factor of 1.24, which was higher than the average impact factor of human ecology-related journals. Lastly, together with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본 연구는 학술지의 질적인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인 상호인용 빈도를 활용하여 의류학 관련 학술지의 영향력을 파악하고, 나아가 연결망 그래프를 활용하여 학술지 간의 관계도를 연구하여 연구자들에게 국내 의류 관련 학술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영향력 있는 학술지를 보다 쉽게 파악하고자 한다. 분석대상은 한국연구재단에 등재되어 있는 의류학관련 10개 학술지로 하였으며, 상호인용 빈도는 2008년부터 2011년까지의 논문으로 KCI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재정리된 별도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결망분석에 활용한 소프트웨어는 R ver. 2.15이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인용비율에 대해서는 패션과 니트가 압도적으로 높고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가 다음 순이었다. 둘째, 중분류 생활과학에 속하는 23개 학술지의 영향력지수 평균이 1.00임에 비추어 볼 때, 의류학 관련 학술지들의 영향력지수 평균은 0.681로 다소 낮은 편이다. 한국생활과학회지는 1.24의 영향력 지수를 보여 중분류 생활과학에 속하는 학술지 평균보다 높았다. 한국생활과학회지는 근접중심성 및 중개중심성도 한국의류학회지와 함께 높아 의식주 관련 학술지들의 상호인용에 있어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