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HACCP System Implementation on Productivity, Advantage and Disadvantage of Laying Hen Farm in Korea

산란계 농장의 HACCP 제도 적용에 따른 생산성과 장단점 분석

  • Nam, In Sik (Department of Animal Life and Environment Science, Hankyoung National University) ;
  • Kim, Hyung Sik (Korea Livestock Products HACCP Accreditation Service) ;
  • Seo, Kang Min (Department of Animal Life and Environment Science, Hankyoung National University) ;
  • Ahn, Jong Ho (Department of Animal Life and Environment Science, Hankyoung National University)
  • 남인식 (국립한경대학교 동물생명환경과학과) ;
  • 김형식 (축산물안전관리인증원) ;
  • 서강민 (국립한경대학교 동물생명환경과학과) ;
  • 안종호 (국립한경대학교 동물생명환경과학과)
  • Received : 2014.03.25
  • Accepted : 2014.06.15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sis the reason for implementing HACCP system, advantage and disadvantage of HACCP system implemented laying hen farm. The study was carried out by randomly selected fifteen laying hen farms located in all around Korea. All data were collected from fifteen laying hen farms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HACCP syst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egg production rate, livability rate and monthly used animal medicine fee did not changed after HACCP system implementation. However, monthly used disinfectant fee tended to be higher in HACCP farm compared to non-HACCP farm. 26.92% of the laying hen farmer responded enhancement of their farm competitiveness as the major propose for implementing HACCP system. The advantages of HACCP implemented laying hen farms were methodical farm management (22.39%), improvement of awareness (21.18%), improvement of the farm sanitation management level (15.30%), safety egg production (15.05%), productivity enhancement (7.29%), reduction of mortality rate (6.82%), and improvement of labor's welfare (5.89%). The disadvantages of HACCP implemented laying hen farms were HACCP recording (43.30%), alteration of consciousness (22.60%), HACCP monitoring (11.11%), HACCP education (9.97%), HACCP verification (6.90%), and A high turnover of labor (6.13%). In conclusion, implementation of HACCP system to laying hen farm did not affect on the productivity or the use of animal medicine. However, the HACCP system may enhance safety and sanitation of egg production for consumer.

본 연구는 HACCP 제도 발전의 기초 자료로써 활용을 목적으로 국내 15개 산란계 농장을 대상으로 성계 생존율, 피크 산란율, 의약품 및 소독제 사용비 그리고 HACCP 제도의 적용 이유 및 장단점을 적용 전과 후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선정된 농장의 평균 산란계 사육 수수는 152,320으로 국내 평균 산란계 농장 규모보다 다소 크게 나타났으며, 평균 노동력은 10.7명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내국인과 외국인으로 분류하면 내국인은 7.21명(71.14%)이었으며, 외국인은 2.86명(22.86%)이었다. HACCP 제도의 적용 전 피크 산란율은 91.37%, 도입 후에는 91.94%로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으며(P>0.05), 성계 생존율도 도입 전 93.13%, 도입 후 93.80%로 유의성을 발견하지 못하였다(P>0.05). 또한, 동물용 의약품 사용비(수/월)는 HACCP 제도의 적용 전 월 평균 35.19원/수로 적용 후 평균 31.21원/수보다 평균 약 3.98원/수 낮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05). 소독 약품 사용 금액은 HACCP 적용 전 6.72원/수에서 적용 후 8.67원/수로 평균 약 1.95원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발견하지 못하였다(P>0.05). HACCP 제도 도입 이유의 경우, 1순위는 경쟁력 향상(26.92%), 2순위는 안전한 계란(폐계) 생산(23.43%), 3순위(21.33%)는 체계적인 농장 관리, 4순위 (17.13%)는 높은 계란 값, 5순위는 계란을 구매업체의 요구(6.99%), 6순위는 정부의 재정적 지원(4.20%)인 것으로 조사되었고, HACCP 적용에 따른 장점으로는 1순위는 체계적인 농장 관리(22.39%), 2순위는 농장 관리 직원의 위생 안전에 대한 의식 향상(21.18%), 3순위는 농장의 위생 관리 수준의 향상(15.30%), 4순위는 안전한 계란 생산(15.05%), 5순위는 생산성 향상(7.29%), 6순위와 7순위는 각각 폐사율 감소(6.82%)와 생산비 감소(6.12%)로 조사되었다. 산란계 농장의 HACCP 제도 적용에 따른 어려운 점은 HACCP 기록(43.30%), 의식 변화(22.60%), HACCP 모니터링(11.11%), HACCP 교육 (9.97%), HACCP 검증(6.90%), 직원 변동(6.13%) 순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모든 결과를 종합해 보면, HACCP 제도의 적용에 따른 산란계 농장의 생산성과 동물용 의약품 사용은 유의성이 없었다. 그러나 소독 약품 사용은 유의성 없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농장의 질병 예방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다 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산란계 농장 HACCP 제도 도입에 따른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향후 정부 및 관련 기관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Back SH, Kang SC, Lee WC, Nam IS 2012 Effects of HACCP system implementation on domestic livestock product plants. Korean J Food Sci An 32:168-173. https://doi.org/10.5851/kosfa.2012.32.2.168
  2. Chinabut S, Puttinaowarat S 2005 The choice of disease control strategies to secure international market access for aquaculture product. Pro Fish Vaccinol 121:255-261.
  3. Cho JJ, Back SH, Lim DG, Pyo SI, Lee WC, Nam IS 2010 Effects of HACCP system implementation on medicine use and productivity of swine farms in Korea. Korean J Food Sci An 30:392-396. https://doi.org/10.5851/kosfa.2010.30.3.392
  4.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2001 Food Hygiene Basic Programs. 3rd. Bernan Association, Lanham, MD.
  5. Hays VW 1991 Effects of antibiotics. In Growth Regulation in Farm Animals. Pearson AM and Dutson TR(eds) Elsevier Applied Science, London, pp. 299-320.
  6. Spencer H, Georgina H, James N 1999 Costs and benefits of implementing HACCP in the UK dairy processing sector. Food Control 10:99-106. https://doi.org/10.1016/S0956-7135(98)00162-5
  7. Steel RD, Torrie JH 1960 Principles and Procedures of Statistics. p 481. McGraw-Hill Book Company. NY.
  8. 농림수산식품부 2006 양돈농장 HACCP적용을 위한 표준 기준서. 농림수산식품부.
  9. 농림수산식품부 2007a 2013a 비육우농장, 산양농장 HACCP 적용을 위한 표준 기준서. 농림수산식품부.
  10. 농림수산식품부 2007b 젖소농장 HACCP 적용을 위한 표준기준서. 농림수산식품부.
  11. 농림수산식품부 2008a, 2009, 2010 육계농장, 오리농장, 메추리농장 HACCP 적용을 위한 표준 기준서. 농림수산식품부.
  12. 농림수산식품부 2008b 산란계 농장 HACCP 적용을 위한 표준 기준서. 농림수산식품부.
  13. 농림수산식품부 2011a 부화장 HACCP 적용을 위한 표준 기준서. 농림수산식품부.
  14. 농림수산식품부 2011b 2012년 축산물 HACCP 활성화 대책. 농림수산식품부.
  15. 농림수산식품부 2013b 2013년 농림수산식품사업 시행지침. 농림수산식품부.
  16. 남인식 2010 HACCP 시스템 적용이 중규모 양돈농장의 동물용의약품 사용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물자원과학회 52:71-76.
  17. 이성모 유한상 홍종해 2004 산란계 농장에서의생물학적 위해 요인과 관리점 분석.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지 44:593-605.
  18. 이지윤 이주연 백승희 황인진 이경순 김영수 김병훈 김현수 강수철 조재진 박민서 석희진 남인식 2011 HACCP적용 농장의 병원성 세균 관리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53:67-74.
  19. 조재진 남인식 2011 HACCP 시스템 적용이 대규모 양돈농장의 동물용의약품 사용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53:177-182.
  20. 조강호 강해정 2009 HACCP 도입 양돈농가의 생산특징 및 시사점. 한국농업정책학회지 36:610-629.
  21. 축산물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원 2013 축산물HACCP적용 현황 통계. 축산물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원.
  22. 통계청 2013 가축동향. 통계청.

Cited by

  1.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Milking Levels and Automatic Milking System of Dairy Cattle vol.21, pp.2, 2015, https://doi.org/10.11109/JAES.2015.21.2.65
  2. A Study on the Field Application through the Improvement of Scoring System for HACCP Evaluation Items of Cattle Farm vol.26, pp.4, 2018, https://doi.org/10.11625/KJOA.2018.26.4.7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