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Landscape of Post-ELSI Methodologies: The Governance of Synthetic Biology and 'Undone Social Science'

Post-ELSI 지형도: 합성생물학 거버넌스와 '수행되지 않은 사회과학'

  • 우태민 (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
  • 박범순 (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 Received : 2014.12.10
  • Accepted : 2014.12.23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This paper explores what we call 'the problem of undone social science' by examining the lack of interests in the social, ethical, and legal issues of synthetic biology among social scientists in Korea. This new field of science, which has emerged in the twenty-first century with the promise of solving future problems of energy, food, and disease in the world, has also created a considerable degree of anxiety over the issues of bioethics, biosafety, and biosecurity. From its beginning, therefore, researchers of synthetic biology in Europe and the U.S. have sought to engage social scientists in their projects. Yet scientists and social scientists in Korea have shown no sign of working together to deal with both potential benefits and risks of synthetic biology. Why this silence? What strategic moves would be needed to overcome the structural barrier for their collaboration? Surveying the diverse methodologies developed during and after ELSI (ethical, legal, social implications) experiments, this paper aims to provide three suggestions that might make possible mutually profitable and continuously stimulating dialogues between the two worlds of science and social science: first, institutionalize the ELSI studies on any newly emerging science and technology of concern; second, explore diverse post-ELSI methodologies experimented elsewhere and develop ones that might be applicable best to the Korean situation; and third and perhaps most important, create an intellectual space and a lawful protection for social scientists to exercise their research freedom at the reasonable level and receive a fair review by their peers, not solely by funding agencies and scientific organizations.

이 논문에서는 '수행되지 않은 사회과학(undone social science)'의 한 사례로 한국에서 합성생물학에 대한 사회과학적 연구의 부재를 지적하고 그 구조적 원인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합성생물학은 자연에 존재하지 않는 생명물질을 만들어내고 새로운 생물체의 시스템을 설계하거나 자연에 있는 생명시스템의 재설계를 목표로 21세기 초 등장했다. 이 새로운 과학기술은 인류가 직면한 에너지, 식량, 질병 문제들을 해결해 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받고 있지만, 이전에 없던 합성생물체의 등장과 바이오 테러, 바이오 헤커 등으로 인류의 생존 자체가 위협받을 수 있다는 극단적인 우려도 낳고 있다. 따라서 이 분야를 주도하고 있는 미국과 유럽의 과학기술계는 초창기부터 사회과학자들의 관심과 참여를 중요하게 생각해서로 함께 연구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왔다. 그런데 왜 한국에서는 합성생물학의 생명윤리, 생물안정성, 생물안보 등의 문제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을까? 만약 지금부터라도 사회과학자들의 참여를 독려한다면, 어떤 방식으로 하는 것이 좋을까? 이에 답하기 위해 인간유전체사업과 함께 도입되었던 ELSI(Ethical, Legal, and Social Implications) 연구의 성과와 논란을 살펴보고, ELSI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등장한 post-ELSI의 다양한 방법론을 소개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과학기술에 대한 ELSI 프로그램의 제도화가 시급하고, post-ELSI 논의의 활성화로 한국에 맞는 연구방법을 찾는 것이 필요하며, 사회과학자들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확보할 수 있는 지적 공간과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할 것이라는 세 가지 제언을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