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Audit Review System

감리제도의 실효성에 대한 연구 - 회계정보의 질을 중심으로 -

  • Kwak, Young-Min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University of Ulsan) ;
  • Jung, Jae-Jin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Dongguk University)
  • 곽영민 (울산대학교 경영대학 회계학과) ;
  • 정재진 (동국대학교 경영학부)
  • Received : 2014.11.20
  • Accepted : 2014.12.22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We examine evid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s that targeted by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for allegedly manipulating annual earnings and accounting quality measured by the discretionary accruals, an issue with important public policy implications.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extent to which Korean WDS(Window Dressing Settlement) firms identified by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in their audit review exhibit higher level of accounting quality in order to avoid any potential negative effects and to regain public confidence after audit review. In this study, we analyzed 51 WDS firms and 102 control firms which traded in the Korean Stock Exchange market during the period from 2000 to the 2010. The number of observations subject to various tests are 251 and 502 firm-years for WDS and control samples respectively across the 5 year sample perio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accounting quality after auditor review be significantly improved.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FSS's audit review system would control the accounting quality and then improve the transparency of the accounting information. Thus it may be suggested that the current audit review system is efficient ways to lead listed firms to provide transparent financial statements.

본 연구에서는 현행 감사보고서 회계제도의 실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분식회계로 인해 감리지적을 받은 기업을 대상으로 하여 감리기간을 전 후한 회계정보의 질에 변화가 존재하는가를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재량적 발생액을 회계정보의 질에 대한 대용변수로 선정하여 감리지적 기업의 감리지적 이전 기간과 이후 기간에 재량적 발생액의 수준이 감리지적을 받지 않은 일반기업들로 구성된 통제집단에 비해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가를 관찰한다. 주요한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변량 분석결과 감리지적 기업은 감리지적 이전 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재량적 발생액을 감리지적 이후 기간에는 유의미한 음(-)을 재량적 발생액을 나타내고 있었다. 다음으로 통제집단과의 비교를 통한 다변량 분석체계에서는 감리지적 기업이 통제집단에 비해 감리지적 이전 기간에는 높은 수준의 양(+)의 재량적 발생액을 보이는 반면, 감리지적 이후에는 재량적 발생액의 크기가 현저하게 줄어들어 통제집단과 유사한 수준인 것으로 관찰된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감리지적 기업이 감리지적 이전에는 높은 수준의 증가적 이익조정을 통해 왜곡된 회계정보를 시장에 전달한 반면, 감리지적 이후에는 감리제도의 효과에 의한 엄격한 외부감사 혹은 기업 스스로의 자발적 노력 등으로 인해 회계정보의 질이 일반기업과 유사한 수준으로 개선되었음을 의미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