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유아의 과학적 탐구기술 이해 검사도구의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Assess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Science Inquiry Skills and Its Application

  • 김경숙 (전남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 김희영 (세한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투고 : 2014.04.15
  • 심사 : 2014.06.16
  • 발행 : 2014.06.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과학적 탐구기술 이해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의 과학적 탐구기술에 대한 관련문헌과 검사도구를 분석하고 유아교육전문가 및 과학교육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유아가 습득해야 할 과학적 탐구기술 이해의 5개 범주를 선정하였다. 이를 기초로 유아의 과학적 탐구기술 이해를 측정하는 문항을 개발하여 유아검사와 전문가 조사를 통해 문항구성의 적합도와 내용타당도를 검증하고 문항을 수정 보완하였다. 이를 통해 관찰하기 이해 3문항, 분류하기 이해 4문항, 예측하기 이해 4문항, 측정하기 이해 5문항, 토의하기 이해 3문항, 총 19문항이 개발되었다. 최종 개발된 19문항의 양호도를 검증한 결과, 문항난이도, 문항변별도, 문항 내적합치도는 적절한 수준이었으며 공인타당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도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개발된 검사도구를 만3, 4, 5세 유아 300명에게 적용한 결과, 과학적 탐구기술에 대한 이해 정도가 만5세, 4세, 3세 순으로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남녀 유아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의 과학적 탐구기술 이해 검사는 문항양호도,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된 도구임이 검증되었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develop an instrument to assess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science inquiry skills. For the purposes of the study, based on analysis of literature and evaluation tools related to young children's science inquiry skills, five categories of understanding science inquiry skills including observing, classifying, predicting, measuring, and discussing were selected. Then 30 test items were developed and verified three times through opinions from science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fessionals and teachers. Finally, a total of 19 test items within five categories were developed. The 19 items' item difficulty, item discrimination, and item internal consistency were verified statistically. In addition, concurrent validity and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items were verified by the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instrument developed in this study was administered to 300 children who were 3, 4, and 5 years old. The results showed that 5 year old children had better competence to understand science inquiry skills than 4 and 3 year old children, whil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competence between boys and girls.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과학기술부(2008).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교육과학기술부.
  2. 교육과학기술부(2012). 유치원 누리과정 해설. 교육과학기술부.
  3. 강병서, 김계수(2005). 사회과학 통계분석. 서울: SPSS아카데미
  4. 권재술, 김범기(1994). 초.중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측정도구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3), 251-264.
  5. 권영례(2000). 유아과학교육. 서울: 학지사.
  6. 김경미, 김현주, 송연숙(2012). 현장중심 유아과학교육. 서울: 창지사.
  7. 김미경(2004). 유아과학교육. 서울: 교육아카데미.
  8. 김민정(2003). '물에 뜨고 가라앉는 것' 활동에서 나타난 유아의 과학적 탐구경험과 개념.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은정(2002). 탐구적 과학교수-학습법이 소리에 대한 유아의 개념형성 및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0. 김윤희(2002). 포트폴리오 구성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 및 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김진주(2010). 채소 기르기 활동이 만 4세 유아의 과학관련 태도 및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남기원(2001). 실험구성활동이 유아의 과학과정기술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민순영(2003). 유아 과학능력 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영유아보육연구, 9, 1-23 .
  14. 맹애영(2004). 생물 관찰활동에서의 교사의 역할과 유아의 과학과정 기술의 변화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박나경(2004). '개구리' 주제에 관한 유아의 탐구능력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서윤희(2003).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성은지, 이문옥(2008).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증진을 위한 통합적 생물기르기 활동. 교육연구, 44, 55-185.
  18. 신은수, 안경숙, 김은정, 안부금 공저(2009). 생활과학 환경중심의 영유아 과학교육. 서울: 양서원.
  19. 안경숙(2003). 유아 과학 활동과 통합된 과학능력 평가도구의 개발: 과학적 태도, 탐구 능력, 과학적 개념에 대한 평가.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 유경숙(1999). 구성주의에 기초한 밀가루점토활동 구성방식에 따른 유아의 과학적 개념, 과정 기술 및 태도의 차이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1. 이경민(2000). 상호작용교수법에 의한 과학교육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 탐구능력, 태도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2. 이경우, 이정환(1992). 유아를 위한 과학교육. 서울: 창지사.
  23. 이민정, 이연승, 전지형, 강민정, 이해정, 김정희, 전윤숙, 박주연 공저(2012). 유아과학교육: 실험중심 탐구활동. 서울: 공동체.
  24. 조부경, 고영미, 남옥자 공저(2010).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과학교육. 서울: 양서원.
  25. 조형숙, 김선월, 김지혜, 김민정, 김남연(2010). 유아과학교육. 서울: 학지사.
  26. 차명애(2011). 플로러닝에 따른 자연친화교육 활동이 유아의 자연탐구지능, 과학적 탐구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7. 추정희(2000). 유치원 과학활동에서 포트폴리오 평가활동의 적용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한유미(2010). 유아과학교육. 서울: 창지사.
  29. Abruscato, J.(2000). Teaching children science(5th ed.). Needham Height, MA: Allyn & Bacon.
  30. Althouse, R.(1998). Investing sscience with young children. N.Y.:Teacher College press.
  31. Bowers, A.(1995). Portfolios for assessment and instrution. Greensboro. NC: ERIC Clearinghouse on Counseling and Student Services.
  32. Gelman, R., Brenneman, K., MacDonald, G., & Roman, M.(2010). Preschool pathways to science. Baltimore: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Inc.
  33. Gelman, S. A., & Kremer, K. E.,(1991). Understanding natural cause: Children's explanation of how objects and their properties originate. Child Development, 62, 396-414. https://doi.org/10.2307/1131012
  34. Goodwin, W. L., & Goodwin, L. D.(1997). Using standardized measures for evaluating young children's learning(pp,92-137) In B. Spodek & O. N. Saracho.(Eds). Years book in early chhildhood education vlo 7.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35. Gullo, D. F.(1997). Assessing student learning through the analysis of pupil products. In B. Spodek & O. Saracho(Eds.), Issu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assessment and evaluation. (pp129-148).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36. Harlen, W. (1983). Process skills, concept, and Nation Assessment in science.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3, 245-254. https://doi.org/10.1007/BF02356711
  37. Harlan, J. D.(2005). Science Expioring for the Early Childhood years. NY: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38. Harlan, J. D. & Rivkin, M.(2003). 유아과학 교육의 이론과 실제. 진명남, 이혜주, 정정희 (역). 서울: 창지사.
  39. Lind, K. K. (2000). Expioring Sci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3rd Ed). Albany, NY: Thomson Demar Learning.
  40. Martin, D. J.(1997). Elementary science methods : A constructivist approach. New York: Delmar.
  41. Martin, D. J.(2001). Constructing early childhood science. New York: Delmar.
  42. Martin, D. J.(2003). Elementary science methods: A construtivist approach. C. A.,: Wadsworth, Thomson Learning.
  43. Martin, D. J.(1997). 초등과학교육 : 성주의적 접근. 임청환.권성기.송명섭.송남희(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44. Mindes, G.(2003). Assessing young children(2nd ed.). Upper Saddle River, NJ: Merrill/Prentice-Hall.
  45. National Research Council(1996). Improving insturction and assess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ummary of workshop serie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46. National Research Council(2000).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47. McGrew, K. S., & Woodcock, R. W.(2001). Technical manual: Woodcock-Johnson III. ltasca, IL; Riverside.
  48. Ostlund, K, L.,(1992). Science process skills: Assessing hands-on student performance. Boston. MA: Addison-Wesley.
  49. Rezba, R. J., Sprague, C., Fiel, R., & Funk, h. j.(1995). Learning and assessing science process skills. Dubuque, Iowa: Kendall/ Hunt Publishing Company.
  50. Ruiz-Primo, M., & Shavelson, R., Hamilton, L., & Klein, S.(2002). On Evaluation of Systemic Science Education Reform: Searching for Instructional Sensitivity Journal. https://doi.org/10.1002/tea.10027
  51. Samarapungavan, A., Mantzicopoulos, P., Patrick, H., & French, B.(2009).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cience learning assessment(SLA): A measure of kindergarten science learniung. Journal of Advanced Academics, 20(3), 502-535. https://doi.org/10.1177/1932202X0902000306
  52. Seefeldt, C., Galper, A., & Jones, I.(2011). Active experiences for active children science(3rd Ed). NJ.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5), 369-393.
  53. Smith. A.(2000). Relective portfolios: Preschool possibilities. Childhood Education. 76(4), 204-208. https://doi.org/10.1080/00094056.2000.10521163

피인용 문헌

  1. 오감을 이용한 벼 관찰활동에서의 만3세 유아의 과학과정기술 변화에 관한 연구 vol.11, pp.5, 2014,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0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