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Use of Open Global Network System Interconnection in E-Trading

전자무역의 글로벌 네트워크 개방시스템 상호연결 활용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3.11.22
  • Accepted : 2014.02.22
  • Published : 2014.02.27

Abstract

A trade logistic informatization system under Open Systems Interconnection(OSI) includes a Por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a Maritime Information System, and an Export and Import Batch Processing System. These have made a great contribution in the creation of more convenient and efficient management for the logistics industries in our country. However, this management is exposed to the technological problems of networks due to the explosive use in the sending and receiving of e-documents. For our country to grow as a center for port and logistic information, we should make the best use of the control systems using networks and further advance the export and import logistic system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management systems for a composite network and an invasion detection system for efficient management of an e-trade network under OSI. Methods to rationalize the internal organizations such as coordination of organizations and human resources according to alloted network functions, commissions and arbitrary decisions, and reorganization of relevant regulations are not discussed here. This study looked at trade network under OSI from the aspect of practical business affairs and presented a basis for further interpretation.

현재 활용되고 있는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체재하의 무역 관련 물류정보화 시스템으로는 항공관제시스템, 항만운영정보시스템, 해운 선원정보시스템, 수출입일괄처리시스템 등이 있는데 이들 시스템들은 우리나라 물류 관련 산업의 운영체계를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개선시키는데 많은 부문에 기여하고 있다. 그렇지만 운영 측면에서는 전자문서의 폭발적인 송수신 폭주로 네트워크의 기술적인 문제점들이 적잖게 노출되어 있다. 우리나라가 물류의 정보중심지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체재속의 IT기술 중 네트워크를 이용한 제어기법들을 충분히 활용하여야 할 때이며 수출입 물류체계를 한층 더 신속 및 정밀화시켜 고도화 단계로 성장시켜야 할 때이다. 따라서 본 논문의 핵심은 OSI 체재하의 전자무역 네트워크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부문별 종합 네트워크와 데이터 단위전송의 침입탐지시스템 등의 관리방법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기능 배분에 따른 조직과 인력의 조정, 사무의 위임전결 등 내부조직의 합리화 방안과 관련법규의 정비 등은 연구범위에 포함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OSI 체재하의 무역 관련 네트워크를 실무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향후 해석적 기초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