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통상환경에서 국제신벤처기업의 기업가정신, 수출성과 관계와 학습역량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competence between the entrepreneurship and export performance of international new ventures in global trade environment

  • 조연성 (동아대학교 국제무역학과)
  • Cho, Yeon-Sung (Department of International Trade, Dong-A University)
  • 투고 : 2014.03.12
  • 심사 : 2014.03.20
  • 발행 : 2014.03.27

초록

본 연구는 글로벌 통상환경에서 빠르게 외국시장에 진출하는 국제신벤처기업의 기업가정신과 수출성과의 관계와 학습역량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국제신벤처기업은 국내 시장에서의 경험과 충분한 자원을 보유하지 못했음에도 적극적으로 외국시장을 개척하고 수출활동을 전개하는 기업이다. 기존 연구에서는 해당 기업의 출현 원인으로 창업자나 경영진의 기업가정신 그리고 동 기업이 보유한 특유자원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특유자원을 활용하는 역량관점의 연구들이 있었다. 본 연구는 이 중에서 학습역량의 역할에 주목하였다. 학습역량은 기업의 무형자원으로 기업가정신이라는 심리적 경향성을 조직 문화에 반영할 수 있는 수단이다. 이로써 외국시장에서 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학습하고 조직 안으로 체화하며, 시장에 필요한 대응방안을 만들 수 있다. 이처럼 국제신벤처기업의 활동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과 수출성과의 관계를 실증분석하려 국내 수출기업 중 국제신벤처기업의 기준을 충족하는 115개 표본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학습역량의 매개효과를 포함해서 6개의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LISREL을 사용해서 가설검정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기업가정신 중 혁신성향은 학습역량과 수출성과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반면 위험감수성향은 학습역량에는 긍정적 영향을 주었지만 수출성과에는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지 못했다. 또한, 학습역량은 수출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 분석에서는 학습역량이 기업가정신 중 혁신성향과 수출성과 사이에서는 부분매개효과를 위험감수성향과 수출성과 사이에서는 완전매개효과를 보여주었다. 본 결과로 학습역량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앞으로 국제신벤처기업을 대상으로 학습역량의 역할을 탐구하려는 연구에 이론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위험감수성향과 수출성과의 관계와 학습역량의 매개효과에서는 충분한 학습역량 구축이 위험감수성향의 역할에 선행한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learning competence and the export performance of international new ventures that enterprises entering foreign markets immediately after starting their business in Korea, and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competence. A research framework was developed with two entrepreneurship factors(risk taking and innovativeness), learning competence factors, and export performance. Six hypotheses were proposed and tested on 115 samples using LISREL.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the two entrepreneurship factors positively influenced learning competence. However, export performance was affected by only innovativeness. Also, the learning competence positively affected export performance. Learning competence was found to mediate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export performanc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