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함주입기법을 이용한 차량용 고신뢰성 임베디드 시스템의 안전성 검증방안

  • 이동우 (항공대학교 항공전자공학과) ;
  • 류대현 (한세대학교 IT학부) ;
  • 나종화 (항공대학교 항공전자공학과)
  • Published : 2014.04.30

Abstract

자동차 전장제품 활용의 급속한 증가에 대응하기 위하여 자동차 분야에서는 ISO 26262 안전설계절차를 도입하여 차량용 임베디드 시스템의 안전성을 확보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ISO 26262는 자동차에서 발생 가능한 비정상상태(abnormal state)를 식별하고 그의 영향을 분석하며 전체 시스템의 안전을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다양한 종류의 부품이 연동되는 복잡한 시스템의 안전 검증은 결함수목법과 고장모드영향분석법을 활용하는 위험분석법이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결함주입시험은 이러한 위험분석의 기반도구로서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된 고장감내 기능의 동작여부 및 그에 따른 시스템의 안전성을 검증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차량용 고신뢰성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고장감내 메카니즘들의 기능과 안전을 검증하는 방법과 사례를 소개한다. 최근의 복잡한 차량용 임베디드 시스템의 개발은 상위수준의 모델을 개발하여 지정된 위험 및 고장을 초래하는 결함을 시스템에 주입하고 그의 결과를 분석하여 안전을 검증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개발 목표 차량의 임베디드 시스템 모델을 개발하고, 식별된 결함의 결함모델을 준비한 뒤, 시스템 모델 기반 결함주입 도구를 이용하여 결함주입을 수행하는 시험방법과 그 결과에 대하여 논의한다. 하드웨어는 SystemC 하드웨어 설계언어를 이용하여 개발하고, 소프트웨어를 컴파일하여 실행화일을 확보하여 시험대상인 결함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대상으로 결함주입시험에 대해 설명한다.

Keywords

References

  1. Barry W. Johnson, "Design and Analysis of Fault Tolerant Digital Systems", Addison Wesley Publishing Company, 1988
  2. Lsrael Koren and C. Mani Krishna, "Fault-Tolerant Systems", Morgan Kaufmann, 2007
  3. Shubu Mukherjee, "Architecture Design For Soft Errors", Morgan Kaufmann, 2008
  4. Daniel Gil, Juan Carlos Baraza, Joaquin Gracia and Pedro Joaquin Gil, "VHDL Simulation-Based Fault Injection Techniques", Fault Injection Techniques and Tools for Embedded systems Reliability Evaluation, pp159-176, 2003
  5. Dongwoo Lee, Jongwhoa Na, "A Novel Simulation Fault Injection Method for Dependability Analysis" IEEE Design & Test Computers, 11-12. 2009
  6. Jongwhoa Na, Dongwoo Lee, "Simulated Fault Injection Using Simulator Modification Technique", ETRI Journal, Volume 33, no1. Feb, 2011
  7. Open SystemC Initiative (OSCI), http://www.systemc.org/home
  8. Daniel J. Sorin, "Fault Tolerant Computer Architecture", Morgan & Claypool Publishers, pp19-22, 2009
  9. 이동우, "Electronic System Level 수준의 시뮬레 이션 기반 System on Chip 설계 및 신뢰성 검증 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항공대학교, 2008
  10. 채승엽, 김원종, "ISO 26262에 따른 차량용 ECU 소프트웨어와 SoC 대응방안", 정보처리학회지, vol 19. no 3, pp73-81,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