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용 블랙박스(사고영상기록장치) 데이터에 대한 보안기술 적용방안 연구

  • 김원주 ((주)디에스멘토링 기업부설연구소) ;
  • 김홍희 ((주)디에스멘토링)
  • Published : 2014.04.30

Abstract

자동차 산업 인프라의 발달로 자동차 사용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자동차 사고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 자동차 사고는 개인 및 사회의 비용손실과 즉결되므로 많은 운전자들이 자동차용 블랙박스(사고영상기록장치)를 구입하여 장착하고 있다. 이런 자동차용 블랙박스는 교통사고 시점의 영상을 저장 재생 하므로 정확한 사고원인을 규명하는데 활용되고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그 이면에 자동차용 블랙박스는 자동차가 운행될 때 마다 영상을 촬영하고 저장되기 때문에 의도되지 않은 개인의 사생활이 노출 될 수 있으며 또한 저장된 사고영상 데이터를 의도적으로 조작하여 교통사고의 원인규명을 방해하는 문제가 발생 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내 관련 동향을 알아보고 보안기술을 적용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손해보험협회, "국내외 차량용 블랙박스 현황과 제도화 방향(上)", 2011년 5월
  2. 기술표준원, "KS C 5078 자동차용 사고영상 기록 장치", 2013년 11월
  3. T.M. Kowalick, Fatal Exit: The Automotive Black Box Debate, IEEE Press, 2005년
  4. 김무섭, 최수길, 정치윤, 한종욱. "차량용 블랙박스 보안 이슈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7권 4호, pp. 123-129, 2012년 8월
  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CCTV 기반 얼굴 검출 및 인식 시스템 보안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2009년 7월hnology+for+Light+Veh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