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보편적 소통 가능한 학교 공공 디자인의 공공성에 관한 연구 - 도시 재생적 측면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ublicness in Public Design with Schools for Universal Communication - Focused on aspects of Urban Regeneration -

  • 이용환 (연성대학교 공간디자인학부)
  • 투고 : 2014.02.28
  • 심사 : 2014.04.07
  • 발행 : 2014.04.30

초록

Recently, multiple metropolitan counties and local authorities have been actively working on improving their local existence with various methods and strategies. Such change cannot be observed when local authorities were chosen by the government. Also, the public administration has recently emphasized important factors of public design which seeks better lifestyle and outward beauty from quantitative growth and policy of strongly considering outward form due to the compressive modernization. Public design intends to complete aesthetic factor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s the efficiency as the value of public administ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how public school has been evolved as public space and how to create local user-centered interaction. The study retrieve the communication which the essential publicness in the school public design and the self-management which is the original value in terms of sociology. The method in which the characters of the public design of the publicness have been changed will be concentrated on in public area. In addition, the study has been focused on the efforts of the reflection of the development in public design are the challenges for the aim of the design of the publicnes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길섶, 사회운동의 새로운 가로지르기: 공공영역과 공공성의 정치, 문화과학 통권23호, 문화과학사, 2000
  2. 김경욱․최범외, 공공미술이 도시를 바꾼다. 문화관광부. p44. 2006
  3. 김세용, 공공공간 그리고 공공디자인. 건축과 사회. 제13호. (사)새건축사협의회. 2008
  4. 김정후, 영국의 공공디자인 정책과 시사점, 국토:08년1월호, 국토연구원, 2008
  5. 도시재생네트워크, 뉴옥.런던.서울의 도시재생이야기, 픽셀하우스, 2009
  6. 문화관광부, 공공디자인 정책의 기본방향,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6
  7. 박소영, 공공디자인을 통해 발견되는 건축적 공공성에 관한 연구, 대학건축학회지, 제24권 제8호, 2008
  8. 사이토 준이치, 민주적 공공성, 윤대석 외 역, 도서출판 이음, 2009
  9. 서수정, 고은정, 공공 공간을 매개로 한 원도심 활성화 방안,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08
  10. 서수정, 조준배, 임현성, 공공건축의 가치향상을 위한 정책방향 및 추진방안,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07
  11. 신승수, 사용자 중심의 중층적 공공성 실현을 위한 건축 디자인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2010
  12. 이상헌 2008.공공영역 대중의 등장과 공공건축. 건축과 사회. 제 11호. (사)새건축사 협의회
  13. 정강화. 도시 공공디자인의 해외 성공사례. 도시문제. 10월호, 월간 도시문제. 2007
  14. 정봉금, 21세기 문화산업을 위한 공공디자인 정책연구. 한국학술정보. 2007
  15. OECD, School for the Future: Exemplar Desig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