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은영(2008). 청년층 고학력(overeducation)이 이직에 미치는 영향. 고용과 직업 연구, 2(2). pp.183-207
- 김미란, 김안국, 정재호(2009). 직업훈련과 직장이동,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정책연구 보고서.
- 김영생 외(2010). 구직구인난 불일치 해소를 위한 산학연계형 직업교육 시스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정책연구보고서.
- 김상욱, 유홍준,(2002). 직무만족과 이직의사의 행태학적 결정 요인-전국 패널자료를 사용한 GLM 및 GEE 추정. 한국사회학연구, 36(1). 51-81.
- 김진영(2011), 대학서열과 임금격차 변화,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교육-노동시장연계과정에서의 불일치와 불평등 해소방안 세미나, 2011.1.17.
- 김홍균, 이지민(2010), 대학서열이 임금에 미치는 효과: 편입생 vs 비편입생, 재정학연구, 제3권 제3호, 2010년 8월, pp.107-129
- 나인강(2004). 직무만족, 이직의도 및 이직행위의 관계에 대한 패널자료 분석. 대학경영학회지, 18(2). 509-530.
- 남재량 외(2011). 청년층 노동시장 진입 및 정착방안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 노언경, 홍세희, 이현정(2011). 청년 취업자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사 변화의 잠재계층에 대한 이중 변화형태 모형의 적용, 조사연구, 12(2). pp.113-144
- 신동준, 류지영(2011). 대졸 청년층의 취업눈높이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연경진(2009). 정보통신분야 여성 청년층의 이직의도와 이직 행동 결정요인 분석, 석사학위논문. 숙명여대 여성인적자원개발대학원.
- 이규용(2011). 청년층 일자리는 어디에 있는가?. 노동포커서 5월호. 한국노동연구원. pp. 1-3.
- 이선희(2008). 직무만족과 개인-직무 부합도가 청년근로자의 이직 결정에 미치는 영향 : 사건사 분석법의 적용. 산업 및 조직, 제21권 제4호, pp.705-728
- 정지선, 강일규, 최영렬, 이길순, 박상철 (2007), 산학협력 지원정책 개선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정책연구 2007-1
- 통계청(2012). 경제활동인구조사 : 청년층 및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 보도자료 7.19.
- 장윤상, 이채영, 조영임, 전병욱, 최재원, 전병철(2009). 기계, 토목, 컴퓨터 전공 공대생의 취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설문조사 분석-수원대학교 중심으로-, 한국공학교육학회, 12(3). pp. 50-57.
- 한국고용정보원(2012). 2010년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추적조사 결과. 보도자료. 2012. 1. 27.
- Dole, C. & Schroeder, R.(2001). The impact of various factors on the personality,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s of professional accountants, Managerial Auditing Journal, 16(4), 234-245. https://doi.org/10.1108/02686900110389188
- Helman, C. M.(1997). Job satisfaciton and intent to leav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37(6). 667-6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