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ffects of WIE programs on women engineers' employment and career duration

여학생 공학교육 지원 사업이 공대 여성 졸업생의 취업과 경력유지에 미치는 영향

  • Gu, Su-Yeon (Dept. of Child & Family Studies, Kun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Dong-Ik (Dept. of Material Science & Engineering, Kunsan National University)
  • 구수연 (군산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김동익 (군산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Received : 2014.06.10
  • Accepted : 2014.11.03
  • Published : 2014.11.27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WIE(Women into Engineering) programs on women engineers' employment and career duration. For this study, the 91 female graduates with a degree in the field of engineering of K university who graduated from 2010 to 2013 were collected. The female graduates with a degree in the field of engineering of K university were divided into 4 groups-an employment group of relevant field of major, an employment group of irrelevant field of major, a group of graduate school, and a group of unemployment. The results were: first, the female graduates' program participation scores showed meaningful diversity according to the types of employment of female graduates with a degree in the field of engineering. Among the 4 types of employment of female graduates with a degree in the field of engineering, the group of graduate schoolers got the highest program participation scores, and the employment group of relevant field of major got the second scores, the group of unemployment got the third scores, and the employment group of irrelevant field of major got the last scores. Second, The female graduates' program participation scores showed meaningful diversity according to the career duration of female graduates with a degree in the field of engineering. The career du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ogram participation score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employment group of relevant field of major and the employment group of irrelevant field of major.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익(2011). 대학 내 여성 친화적인 공학환경조성. 보다 나은 미래를 위한 연대, 여성과 과학. WISET 포럼 2011 자료집.
  2. 김동익, 이영화(2013). 여성공학도의 전공 관련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공과대학 교육환경의 영향. 공학교육연구, 16(1), 69-77.
  3. 김안국(2005). 대졸청년층의 노동이동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 김지영(2013). 대졸자의 취업이동패턴과 이동요인분석.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노연희, 김명언(2011). 불완전교육의 선행요인 및 불완전고용이 조직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7(1), 19-49.
  6. 민무숙, 이정희, 송현주(2002). 여대생의 직업세계로의 이행을 위한 대학의 지원현황과 정책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7. 민주홍(2011). 전공숙련 불일치 실태 및 장단기 노동시장 성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개원 14주년 기념 세미나 발표집.
  8. 신선미, 오은진(2004). 여학생 진로 다양화를 위한 진로직업지도 가이드라인 개발. 한국여성개발원연구보고서 2005-4. 한국여성개발원.
  9. 신현균, 장재윤(2003). 대학4학년생의 성격 특성과 성별에 따른 취업 스트레스 및 정신건강.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4), 815-827.
  10. 이은경(2003). 여성과학기술인력 육성 및 지원정책의 추진성과와 향후과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1. 이은화, 박정희(2009). 남녀대학생의 취업 준비 학습실태 및 직업기초역량 교육의 만족도 차이. 진로교육연구, 22(2), 141-166.
  12. 임정연, 이영민(2008). 4년제 대학 이공계 전공 여학생의 직업 준비 과정이 이행결과에 미치는 영향. 직업능력개발연구, 11(2), 24-47.
  13. 장경원.우현주(2009). 여대생을 위한 직장적응능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 연구. 평생학습사회, 5(2), 207-234.
  14. 장재윤, 신현균, 김은정, 신회천, 하재룡, 장혜미 (2004). 대학 4학년생의 구직 행태에서의 성차. 한국심리학회지:일반, 23(2), 145-165.
  15. 전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2007). 여성과학기술인력 실태조사보고서, 과학기술부.
  16. 주휘정(2012). 신규대졸자의 직장적응 곤란 유형별 영향요인 분석. HRD연구, 14(1), 73-93.
  17. 차성연, 주휘정(2010). 교육 및 기술불일치가 임금, 직무만족,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19(3), 177-215
  18. 통계청(2013). 고용률, www.kostat.go.kr.
  19. 한경희, 박준홍, 강호정(2010). 공학과 젠더: 공학교육에 어떻 게 적용할 것인가?-여학생 공학교육선도대학 사업분석과 운영 경험을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13(1), 38-51.
  20. 한국교육개발원(2012). 교육통계연보.
  21. 한국교육개발원(2005). 교육통계
  22.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2012). 2012 여성과학기술인력현황
  23. 한지영, 한승우, 김영석(2010). 공과대학 여학생들을 위한 맞 춤형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 조사. 공학교육연구, 13(4), 130-142.
  24. 홍경선, 김동익, 구수연, 안진경(2011). 성인지적 교수전략을 바탕으로 한 수업 성찰과 멘토링 효과. 공학교육연구, 14(2), 40-50.
  25. 황규희, 최장균(2013). 4년제 대학 이공계 학과별 노동시장 성과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6. Betz, N. E.(2005). Women's career development. In Brown, S. D. & Lent, R. W.(Eds.). Career development and counseling: Putting theory and research to work, 253-277. NJ: Wil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