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안나(2011). 다학제간 융합 기반의 창의공학설계 수업모형 개발. 한국항행학회논문지, 15(6): 1118-1125.
- 교육과학기술부(2012). 2단계 공학교육혁신센터 지원사업 기본 계획(안).
- 권성호. 강경희(2008). 교양교육에서의 융합적 교육과정으로의 접근: 한양대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2(2): 7-24.
- 권수미(2012). 예술중심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언. 음악교육연구, 14(2): 67-100.
- 금지헌(2012). 실과 가정생활 영역을 활용한 융합인재교육프로 그램이 초등학생의 실과에 대한 태도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4(1): 61-71.
- 김대현(1998). 초등학교에서 실시하는 프로젝트 학습의 계획과 운영에 관한 평가 연구. 교육과정연구, 16(2): 297-327.
- 김덕현(2011). 융합 경영: 세상을 움직일 컨버전스 파워 10. 서울: 글로세움.
- 김민정(2012). 이공계 연구중심대학의 통합형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6(3): 357-381.
- 김성원 외(2012). 융합인재교육(STEAM)을 위한 이론적 모형 의 제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 388-403.
- 김왕동(2012). 창의적 융합인재에 관한 개념 틀 정립: 과학기술 과 예술 융합 관점. 영재와 영재교육, 11(1): 97-119.
- 김영미(2007). 원어민과 내국인 영어교사의 효율적 팀티칭을 위한 단계별 협동 전략 기초연구. 영어어문교육, 13(3): 177-201.
- 김영석(2007). 우리말 IT: Convergence. 한국전파진흥원.
- 김정효(2012). 지식기반사회에서 융합교육을 위한 간학문적 통합교육의 가능성 탐색. 문화예술교육연구, 7(1): 175-200.
- 김정희(2012). 융합인재교육(STEAM) 관점에서 미술교과의 공감각(Synesthesia) 교육에 대한 논의. 미술교육연구논총, 32: 125-144.
- 김해경. 김정희(2010). 파트너쉽에 기반한 미술교육 프로그램 의 교육적 의미와 구조에 관한 연구. 미술교육논총, 24(1): 93-121.
- 김혜경(2011). 프로젝트 중심 학습에서 수행역량기반 학습지 원체제 설계모형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남경완. 조철우(2012). 이공계 글쓰기 교육의 팀티칭 사례 연구. 공학교육연구, 15(1): 9-17.
- 남진숙(2012). 이공계 글쓰기 '팀티칭 수업(Team teaching)'의 효과적 방법 및 그 실제. 우리어문연구, 43: 33-63.
- 노상우. 안동순(2012). 초등학교 융합인재교육(STEAM)의 발전 방향 모색. 교육종합연구, 10(3): 75-96.
- 박민정(2007). 프로젝트 기반 수업을 통한 대학원 학생들의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교육과정연구, 25(3): 265-288.
- 박상수 외(2009). 영어. IT와 관광. 컨벤션영어의 융합교육과정 개발. 영미어문학, 92: 265-291.
- 박상태(2008). 이공계 대학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율전 캠퍼스의 사례를 중심으로. 작문연구, 7: 181-208.
- 백상수. 오정숙(2010). 특수교육 전공 대학원생의 협력교수에 관한 인식.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1(3): 583-612.
- 백윤수 외(2011). 우리나라 STAM 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4): 149-171.
- 손여울. 이병욱(2011). 팀티칭에 대한 공업계열 전문교과교사와 산학겸임교사 간 인식 비교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6(1): 75-94.
- 송인섭 외(2010). 과학영재를 위한 인문사회와 예술의 융합형 영재교육 프로그램개발. 영재와 영재교육, 9(3): 117-138.
- 신선경(2012). 학생주도 창의융합 프로젝트 모델 개발.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4(2): 53-59.
- 신재한 외(2013). 인형극을 통한 예술중심 STEAM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1): 215-240.
- 안재홍. 권난주(2012). 융합 및 통합 과학교육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 265-293.
- 안철수(2010). T자형 인재 뛰어넘는 A자형 인재되라. 월간 혁신리더 2010년 3월호.
- 오헌석 외(2012). 융합학문 어떻게 탄생하는가? 교육문제연구, 43: 51-82.
- 안혜리. 이웅배. 이민규(2010). 초등학교 미술교육에서 팀티칭사례연구. 미술교육연구논총, 28: 143-167.
- 유승희(2000). 프로젝트 수업의 이론적 배경. 열린교육연구, 8(2): 91-100.
- 윤린. 김인선. 최병욱(2011). 융합교육의 현황 및 향후 방향: 한밭대학교 사례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14(3): 55-60.
- 이경진. 김경자(2012). 통합교육과정 접근으로서의 '융합인재교육(STEAM)'의 의미와 실천 가능성 탐색. 초등교육연구, 25(3): 55-81.
- 이공래. 황정태(2005). 다분야 기술융합의 혁신시스템 특성분석. 서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이재호(2012). 융합형 영재교육기관의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6(1): 123-130.
- 이항구(1994). 조직활성화를 위한 팀빌딩 교육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희용(2011). 지식융합 교육을 위한 교과목 개발. 교양교육연구, 5(2): 11-37.
- 임유나(2012). 통합 교육과정에 근거한 융합인재교육(STEAM) 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초등교육연구, 25(4): 53-80.
- 임정훈 외(2004). 초중등학교에서 교실수업과 웹기반 학습을 연계한 커뮤니티 기반 프로젝트 학습모형 개발 연구. 교육공학연구, 20(3): 103-135.
- 장선영. 이명규(2012). 웹기반 프로젝트중심학습 환경에서 과제 해결능력을 촉진시키는 스캐폴딩 설계모형 개발 연구. 교육공학연구, 28(2): 371-408.
- 정인성. 이옥화(2001). 대학의 웹 기반 가상수업 팀티칭 모형 개발 연구. 교육정보방송연구, 7(2): 27-50.
- 정웅섭(1972). 교회교육 현장에서의 team teaching: 교회학교 수업개선을 중심으로. 신학연구, 13(4): 205-238.
- 최승숙(2004). 학습장애 등 경도장애학생 통합교육을 위한 초등학교 내 협력교수의 실제: 모형과 전략의 함의.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5(3): 323-352.
- 최양희(2010). 인재정책의 방향과 기본과제. 한국인적자원연구센터 포럼 발표자료집.
- 최예정(2011). 계열필수과목으로서의 융합형 교양교과목 운영 현황 연구. 교양교육연구, 5(2): 87-115.
- 최태호. 박명옥(2011). 융합형 영재교육의 가능성 모색. 영재교육연구, 21(3): 683-702.
- 태진미(2011). 창의적 융합인재양성, 왜 예술교육에 집중하는가? 영재교육연구, 21(4): 1011-1032.
- 황미옥(2006). 팀티칭에 의한 일본어작문 교수법; 새로운 작문 교수법에 대한 시도. 일본연구, 29: 363-384.
- 허영주(2013). 대학 융합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탐색. 교육종합연구, 11(1): 45-79.
- 현창희(2008). IT 기반 융합정책방향. 전자통신동향분석, 23(2): 1-13.
- 홍병선(2009). 대학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대안 모색: 교육경쟁력 강화를 위한 융합교과목 개발. 교양교육연구, 3(2): 51-78.
- 홍성욱(2012). 융합이란 무엇인가: 융합의 과거에서 미래를 성찰한다. 서울: 사이언스북스.
- Baillie, C. & Fitzgerald, G.(2000). Motivation and attrition in engineering students. Europea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25(2): 145-155. https://doi.org/10.1080/030437900308544
- Bauwens, J. & Hourcade, J. J.(1995). Cooperative Teaching: Rebuilding the Schoolhouse for All Students. PRO-ED.
- Bergen, D.(1996). Developing the art and science of team teaching. Childhood Education, 70(4): 242-243.
- Buckley, F. J.(2000). Team teaching(what, why, and how).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 Inc.
- Collins, B. C. et al.(1997). Using team teaching to deliver coursework via distance learning technology.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94754.
- Frodeman, R., Klein, J. T., & Mitcham, C.(2010). The Oxford Handbook of Interdisciplinarity. UK: Oxford University. Press.
- Helle, L., Tynjala, P., & Olkinuora, E.(2006). Project-based learning in post-secondary education: Theory, practice and rubber sling shot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er Education and Educational Planning, 51(2): 287-314.
- Kodama, F.(1991). Emerging patterns of innovation: Sources of Japan's technological edge.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 Krajcik, J. S. et al.(1994). A collaborative model for helping middle grade science teachers learn project-based instruction.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94(5): 483-497. https://doi.org/10.1086/461779
- Laffery, J. et al.(1998). A computer-mediated support system for project-based learning.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pment, 46(1): 73-86.
- Liu, T.C. et al.(2003). Wireless and mobile technologies to enhance teaching and learning.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19(3): 371-382. https://doi.org/10.1046/j.0266-4909.2003.00038.x
- Markham, T., Larmer, J., & Ravitz, J.(2003). Projectbased learning handbook: a guide to standards-focused project based learning for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 (2nd ed.). CA: Buck Institute for Education.
- Morgan, A.(1983). Theoretical aspects of project-base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14(1): 66-78. https://doi.org/10.1111/j.1467-8535.1983.tb00450.x
- Nissan, E. & Niroomand, F.(2006). Technological Change and Contribution to Growth and Convergence. Journal of Economic Development, 31(1): 113-134.
- Olds, H.(1964). 팀티칭의 분류. 정해수 외 공역. 팀티칭의 이론과 실제. 동화문화사.
- Reigeluth, C. M.(1983). Instructional design: What is it and why is it. In C. M. Reigeluth (Ed.), Instructional-design theories and model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 Rosenberg, N.(1963) Technocal change in the machine tool industry, 1840-1910. The Journal of Economic History, 23(4): 414-443. https://doi.org/10.1017/S0022050700109155
- Shapline, J. T. & Olds, H. E.(1964). Team Teaching. New York: Harper & Row Publishers.
- Strauss, A.(1987). Qualitative analysis for social scientist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The National center for research in Vocational Education (1988). Employ the team teaching approach. American Association for Vocational Instructional Material.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02649.
- Thomas, J. W.(2000). A review of research on projectbased learning. [on-line] Available: http://www.autodesk.com/foundation/pblpaper.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