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명대 원림서에 기술된 죽병(竹屏)의 활용과 그 의미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Bamboo Screen(Zhuping: 竹屏) and the Meaning in Gardening Books of Ming Dynasty

  • 투고 : 2014.02.03
  • 심사 : 2014.03.17
  • 발행 : 2014.03.31

초록

본 연구는 중국 명대 원림서인 원야, 장물지, 한정우기를 통해 중국 죽병의 용도와 식물소재를 분석한 것으로, 요약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위 세 서적은 거의 동일한 시기에 저술되었지만 작자가 바라보는 죽병의 시각은 부정적이기도 했고 적극 지지하는 의견이 피력되기도 한다. 이는 명초에 시은(市隱)을 조성할 때 죽병을 사용했던 양상이 퇴색되는 과정을, 나아가 명말 사회경제적 변화에 의해 죽병의 의미가 사치적 성향으로 전화되었음을 보여준다. 죽병은 덩굴성 식물의 가지가 등반 부착하게 하는 보조재(補助材) 또는 유도재(誘導材)의 성격으로 고안된 것이었다. 이는 한편 여름 내내 많은 꽃이 연이어 피는 장미과 식물의 관상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장치였으며, 또한 중국 특유의 문화적 향유와 관련되었다. 죽병에는 주로 꽃이 아름다운 장미과 식물이 사용되었으며, 이 식물들을 부식하여 만든 죽병은 평소에 담장의 역할을 하다가 개화기에는 아름다운 화벽을 볼 수 있는 다목적 시설로 설치되었다.

This study has researched the uses and plant materials of bamboo screen from the gardening books in Ming Dynasty: Yuanye (園冶), Zhang wu ji (長物志) and Xian Qing Ou Ji (閑情偶寄).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ough these books nearly were written nearly at the same period, the bamboo screen was seen in a negative viewpoint or positively endorsed by authors. These show the extinctive process which had used bamboo screen creating for urban seclusion in early Ming Dynasty and that the meaning was changed by the social economic changes in Late Ming Dynasty. Second, the bamboo screen was devised as a support which was trained the branches of the creepers. This was an equipment to maximize ornamental effectiveness with some rose families which produced nearly all year round, and it was involved cultural enjoyment of Chinese indigenous custom. Finally, the bamboo screen was used rose families for the beautiful flowers. And this was constructed as a multipurpose facility which was used as the flower screen in blossoming season as well as the role as wall.

키워드

참고문헌

  1. 계성 저, 김성화, 안대회 역(1993). 원야. 서울 : 藝耕.
  2. 김영모(2012). (알기쉬운) 전통조경 시설사전. 파주 : 동녘.
  3. 변우혁(1976). 李朝時代 庭園의 樹木과 配植에 關한 硏究. 環境論叢 3(1) : 172-188.
  4. 백종철, 김용기(2001). 조선시대 궁궐에 조성된 취병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9(2) : 28-37.
  5. 이은상(2012). (이미지로 읽는)양쯔강의 르네상스. 파주 : 한국학술정보.
  6. 陳士林, 林余霖(2012), 中草藥大典(上). 北京 : 軍事医科出版社.
  7. 정우진, 심우경(2013). 조선 후기 회화작품에 나타난 취병(翠屛)의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1(4) : 1-21.
  8. 한종진(2011). 明末淸初 紳士層 주거문화의 한 단면-李漁의 <閑情偶寄> <居室部>를 중심으로. 中國文學 66 : 269-294.
  9. 張家驥(2010). 中國園林藝術小百科. 北京 : 中國建築工業出版社.
  10. 張启翔(1999). 中國名花. 昆明 : 雲南人民出版社.
  11. James Cahill(2010). Pictures for Use and Pleasure : Vernacular Painting in High Qing China. Berkeley and Los Angeles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2. Maggie Keswick(1986). The Chinese Garden : History, Art & Architecture. Cambridge, Mass : Harvard University Press.
  13. David Stevens, Ursula Buchan(2001). The Royal Horticultural Society Garden Book. London.
  14. http://commons.wikimedia.org/wiki/File:Chloranthus_spicatus_(5288806467).jpg
  15. http://commons.wikimedia.org/wiki/File:Jasminum_officinale_Enfoque_2010-7-11_TorrelaMata.jpg
  16. http://en.wikipedia.org/wiki/Rosa_chinensis
  17. http://en.wikipedia.org/wiki/Rosa_multiflora
  18. http://en.wikipedia.org/wiki/Rosa_rugosa
  19. http://en.wikipedia.org/wiki/Rubus_rosifolius
  20. http://www.imagejuicy.com/images/plants/b/banksia/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