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on Student Self-Evaluation of Wrong Answers in School Mathematics

수학 교과에서의 학생의 오답원인 자기평가에 관한 사례 연구

  • Received : 2014.04.22
  • Accepted : 2014.05.10
  • Published : 2014.05.15

Abstrac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intelligent and affective domains through the student self-evaluation to identify causes of wrong answers. Through this evaluation, students could have opportunities to solve the given mathematical problems basically and to reflect their problem-solving process, and further to recognize which mathematical content(concepts or expressions, symbols, etc.) led them to solve the problems incorrectly or wrong. Through this process, they would correct their wrong process and answers and to reinforce the prerequisite knowledges relevant to the problems, and furthermore, to enhance problem-solving abilities. To accomplish this, this study was executed as a case study on the subject of four tenth graders. The subject consisted of two boys and two girls. In this study, three essay types of mathematical problems in tenth grade level were chosen from several domestic tests in Korea. Based on the original three essay type of problems, three types of similar problems, namely equivalent problem, similar problem, and isomorphic problems were reconstructed, respectively by the researchers. The subjects were guided to solve the original three problems, and they corrected their wrong parts of the first problem of the three problems. They solved an equivalent problem of the first problem and executed self evaluation and also corrected wrong parts. Next, they dealt with a similar problem of the first problem and executed self evaluation and also corrected wrong parts. Next, while dealing with an isomorphic problem of the first problem, the subjects did the same things. Thus, for the second and third original problems, the study was implemented in the same way. To explore their intelligent and affective domains through student self-evaluation in-depth, the subjects were interviewed formally before and after conducting the experiment and interviewed informally two times, and the recordings were audio-typed.

본 연구는 오답원인 자기평가와 유사 문제에 관련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자신의 학습 과정을 반성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 오답원인 자기평가를 실시하고 유사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영역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네 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근원 문항 3개를 제시하고 각각에 대한 유사 문항들을 유형별로 제시하여 오답원인 자기평가를 작성하게 하고, 이와 더불어 사전 면담과 사후 면담, 그리고 두 차례의 비공식 면담을 실시하였다. 한 마디로,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자들로 하여금 오답원인 자기평가지를 이용하여 유사 문항들을 해결하고 오류 원인을 점검하는 반성 활동을 거치면서 자신의 문제점을 스스로 판단하며 문제 풀이 과정의 변화와 수학 학습 태도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11-361호.
  2. 권효진 (2010). 고등학교 수학과 성취도 검사 결과의 자기평가에 나타난 오답원인 구조 분석.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김성훈 (2008). 오답원인 자기평가의 효과. 한국학술진흥재단 2007년도 기초연구과제(인문사회분야) 연구보고서.
  4. 김성훈 (2011). 오답원인 자기평가의 외적타당화: 고2 수학과와 영어과 수업 사례. 교육평가연구, 24(2), 209-230.
  5. 김성훈.김광주.권효진 (2009). 오답원인 자기평가 능력의 변화. 교육평가연구, 22(2), 291-309.
  6. 김수동⋅김선희 (2005). 수학 수업에서 학생평가를 잘 하려면.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05-51-4.
  7. 노은환.전영배.강정기 (2012). 유사 문제 해결에서 구조적 유사성, 분석적 활동 그리고 비교 활동의 역할.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5(1), 21-45.
  8. 반은섭⋅신재홍 (2012). 유추 조건에 따른 수학적 문제 해결 효과.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5(3), 535-563.
  9. 서종진 (2007). 피드백 방법에 따른 수학 학습의 효과.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0(1), 71-89.
  10. 박현정.이종희 (2006). 중학생들이 수학 문장제 해결 과정에서 구성하는 유사성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6(2), 115-138.
  11. 성창근.박성선 (2012). 구조화 정도가 다른 수학적 동형 문제 사이의 유추적 전이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초등수학교육>, 15(2), 59-75.
  12. 이금선.허난.양성현.손정화.조현공.이장주.김해윤.강옥기 (2013). 수학 학습 평가에서의 관찰평가 현장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2), 289-318.
  13. 이인제.이범홍.박정.진재관.김옥남.서수현.김신영 (2004). 교사의 학생 평가 실태 조사 및 전문성 신장에 대한 요구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연구보고 RRE 2004-5-1.
  14. 이종희.이진향.김부미 (2003). 중학생들의 유추에 의한 수학적 문제 해결 과정 : 사상의 명료화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16, 245-267.
  15. 전영배.노은환.강정기 (2011). 유사 문제 해결에서 구조적 유사성의 인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50(1), 1-12. https://doi.org/10.7468/mathedu.2011.50.1.001
  16. 최승현 (1999). 수학교과에서의 자기평가. 학교수학, 1(1), 123-133
  17. 최승현.구자옥.김주혼.박상욱.오은순.김재우.백현아 (2013). PISA와 TIMSS 결과에 기반한 우리나라 학생의 정의적 특성 함양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3-18.
  18. Polya, G. (1957). How To Solve It.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 English, L. D. (2004). Mathematical and analogical reasoning in early childhood. In L. D. English(Ed.), Mathematical and analogical reasoning of young learners (pp. 1-22). Mahwah, N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Cited by

  1. 고등학교 기하와 벡터 과목에서 풀이과정 서술의 오류 분석 vol.56, pp.1, 2017, https://doi.org/10.7468/mathedu.2017.56.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