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자아탄력성의 이해와 기독교대학에서의 소그룹 활동을 통한 적용

Understanding of Resilience and Its Application through Small Group Activities in Christian Universities

  • 투고 : 2014.01.06
  • 심사 : 2014.02.11
  • 발행 : 2014.03.28

초록

기독교대학은 대학생의 스트레스 상황에서 영향을 조절하여 완충시켜주거나 적응을 도와주는 자아탄력성의 구성요소들을 잘 분석하여 그 구성요소들을 강화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자아탄력성과 기독교대학에서의 소그룹 활동 간의 관계성을 탐구하여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의 증진을 위한 기독교대학에서의 역할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구체적으로 자아탄력성의 대표적 구성요소인 낙관성, 활력성, 감정통제력, 그리고 대인관계능력을 강화시킴에 있어서 소그룹 활동의 특성들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에 기초하여 기독교대학에서 소그룹 활동을 통한 영적 돌봄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몇 가지 사례들을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소그룹 활동이 스트레스로부터의 회복을 도와주는 자아탄력성의 네 기본요소들을 강화시켜 주기 때문에 기독교대학이 보다 적극적으로 종교 교육적인 목적의 소그룹 활동을 개발시킬 것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elements of resilience and small group activities in the university, and to explore small group activities as a protective and a positive factor in controlling the stress of college students. As the first part of the study, positive roles of resilience to the stress of college students and the elements that promote the efficiency of resilience are analyzed. The study precedent in detail and four elements of resilience are presented as following; optimistic realism, vitality, ability to control emotion, and interpersonal ability, addressing the faith in God is one of the strong positive factors for developing resilience. Then, this study deals with how the four elements of resilience relates to the characteristics of small group activitie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Christian universities to develop small group activities because they can develop each of the four elements of resilience of college students. Christian universities have a missional duty and the responsibility to help college students experience real happiness in their lives. Therefore, if Christian universities understand the effectiveness of resilience of college students and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resilience and faith, they can help students not only to live a positive life in their generation, but also to experience the authentic happiness.

키워드

참고문헌

  1. R. C. Kessler, P. Berglund, O. Demler, R. Jin, K. R. Merikangas, and E. E. Walters, "Lifetime prevalence and age-of-onset distributions of DSM-IV disorders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 Arches of General Psychiatry, Vol.62, pp.593-603, 2005. https://doi.org/10.1001/archpsyc.62.6.593
  2. 권오숙, 문성호, "청소년의 스트레스 및 자기통제력과 충동구매 경향성과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제14권, 제1호, pp.31-46, 2007.
  3. 서진자, 정민숙, "가독탄력성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제13권, 제5호, pp.262-274,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5.262
  4. J. Budziszewski, How to Stay Christian in College, Think, p.26, 2004.
  5. 박경, "부정적 생활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 문제해결과 완벽주의의 중재효과와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건강, 제9권, pp.265-283, 2004.
  6. 이혜성, 손영숙, 김미경, "대학생의 문제진단 및 해결행동 체크리스트 제작 연구," 학생생활연구, 제25권, pp.42-103, 1989.
  7. J. Block and A. M. Kremen,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0, No.2, pp.349-361, 1996. https://doi.org/10.1037/0022-3514.70.2.349
  8. A. S. Masten and A. Tellegen, "Resilience in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Contributions of the Project Competence Longitudinal Study," Development and Psychology, Vol.24, pp.345-361, 2012. https://doi.org/10.1017/S095457941200003X
  9. 손병일, 정민숙, 가족스트레스와 가족탄력성이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9호, pp.193-203,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9.193
  10. S. Howard and B. Johnson, "Tracking Student Resiliency," Children Australia, Vol.24, pp.14-23, 1999.
  11. 박병기, 이선영, 송정화,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교육심리연구, 제24권, 제1호, pp.61-82, 2010.
  12. 남인수, 이창훈, "체육계열 대학생의 각성추구성향이 자아탄력성 및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제19권, 제1호, pp.331-343, 2010.
  13. 서경현, 김성민,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문제음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역할," 한국알코올과학회지, 제10권, 제2호, pp.21-34, 2009.
  14. M. Li, "Relationships among Stress Coping, Secure Attachment, and the Trait of Resilience Among Taiwanese College Students," College Student Journal, Vol.42, No.2, pp.312-325, 2008.
  15. A. Ewert and A. Yoshino, "The Influence of Short-term Adventure-based Experiences on Levels of Resilience," Journal of Adventure Education & Outdoor Learning, Vol.11, No.1, pp.35-50, 2011. https://doi.org/10.1080/14729679.2010.532986
  16. 지미 롱, 소그룹 리더 핸드북, IVF 자료개발부 편역, IVP, 1995.
  17. 송희영, 임지영, 남경아, "일반청소년을 위한 적응유연성 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정신간호학회지, 제15권, 제1호, pp.31-39, 2007.
  18. 조안 Z. 보리센코,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들의 비밀, 안진희 역, 이마고, 2011.
  19. 김주환, 회복탄력성, 위즈덤하우스, 2011.
  20. D. A. Seamands, Healing for Damaged Emotions: Recovering from the Memories That Cause Our Pain, Chariot Victor Publishing, 1981.
  21. 김정숙, 청년들의 스트레스와 그 기독교적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22. 김영한, 기독교 신앙유무와 자아정체감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23. 김효정, 정미애, "대학생의 가족기능과 자기효능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6권, 제1호, pp.43-50, 2010. https://doi.org/10.5977/JKASNE.2010.16.1.043
  24. George E. Vaillant, "Positive Emotions, Spirituality and the Practice of Psychiatry," Mens Sana Monographs, Vol.6, No.10, pp.48-62, 2008. https://doi.org/10.4103/0973-1229.36504
  25. 채이석, 이상화, 건강한 소그룹 사역 어떻게 할것인가?, 소그룹하우스, p.25, 2005.
  26. Paulus Scharpff, History of Evangelism, Eerdmans, 1974.
  27. 정웅섭, "소그룹 교육체제와 기독교교육," 신학연구, 제30권, pp.47-76, 1989.
  28. A. G. Synder, Teaching Adults, Westminster Press. 1958.
  29. 김문택, "공동체 훈련을 통한 선교적 자세 함양," 선교신학, 제34집, pp.73-100, 2013.
  30. 김태석, 제자훈련이 내적치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서울과 경기지역에 소재한 W교회, J교회, S교회를 중심으로), 안양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1. 이철승, "성경적 상담의 적용-우울증, 그 원인과 교회의 역할," 성경과 상담, 제7집, pp.81-98, 2007.
  32. 강장식, 자존감 향상에 교회 내 소그룹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3. 한혜실, 정정숙, 최경운, 김대용, 심정하, 김경휘, "기독교대학 신입생의 소그룹 활동이 자기효능감, 대인관계, 불안에 미치는 효과," 신앙과 학문, 제15권, 제4호, pp.159-189, 2010.
  34. 로베르타 헤스테네스, 소그룹 성경공부, 이종록 역, 두란노, 1991.
  35. C. Reid, Groups Alive, Church Alive, Harper and Row, 1969.
  36. 김성경, "대학신입생의 스트레스와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10권, 제2호, pp.215-237, 2003.
  37. 론 니콜라스, 소그룹 운동과 교회성장, 신재구 역, 한국기독학생회 출판부, 1986.
  38. 홍영기, MTS 운영원리와 실제, 교회성장연구소, 2005.
  39. L. O. Richard, A New Face for the Church, Zondervan, 1970.
  40. 김도일, "인간성 회복을 추구하는 기독교 영성교육," 종교교육학연구, 제32권, pp.1-21, 2009.
  41. 김상권, 청년실종, 공동체성으로 회복하라, 크리스천리더, 2012.
  42. K. F. Brockelman, "The Interrelationship of Self-Determination, Mental Illness, and Grades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Vol.50, No.3 pp.271-286, 2009. https://doi.org/10.1353/csd.0.0068
  43. S. G. Brown and G. R. Schiraldi, "Reducing Subclinical Symptoms of Anxiety and Depress: A Comparison of Two College Course," Americ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Vol.35, No.3, pp.158-176, 2004. https://doi.org/10.1080/19325037.2004.10603632
  44. G. E. Lesure-Lester and N. King, "Racial-Ethnic Differences in Social Anxiety Among College Students," College Student Retention, Vol.6, No.3, pp.359-367, 2005.
  45. A. Mouratidis and G. D. Sideridis, "On Social Achievement Goals: Their Relations With Peer Acceptance, Classroom Belongingess, and Perceptions of Loneliness," The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Vol.77, No.3, pp.285-307, 2009. https://doi.org/10.3200/JEXE.77.3.285-308
  46. 김현희, 서정숙, 김재숙, 강은주, 임영심, 박상희, 강미정, 김소연, 정은미, 전방식, 최경, 독서치료, 한국독서치료학회, 2001.
  47. 정윤창, 오토캠핑 체험이 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48. R. Richardson, Reimaging Evangelism: Inviting Friends on a Spiritual Journey, InterVasity Press,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