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Learning Strategies, Negative Affect, and Academic·Social Adapt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대학생의 학습전략과 부정적 정서, 학업적·사회적 적응이 성적에 미치는 영향: 성별의 조절효과

  • Received : 2013.12.10
  • Accepted : 2014.01.15
  • Published : 2014.03.28

Abstrac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which impacts learning strategy, negative emotions, and influence that university life adjustment of undergraduates has on academic achievement. Therefore, this survey was conducted on learning strategy and negative emotion in February, targeting 654 freshmen of a university in Seoul on their academic and social adaptation and grades which has been measured and analyzed three months later at the end of the term. The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genders was analyzed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and diagram was presented after conducting the simple gradient verification as a post analysis on interactive effect. As a result of analysis, although learning strategy and academic adaptation was appeared to be significantly affecting grades regardless of gender, the impact of negative emotions on academic achievement were significant only to females, and the impact of social adapt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was significant only to males, which enabled the researchers to confirm the regulation effects on different genders. The implications and proposal for a follow-up study about learning strategy, emotion, and adapta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ed in the discussion of academic achievement in university.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학습전략과 부정적 정서, 대학생활적응이 성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성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1개 대학교의 신입생 654명을 대상으로 2월에 학습전략과 부정적 정서를 조사하였으며, 3개월 후 학기 말에 학업적 사회적 적응과 성적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상호작용 효과의 사후분석으로 단순기울기 검증을 수행한 후 도식으로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학습전략과 학업적 적응은 성별에 관계없이 모두 성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정적 정서가 성적에 미치는 영향은 여자에게서만 유의하였고, 사회적 적응이 성적에 미치는 영향은 남자에게서 유의하게 나타나 성별의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에서의 학업적 성취에 학습전략과 정서 및 적응에 대한 시사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J. E. Ormrod, Human Learning: Theories, principles, and educational applications, New York: Macmillan, 1990.
  2. 주영아, 김영혜, 원수경. "학사경고 여대생의 학업성취 실패 및 지속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청소년 복지연구, 제14권, 제4호, pp.47-60, 2012.
  3. 이해리, "대학생의 학업 및 심리적 적응에 관한 추적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제54권, pp.115-139, 2009.
  4. 류관열, 엄우용, 최성열, "중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타인기대와 학업성취도 관계에서 자기조절 학습전략의 효과", 청소년학연구, 제17권, 제5호, pp.171-192, 2010.
  5. 박동혁, MLST를 통한 학습문제의 진단과 시간관리 지도법, 서울: (주)가이던스, 2010.
  6. 황매향, "학업문제 유형분류의 탐색", 상담학연구, 제10권, 제1호, pp.561-581, 2009.
  7. 서병완, 학습부진아의 유형분석과 상담모형개발,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1983.
  8. 김창대, 이정윤, 임영선, 남상인, 청소년문제유형분류체계: 기초연구, 서울: 청소년대화의광장, 1994.
  9. 김태성, 김형수, 이영선, 박정민, 임은미, WEB을 활용한 청소년 심리검사 프로그램 개발,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2001.
  10. 신을진, 학습목표실천과정의 방해요소분석: 고등학생의 공부계획 실천과정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11. 홍경자, 김창대, 박경애, 장미경, 청소년집단상담의 운영,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2002.
  12. 전명남, "높은 학업성취 대학생의 학습전략과 수행 분석", 교육심리연구, 제17권, 제4호, pp.1-28, 2003.
  13. R. K. Russell and T. A. Pettie, "Academic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Assessment and counseling", In S. D. Brown & R. W. Lent. (Ed.), Handbook of counseling psychology, pp.485-512, New York: Wiley, 1992.
  14. 김은정, "대학생들의 학업적 적응과 심리적 적응", 연세상담연구, 제8권, pp.85-114, 1992.
  15. 권재환, 김경희,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문화포럼, 제35권, pp.32-58, 2013.
  16. 김명희, 하정희, "학습동기와 학습기술이 학업성취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생 중학생을 중심으로", 아동교육, 제17권, 제2호, pp.33-48, 2008.
  17. 이태상, "학교유형별 중학생의 학습태도와 학교생활적응 관계 탐색", 학습자중심교과연구, 제10권, 제3호, pp.373-388, 2010.
  18. 김수연, 재학생 중도탈락 보고서. 서울: 삼육대학교출판부, 2010.
  19. 양명희, 이경아,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도의 관련성: 변화추이 및 인과적 방향성 검토", 교육과학연구, 제43권, 제2호, pp.175-195, 2012.
  20. 권혁일, 박순희, "시각장애 학생과 일반학생의 영어 학습태도, 학습전략 및 학업성취도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12권, 제4호, pp.187-210, 2011.
  21. P. Pokay and P. C. Blumenfeld, "Predicting achievement early and late in the semester: The role of motivation and use of learning strategi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82, pp.41-50, 1990. https://doi.org/10.1037/0022-0663.82.1.41
  22. A. J. Onwuegbuzie, J. R. Slate, and R. A. Schwartz, "Role of study skills in graduate-level educational research course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94, No.4, pp.238-246, 2001. https://doi.org/10.1080/00220670109598757
  23. 이혜순, 옥지원, "청소년의 충동성, 자아존중감, 우울수준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호, pp.438-446,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1.438
  24. 문영주, 촤현숙,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정신건강에 있어 정서적 조절 능력의 조절효과", 사회복지연구, 제38권, pp.353-379, 2008.
  25. 최인숙, "성별에 따른 초기 청소년의 우울에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부정적 정서경험의 중재효과",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1호, pp.135-160, 2012.
  26. 구경미, 정현희, "청소년의 스트레스, 자동적 사고, 우울과 자살생각 간의 구조적 관계와 성별에 따른 경로 차이 분석", 상담학연구, 제13권, 제3호, pp.1295-1314, 2012.
  27. 박병선, 배성우, "대인관계와 학교성적이 학교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성별 및 학교급별비교", 청소년복지연구, 제14권, 제3호, pp.215-238,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