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K. L. Neville and N. Roan, "Nurses' Attitudes toward Suicide in Hospitalized, Medical-Surgical Patients," In NURSING RESEARCH, Vol.62, No.2, pp.E6-E7, 2013.
- 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2.
- 김형수, "한국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요인 연구", 한국노년학, 제22권, 제1호, pp.159-172, 2002.
- 신상진, 조영태, "사회적 자본과 자살충동, 건강교육", 건강증진학회지, 제24권, 제3호, pp.35-49, 2007
- 오진경, 조영태, 김창엽, "2000년 우리나라 성인 자살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보건과 사회과학, 제18권, pp.191-210, 2005.
- 김현순, 김병석, "자살생각과 그 관련변인들 간이 구조적 관계모형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0권, 제2호, pp.201-219, 2008.
- 김순규, "청소년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보호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29권, pp.66-93, 2008.
- Y. J. Kim, "The buffering effects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of the Korean elderly," JDCTA: International Journal of Digital Content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s, Vol.7, No.12, pp.355-361, 2013.
- A. Galit, M. A. Doru, and C. O. James, "Depression, Hopelessness, and Self-esteem: Accounting for Suicidality in Adolescent Psychiatric Inpatients," Suicide & life - Threatening Behavior, AAS, Vol.29, No.4, pp.309-318, 1999.
- E. Shneidman, Definition of Suicide New, York:Wiley, 1985.
- 배지연, "노인의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pp.446-447, 2005.
- 임수영, 중학생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 박병금, "청소년의 자살생각 관련 요인-자아존중감과 우울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과학회지, 제16권, 제3호, pp.505-522, 2007.
- 오현아, 박영례, 최미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우울이 청소년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아동간호학회지, 제14권, 제1호, pp.35-43, 2008.
- 최인재, "청소년기 자녀의 자살 생각에 대한 부모자녀관계의 영향: 자아존중감 및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 연구, 제17권, 제9호, pp.105-130, 2009
- H. Ayyash-Abodo, "Adolescent suicide;An ecological Approach," Psychology in the Schools, Vol.39, No.4, pp.459-475, 2002. https://doi.org/10.1002/pits.10042
- A. L. Sroufe, S. Duggal, N. Weinfeld, and E. Carlson, Relationships,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New York: Kluwer Academic/Plenum Press, 2000.
- 이민아, 김석호, 박재현, 심은정, "사회적 관계내 자살경험과 가족이 자살생각 및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 제33권, 제2호, pp.61-84, 2010.
- 김민경, "대학생의 부정적 정서, 가족탄력성 및 자존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경로모형 분석", 한국가족복지학, 제17권, 제1호, pp.61-83, 2012.
- 박재연, "학교폭력이 청소년 우울 및 자살에 미치는 영향에서 탄력성의 매개효과: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41권, 제1호, pp.345-375, 2010.
- 서하진, 김정옥,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자아존중감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4권, 제3호, pp.141-178, 2009.
- 서신자, 정민숙, "가족탄력성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3학년 남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5호, pp.262-274,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5.262
- 김효창, 손영미, "노인 자살의 특성과 자살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제12권, 제2호, pp.1-19, 2006.
- 고민석, 서인균, "노인의 건강상태가 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대한보건연구, 제37권, 제1호, pp.1-14. 2011.
- 이운선,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Kaslow and J. Nadine, "Ratings of family functioning of suicidal and nonsuicidal African American women,"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Vol.14, No.4, p.585, 2000. https://doi.org/10.1037/0893-3200.14.4.585
- K. Karvonen, P. Rasanen, H. Hakko, M. Timonen, V. B. Meyer Rochow, T. Sarkioja, and H. J. Koponen, "Suicide after hospitalization in the elderly: a population based study of suicides in Northern Finland between 1988-2003,"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23, No.2, pp.135-141.
- 임미영, 김윤정, "노인자살시도자의 자살시도 전 경험", 대한간호학회지, 제41권, 제1호, pp.61-71, 2011.
- 최신애,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중증만성질환자 돌봄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265-279,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2.12.06.265
- 박지영, "노인자살 생존자의 자살경험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사회사업, 제27권, pp.295-330, 2007.
- 이지연, 김효창, 현명호, "스트레스,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및 청소년 자살 생각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건강, 제10권, 제4호, pp.375-394, 2005.
- M. D. Rudd, "An integrative model of suicidal ideation. Suicide and Life-Treatening Behavior," Vol.20, pp.16-30, 1990.
- D. Harwood and R. Jacoby, Suicide behavior among the elderly, John Wiley & Sons. Ltd, 2001.
- H. K. Choi, The process of caregiving stress among Korean caregivers for elderly. Unpup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Conel University, New York, USA, 1992.
- Olson, H. David, Portner, Joyce, Layee, and Yoav,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evaluation scales (FACES III), St. Paul: University of Minnesota, Family Social Science, 1985.
- 김수현, 가족사정 척도 개발과 타당도 검증,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 R. E. Rubenstein, T. Heeren, D. Housman, C. Rubin and G. Stechler, "Suicidal in 'normal' adolescents: Risk and protective factor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Vol.59, pp.59-71, 1999.
- 통계청, 2012년 사망통계 결과, 2013.
- 송한나, 청소년의 자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요인에 관한 연구,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D. A. Brent, J. A. Perper, G. Moritz, M. Beugher, C. Roth, L. Balach, and J. C. Schweers, "Stressful lifr Events, psychlopathogy, and adolescent suicide: a case-control study," Suicide and Life-Threatering Behavior, Vol.23, pp.179-187, 1993.
- H. R Markus and S. Kitayama, "Culture and the Self: Implication for Cognition, Motivation and Emotion," Psychological Review, Vol.98, pp.224-253, 1991. https://doi.org/10.1037/0033-295X.98.2.224
- S. M. Stewart, E. Felice, C. Classen, B. D. Kennard, P. W. Lee, and G. J. Emslie, "Adolescent suicide attempters in Hong Kong and the United States," Social Science & Medicine, Vol.63, No2, pp.296-306, 2006.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06.01.005
- S. Ferlander, "The Importance of Different Forms of Social Capital for Health," Actaociologica, Vol.50, No.2, pp.115-129, 2007.
- J. L. McLntosh, J. F. Santos, R.W. Hubbard, and J. C. Overholar, Elder Suicide Research Theory and treatment,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 D. De Leo and G. Meneghel, The elderly and suicide, in D. Wasserment(Ed), Sucide, unecessary death,(1995-207), London: Marin Ducitz, 2001.
- K. Szanto, G. H. Priberson, and F. C. Reynold, "Suicide in the elderly," Clinical Neuroscience Research, Vol.1, pp.366-376, 2001. https://doi.org/10.1016/S1566-2772(01)000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