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우울감과 자살위험간의 관계에서 가족결속도의 완충효과

The Buffering Effect of Family Cohe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Risk

  • 투고 : 2014.01.03
  • 심사 : 2014.02.10
  • 발행 : 2014.03.28

초록

본 논문은 청소년, 성인, 노인의 우울과 자살위험간의 관계에서 가족결속도의 완충효과를 파악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0년 5월부터 8월 사이에 청소년 399명, 성인 473명, 노인 370명을 대상으로 전국 10개 도시에서 설문조사를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자살위험과 우울감 수준은 노인이 가장 높고, 청소년, 성인 순이었으나, 가족결속력은 성인이 가장 높고, 노인, 청소년 순이었다. 둘째, 우울과 자살위험간의 관계에서 가족결속도의 완충효과를 분석한 결과 청소년과 성인의 경우에만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즉, 청소년과 성인의 가족결속도는 우울감이 자살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과 성인의 자살감소를 위해서 가족결속력을 향상시켜야 함을 제시하는 결과이다. 그러나 가족관계가 어느 시기보다 중요한 노인의 경우 우울과 자살생각간의 관계에서 가족결속도의 완충효과가 검증되지 않았다. 이에 대한 해석을 노년기 자살의 특성에서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buffering effect of family cohe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risk among adolescents, adults, and the elderly. To achieve the research aim, surveys were conducted in 10 cities across the country for 399 adolescents, 473 adults, and 370 elderly from May to August 2010. Major findings of the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hi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risk, the elderly were the highest, followed by adolescents and adults in descending order, in family cohesion, adults were the highest, followed by the elderly and adolescents. Second, the analysis of the buffering effect of family cohe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risk showed that it was significant only for adolescents and adults, which means that for those two groups family cohesion alleviates the effects of depression on suicidal risk, demonstrating the necessity of strengthening family cohesion to reduce suicides among the two groups of people. But, for the elderly for whom family relationship i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age group, the buffering effect of family cohe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risk was not proved. The interpretation of this phenomenon is given in the part of the paper whe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icide of the old age group is discussed.

키워드

참고문헌

  1. K. L. Neville and N. Roan, "Nurses' Attitudes toward Suicide in Hospitalized, Medical-Surgical Patients," In NURSING RESEARCH, Vol.62, No.2, pp.E6-E7, 2013.
  2. 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2.
  3. 김형수, "한국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요인 연구", 한국노년학, 제22권, 제1호, pp.159-172, 2002.
  4. 신상진, 조영태, "사회적 자본과 자살충동, 건강교육", 건강증진학회지, 제24권, 제3호, pp.35-49, 2007
  5. 오진경, 조영태, 김창엽, "2000년 우리나라 성인 자살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보건과 사회과학, 제18권, pp.191-210, 2005.
  6. 김현순, 김병석, "자살생각과 그 관련변인들 간이 구조적 관계모형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0권, 제2호, pp.201-219, 2008.
  7. 김순규, "청소년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보호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29권, pp.66-93, 2008.
  8. Y. J. Kim, "The buffering effects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of the Korean elderly," JDCTA: International Journal of Digital Content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s, Vol.7, No.12, pp.355-361, 2013.
  9. A. Galit, M. A. Doru, and C. O. James, "Depression, Hopelessness, and Self-esteem: Accounting for Suicidality in Adolescent Psychiatric Inpatients," Suicide & life - Threatening Behavior, AAS, Vol.29, No.4, pp.309-318, 1999.
  10. E. Shneidman, Definition of Suicide New, York:Wiley, 1985.
  11. 배지연, "노인의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pp.446-447, 2005.
  12. 임수영, 중학생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13. 박병금, "청소년의 자살생각 관련 요인-자아존중감과 우울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과학회지, 제16권, 제3호, pp.505-522, 2007.
  14. 오현아, 박영례, 최미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우울이 청소년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아동간호학회지, 제14권, 제1호, pp.35-43, 2008.
  15. 최인재, "청소년기 자녀의 자살 생각에 대한 부모자녀관계의 영향: 자아존중감 및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 연구, 제17권, 제9호, pp.105-130, 2009
  16. H. Ayyash-Abodo, "Adolescent suicide;An ecological Approach," Psychology in the Schools, Vol.39, No.4, pp.459-475, 2002. https://doi.org/10.1002/pits.10042
  17. A. L. Sroufe, S. Duggal, N. Weinfeld, and E. Carlson, Relationships,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New York: Kluwer Academic/Plenum Press, 2000.
  18. 이민아, 김석호, 박재현, 심은정, "사회적 관계내 자살경험과 가족이 자살생각 및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 제33권, 제2호, pp.61-84, 2010.
  19. 김민경, "대학생의 부정적 정서, 가족탄력성 및 자존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경로모형 분석", 한국가족복지학, 제17권, 제1호, pp.61-83, 2012.
  20. 박재연, "학교폭력이 청소년 우울 및 자살에 미치는 영향에서 탄력성의 매개효과: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41권, 제1호, pp.345-375, 2010.
  21. 서하진, 김정옥,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자아존중감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4권, 제3호, pp.141-178, 2009.
  22. 서신자, 정민숙, "가족탄력성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3학년 남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5호, pp.262-274,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5.262
  23. 김효창, 손영미, "노인 자살의 특성과 자살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제12권, 제2호, pp.1-19, 2006.
  24. 고민석, 서인균, "노인의 건강상태가 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대한보건연구, 제37권, 제1호, pp.1-14. 2011.
  25. 이운선,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6. Kaslow and J. Nadine, "Ratings of family functioning of suicidal and nonsuicidal African American women,"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Vol.14, No.4, p.585, 2000. https://doi.org/10.1037/0893-3200.14.4.585
  27. K. Karvonen, P. Rasanen, H. Hakko, M. Timonen, V. B. Meyer Rochow, T. Sarkioja, and H. J. Koponen, "Suicide after hospitalization in the elderly: a population based study of suicides in Northern Finland between 1988-2003,"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23, No.2, pp.135-141.
  28. 임미영, 김윤정, "노인자살시도자의 자살시도 전 경험", 대한간호학회지, 제41권, 제1호, pp.61-71, 2011.
  29. 최신애,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중증만성질환자 돌봄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265-279,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2.12.06.265
  30. 박지영, "노인자살 생존자의 자살경험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사회사업, 제27권, pp.295-330, 2007.
  31. 이지연, 김효창, 현명호, "스트레스,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및 청소년 자살 생각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건강, 제10권, 제4호, pp.375-394, 2005.
  32. M. D. Rudd, "An integrative model of suicidal ideation. Suicide and Life-Treatening Behavior," Vol.20, pp.16-30, 1990.
  33. D. Harwood and R. Jacoby, Suicide behavior among the elderly, John Wiley & Sons. Ltd, 2001.
  34. H. K. Choi, The process of caregiving stress among Korean caregivers for elderly. Unpup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Conel University, New York, USA, 1992.
  35. Olson, H. David, Portner, Joyce, Layee, and Yoav,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evaluation scales (FACES III), St. Paul: University of Minnesota, Family Social Science, 1985.
  36. 김수현, 가족사정 척도 개발과 타당도 검증,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37. R. E. Rubenstein, T. Heeren, D. Housman, C. Rubin and G. Stechler, "Suicidal in 'normal' adolescents: Risk and protective factor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Vol.59, pp.59-71, 1999.
  38. 통계청, 2012년 사망통계 결과, 2013.
  39. 송한나, 청소년의 자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요인에 관한 연구,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40. D. A. Brent, J. A. Perper, G. Moritz, M. Beugher, C. Roth, L. Balach, and J. C. Schweers, "Stressful lifr Events, psychlopathogy, and adolescent suicide: a case-control study," Suicide and Life-Threatering Behavior, Vol.23, pp.179-187, 1993.
  41. H. R Markus and S. Kitayama, "Culture and the Self: Implication for Cognition, Motivation and Emotion," Psychological Review, Vol.98, pp.224-253, 1991. https://doi.org/10.1037/0033-295X.98.2.224
  42. S. M. Stewart, E. Felice, C. Classen, B. D. Kennard, P. W. Lee, and G. J. Emslie, "Adolescent suicide attempters in Hong Kong and the United States," Social Science & Medicine, Vol.63, No2, pp.296-306, 2006.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06.01.005
  43. S. Ferlander, "The Importance of Different Forms of Social Capital for Health," Actaociologica, Vol.50, No.2, pp.115-129, 2007.
  44. J. L. McLntosh, J. F. Santos, R.W. Hubbard, and J. C. Overholar, Elder Suicide Research Theory and treatment,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45. D. De Leo and G. Meneghel, The elderly and suicide, in D. Wasserment(Ed), Sucide, unecessary death,(1995-207), London: Marin Ducitz, 2001.
  46. K. Szanto, G. H. Priberson, and F. C. Reynold, "Suicide in the elderly," Clinical Neuroscience Research, Vol.1, pp.366-376, 2001. https://doi.org/10.1016/S1566-2772(01)000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