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neme Recognition and Error in Postlingually Deafened Adults with Cochlear Implantation

언어습득 이후 난청 성인 인공와우이식자의 음소 지각과 오류

  • 최아현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언어치료전공) ;
  • 허승덕 (대구대학교 언어치료학과)
  • Received : 2014.07.17
  • Accepted : 2014.08.18
  • Published : 2014.08.31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honeme recognition in postlingually deafened adults with cochlear implantation. 21-cochlear implantee were participated. They was used cochlear implants more than 1 year. In order to measure consonant performance abilities, subjects were asked for 18 items of Korean consonants in a "aCa" condition with audition alone. The scores ranged from 11 to 86 ($60{\pm}17$)%. The consonant performance abilities correlated with implanted hearing threshold level, significantly (p<.046). This results suggest that consonant performance abilities of postlingual deafened adults cochlear implantee be important for implanted hearing. They had higher correct rates for fricatives and affricatives with distinctive frequency bands than for plosives, liquids & nasals with the same or adjacent frequency bands. All subjects had confusion patterns among the consonants of the same manner of articulation. The reason of consonant confusions was caused that they couldn't recognize different intensities and durations of consonants with the same or adjacent frequency bands.

이 연구는 언어습득 이후 난청 성인의 인공와우 이식 후 음소 지각과 음소 지각에 오류 양상 등을 알아보고자 한다. 일측 인공와우를 1년 이상 사용한 23 세부터 79($49{\pm}14$) 세 사이의 21 명(m:f=13:8)의 자음 지각 검사를 이용하였다. 자음 지각 성적은 11~86 ($60{\pm}17$)%로 관찰되었고, 인공와우 교정청력(p< .046)을 제외한 술 전 청력, 난청 기간, 인공와우 이식 연령, 술 후 사용기간 등은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언어발달이 정상적인 경우 다른 요인들 보다는 청력의 개선을 통한 청각적 자극이 자음지각에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음소 정답률은 마찰음(/ㅅ, ㅆ, ㅎ/)과 파찰음(/ㅈ, ㅉ, ㅊ/)이 71~92 ($79{\pm}7$)%로 파열음(/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과 유음(/ㄹ/) 및 비음(/ㅁ, ㄴ/)의 33~80 ($50{\pm}13$)%보다 높게 관찰되었다. 오류 양상은 조음 방법이 같은 음소들을 서로 혼동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주파수의 미세한 변화나 강도의 시간적 변화를 변별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