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on the Risk Management for the Long-term Preservation Business Activities Related to Electronic Records

전자기록 장기보존 위험관리 사례

  • 임진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3.12.16
  • Accepted : 2014.01.24
  • Published : 2014.01.30

Abstract

This paper showed results of the risk management project in detail which was conducted by National Archives of Korea(NAK) in 2010. In the project NAK examined its long-term preservation business of electronic records using DRAMBORA(Digital Repository Audit Method Based on Risk Assessment). NAK has defined 44 different risk elements related to its business activities, assessed and classified them into several grades according to the severity calculated by risk probability score and risk potential impact score, and developed precise management plans for two of the most serious risks. This paper introduced the management plan for one of them. The risk was numbered with NR04 and described by 'Loss of integrity of records information'. This paper explained mitigation strategies, contingency organization, disaster control responsibilities, and personal mission cards for the NR04. This paper planned to give comprehensive understandings to Records Management Organizations about the risk management approaches as an effective way for business management through the case study.

이 논문에서는 2010년 국가기록원에서 DRAMBORA(Digital Repository Audit Method Based on Risk Assessment) 프레임워크를 응용하여 전자기록 장기보존 업무에 대해 점검했던 사례를 상세히 제시하고 있다. 국가기록원은 2010년 전자기록 장기보존 업무에 관련하여 총 44개의 위험요소를 도출하여 정의하였고, 업무담당자들의 평가를 거쳐 위험도 등급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고위험도를 지닌 2개의 위험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관리방안을 개발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NR04 '기록정보의 무결성 손실' 위험요소에 대한 사전관리방안, 사후관리방안, 비상대책조직, 재난선포 주체와 기준, 개인임무카드 개발 내역을 소개하고 있다. 이 논문 내용을 통해 기록관리자들은 위험관리 기법을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기록관리 기관들은 중요 업무관리 방법으로 위험관리 기법을 수용할지 점검하는데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Cited by

  1. 대학 정보자원의 디지털 연속성 보장을 위한 실행 방안 vol.21, pp.1, 2014, https://doi.org/10.14404/jksarm.2021.21.1.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