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Acquisition Strategy of Records for Artists and Their Records Information Management

시각예술 작가 기록물 수집전략 및 기록정보 관리 연구

  • 정공주 (한국여성정책연구원(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 박주석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4.03.20
  • Accepted : 2014.04.25
  • Published : 2014.04.30

Abstract

One of the reasons behind the surfacing of such issues is because the record does not exist and even if the records remained, it is because they are not being properly managed. In Korea, National institutions in the field of visual arts, currently there are no archives that manage only the records for the visual arts as an independent institution, and the reality is that the National Museum of Archives is still in the beginning stage as well. This study has conducted a research on the records collection strategy and the management of the record information of an author who is the creator of the visual arts as a starting point of the visual arts. For this purpose, the definition of visual arts and the concept of an author covered in this study will be examined and the types of documentary that may occur in the field of visual arts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history of an author is its personal record thus a personal history and private archive have been examined. Based on this background, the cases on the personal record and the management of the record inform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authors were analyzed and the implications were derived.

활용 가치가 높은 아트 아카이브즈의 구축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작품의 생산자인 시각예술 작가의 기록관리가 선행되어야 한다. 시각예술 작가 개인의 기록이 정리가 된 후 하나의 작가 컬렉션이 완성이 되어 그 결과가 모이면 장르, 시기가 다양한 작가 아카이브즈는 물론 아트 아카이브즈의 기본이 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기록관리의 대상인 작가 개개인의 예술적 특성을 반영한 관리 방법론을 통해, 작가의 기록물을 효과적으로 수집하기 위한 수집전략과 작가의 기록이 문화자원으로서 활용의 가치가 있도록 기록을 관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각예술 작가의 기록물 및 기록정보 관리 방안을 제시했다. 또한 체계적으로 관리된 작가의 기록물 및 기록정보를 바탕으로 다양한 문화자원으로 활용함으로써 시각예술 작가 기록의 가치와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확장을 위한 연구도 포함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