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On the Direction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Reform

국가기록원 개혁 방향 '국가기록원법안' 분석을 중심으로

  • 곽건홍 (한남대학교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Received : 2014.03.18
  • Accepted : 2014.04.25
  • Published : 2014.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e enactment of the 'Law on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should be to secure the accountability and to shape up the improved governance system in the field of records and archival management, which will contribute to the strengthening of democracy in records management and eventually to the widening of the democratic progress in Korea. On the basis of the above recognition and by way of notion called 'horizontal accountability', this paper suggests the way to secure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s independency. And the way to reorganize the National Records Management Committee based on the pluralism and the 'multi-layered' governance system is also investigated. One of the main directions in the suggested law should be for the autonomy and transparency in the operation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This paper tries drawbacks and limitations of the 'Bill on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introduced to the National Assembly last year, and suggests the alternatives as wel lto get further forward with related discussion.

'국가기록원법안' 제정의 목적은 설명책임성의 확보와 거버넌스 체계의 구체화를 통해 기록관리의 민주성을 강화하고, 나아가 한국의 민주주의 제도가 진전하는 데 기여하는 것이다. 본고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 따라 '수평적 설명책임성'을 바탕으로 한국가기록원의 독립성 강화 방안, 다원주의와 '다층적' 거버넌스 체계에 기반 한 국가기록관리위원회 재조직 방향, 자율성과 투명성의 확대를 통한 국가기록원 운영 원칙이 '국가기록원법안'의 주요 골자임을 주장하였다. 또한 2013년 국회에 제출된 '국가기록원 법안'의 문제점과 한계를 분석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여 국가기록원 개혁 방향에 대한 논의를 진전시키고자 하였다.

Keywords

Cited by

  1. 민주주의 관점으로 본 국가기록관리체계 평가와 전망 vol.53, pp.None, 2014, https://doi.org/10.20923/kjas.2017.53.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