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and It's Applications of Container Architecture in Seoul and Kyunggi Area

국내 컨테이너 건축물의 계획특성 및 활용방안

  • 길빛나 (충북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 김미경 (충북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 문영아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
  • Received : 2014.02.28
  • Accepted : 2014.04.10
  • Published : 2014.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and it's applications of container architecture in Seoul and Kyunggi Area. A document research and field survey were used to analyze and classify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container architecture since 2009.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ritical review, this research proposed a framework to identify the potential of the container architecture for sustainable and flexible planning. The framework was composed of four dimensions such as flexibility, rapidity, sustainability and economic feasibility. The types of space construction were dynamically self-erecting structure, incremental structure, mobile and disposable architecture. The spacial aspects were commercial spaces, housing spaces such as dormitory and urban compact apartments, and the multi-purpose spaces such as gallery and culture space as well as temporary spaces. It attempted to resolve the concept of flexibility and mobility through the experiment so that they might apply to the space of contemporary city.

Keywords

References

  1. Paul Sawyers, Intermodal Shipping Container Small Steel Buildings, Library of Congress, U.S., 2008
  2. Robert Kronenburg, Transportable Environments2, Spon Press, London and Newyork, 2003
  3. Slawik. H., Bergmann. J., Buchmeier. M., & Tinney. S., Container Atlas; A Practical Guide to Container Architecture, 2nd ed. Berlin: Gestalten, 2010
  4. 구현준, 컨테이너를 이용한 도심 내 놀이 공간 제안: 플래쉬 몹의 특성과 관련하여; 일시적 공간점유, 이동성, 비장소성, 경기대학교 석사논문, 2007
  5. 김미경, 현대 컨테이너 건축에 나타난 공간구축특성 및 적용가능성, 생활과학연구논총, 2011
  6. 김진형, 컨테이너 박스 주택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07
  7. 김휘연, 컨테이너를 활용한 지속가능한 공간디자인 연구, 한세대학교 석사논문, 2007
  8. 문영아, 김미경, 임시주거의 개발과 적용을 위한 컨테이너 활용 학생기숙사 사례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9(7), 2013
  9. 문정인 이상호, 재해.재난에 따른 임시주거 유형에 관한 사례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9), 2006
  10. 박상준.홍관선, 부산국제영화제 공공디자인 계획안: 컨테이너디자인계획안,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09
  11. 박수훈.김병진, 주거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POD방식 도시형 생활주택 제안,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11
  12. 박준석.김형우, 컨테이너를 이용한 소규모 주거건축의 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계획계, 2009
  13. 서준, 컨테이너 임시교사 현황분석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논문, 2012
  14. 양희정, 컨테이너 건축에서 나타난 공간구축 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논문, 2010
  15. 유해연.박연정.윤중연, 국내 컨테이너 하우징의 실태조사를 통한 개선방향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3(6), 2012 https://doi.org/10.6107/JKHA.2012.23.6.021
  16. 이광옥, 컨테이너 하우스의 내외장재 사용 경량에 관한 연구, 디자인과학연구, 6(1), 2003
  17. 정미연, 게르의 패브릭 이동주거적 특성을 적용한 임시구호주택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논문, 2009
  18. 조정민.황혜주, 흙미장 공법을 이용한 컨테이너 건축의 이미지 개선 방안,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10
  19. 조선일보, 아시아경제신문, 연합뉴스, 매일경제, TV조선, KBS뉴스, YTN뉴스 홈페이지
  20. Customs Convention on Containers, 1972 http://www.unece.org/fileadmin/DAM/trans/conventn/ccc_1972e.pdf
  21. www.kunsthalle.com
  22. www.ui-architect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