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스마트 폰을 통한 청소년의 성 관련 콘텐츠 노출 원인 분석

Teenagers with Smartphones Exposed to Sexual Content

  • 최정임 (광운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 정동훈 (광운대학교 미디어영상학부)
  • 투고 : 2014.02.28
  • 심사 : 2014.04.10
  • 발행 : 2014.04.28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개인 미디어로 청소년들이 늘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통한 성 관련 콘텐츠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구사회학적 속성, 개인적 속성, 그리고 미디어 이용시간이나 미디어의 종류 등을 통해 분석하고자 했다. 연구결과, 스마트폰의 성 관련 콘텐츠 이용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남학생, 고등학생, 아버지의 학력이 고등학교 졸업 이하인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자기통제성이 낮을수록, 또래동조와 차별접촉이 높을수록 스마트폰으로 성 관련 콘텐츠를 더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에서 성 관련 콘텐츠의 의도적 노출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서도 남학생, 고등학생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고, 자기통제성이 낮을수록, 차별접촉이 높을수록 스마트폰으로 성 관련 콘텐츠를 의도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란물의 노출 뿐 만 아니라 다양한 수준의 성 관련 콘텐츠의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청소년이 많이 이용하는 미디어 채널을 통한 건강한 성 관련 메시지의 전달 방법 등을 강구하고, 미디어 교육 등 미디어의 긍정적인 활용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미디어가 청소년의 바람직한 가치관 형성에 도움을 주는 좋은 의미의 수퍼피어(super-peer)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variables influence on teenagers' exposure to sexual content on their smartphone. For this, the present research used demographics, self-control, parental monitoring, conformity to peer groups, sensation seeking, differential association and media use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applied survey method based on 449 teenagers.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a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high school graduated father exposed to sexual content more, and the lower self-control and higher conformity to peer groups and differential association, the more exposed to sexual content. Second, ma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intentionally exposing to sexual content more, and the lower self-control and higher differential association, the more intentionally exposing to sexual content.

키워드

참고문헌

  1. R. J. Harris, A Cognitive Psychology of Mass Communication., 1989, 이창근 김광수 공역, 매스미디어 심리학, 나남출판, 1991.
  2. A. Barak and W. Fisher, "The future of Internet sexuality," In A. Cooper(ed.), Sex and the Internet:Aguide book for clinician, pp. 267-280, Brunner-Routledge, 2001.
  3. 이유진, 청소년 유해환경접촉 종합실태조사 연구보고서, 여성가족부, 2012.
  4. E. Gruber and H. Thau, "Sexually Related Contenton Television and Adolescents of Color:Media Theory, Physiological Development, and Psychological Impact", The Journal of Negro Education, Vol. 72, No. 4, pp. 438-456, 2003. https://doi.org/10.2307/3211195
  5. L. Ward and R. Rivadeneyra, "Contributions of Entertainment Television to Adolescents' Sexual Attitudes and Expectations:The Role of Viewing Amount Versus Viewer Involvement," The Journal of Sex Research, Vol. 36, No. 3, pp. 237-249, 1999. https://doi.org/10.1080/00224499909551994
  6. M. Hennessy, A. Bleakley, M. Fishbein, and A. Jordan, "Estimating the Longitudinal Association Between Adolescent Sexual Behavior and Exposure to Sexual Media Content, "Journal of Sex Res., Vol. 46, No. 6, pp. 586-596, 2009. https://doi.org/10.1080/00224490902898736
  7. B. Primack, M. Gold, E. Schwarz, and M. Dalton, "Degrading and Non-Degrading Sex in Popular Music:A Content Analysis," Public Health Report, Vol. 123, pp. 593-600, 2008. https://doi.org/10.1177/003335490812300509
  8. 김은미, 나은영, 박소라, "청소년의 인터넷 유해정보 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방송학보, 제21권, 제2호, pp. 209-257, 2007.
  9. J. Brown and K. L'Engle, "X-Rated:Sexual Attitudes and Behaviors Associated With U. S. Early Adolescents' Exposure to Sexually Explicit Media," Communication Research, Vol. 36, No. 1, pp. 129-151, 2009. https://doi.org/10.1177/0093650208326465
  10. M. Flood, "The Harms of Pornography Exposure Among Children and Young People," Child Abuse Review, Vol. 18, pp. 384-400, 2009. https://doi.org/10.1002/car.1092
  11. J. Brown, C. Halpern, and K. L'Engle, "Mass mediaasa sexual super peer for early maturing girl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Vol. 36, pp. 420-427, 2005. https://doi.org/10.1016/j.jadohealth.2004.06.003
  12. J. Wolak, K. Mitchell, and D. Finkelhor, "Unwanted and wanted exposure to online pornography in a national sample of youth internet users," Pediatrics, Vol. 119, No. 2, pp. 247-257, 2007. https://doi.org/10.1542/peds.2006-1891
  13. M. Gottfredson and T. Hirshi, Ageneral theory of crim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0.
  14. 남영옥, "청소년의 사이버섹스 중독과 성비행의 심리사회적 변인", 청소년학연구, 제11권, 제1호, pp. 167-192, 2004.
  15. 김보화, 이정윤, "인터넷 음란물 접촉이 청소년의 성충동에 미치는 영향:자기통제력, 부모-자녀의사소통, 학교적응력의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제11권, 제3호, pp. 1221-1236, 2010.
  16. 이성식, "청소년 사이버일탈의 설명요인에 관한 일 연구", 형사정책연구, 제15권, 제1호(통권 제57호), pp. 121-154, 2004.
  17. 김유정, "청소년들의 개인적 요인이 인터넷 음란물 이용과 이용 후의 성태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제24권, 제6호, pp. 45-84, 2010.
  18. 양소정, 인터넷 음란물 노출이 청소년의 반사회적 성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0.
  19. 최명일, "인터넷 음란물 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음란물 노출이 실제 성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3권, 제2호, pp. 49-69, 2009.
  20. M. Zuckerman, Sensation seeking, 1979, Corsini Encyclopedia of Psychology, John Wiley & Sons Online, 2010.
  21. 박현숙, 정선영, "청소년의 위험행동 구조모형 구축", 대한간호학회지, 제41권, 제3호, pp. 364-373, 2011. https://doi.org/10.4040/jkan.2011.41.3.364
  22. 한상철, "감각추구성향과 대처전략이 청소년의 위험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제17권, 제4호, pp. 1-26, 2003.
  23. 한상철, "중소도시 청소년의 위험행동 예측요인 분석", 교육심리연구, 제18권, 제3호, pp. 193-210, 2004.
  24. J. Peter and P. Valkenburg, "Adolescents' Exposure to Sexually Explicit Material on the Internet," Communication Research, Vol. 56, pp. 178-204, 2006.
  25. R. Weisskirch and L. Murphy, "Friends, porn, and punk: Sensation seeking in personal relationships, Internet activities and music preference among college students," Adolescence, Vol. 39, Issue154, pp. 189-201, 2004.
  26. J. Peter and P. Valkenburg, "The Use of Sexually Explicit Internet Material and Its Antecedents:A Longitudinal Comparison of Adolescents and Adults," Arch Sex Behav, Vol. 40, pp. 1015-1025, 2011. https://doi.org/10.1007/s10508-010-9644-x
  27. L. Schreck, "Adolescent sexual activity is affected more by mothers' attitudes and behavior than by family structure," Family Planning Perspectives, Vol. 31, No. 4, pp. 200-201, 1999. https://doi.org/10.2307/2991594
  28. A. Abrahamse, P. Morrison, and C. Waite, "Teenagers willingness to consider single parenthood:Who is at greater risk?," Family Planning Perspectives, Vol. 20, pp. 13-18, 1998.
  29. 하상희, 이주연, 정혜정, "성과 관련된 부모역할이 대학생의 성태도 및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4권, 제1호, pp. 271-286, 2006.
  30. 윤경자, "중고등학교 여학생들의 성행동과 관련된 요인들", 대한가정학회지, 제40권, 제8호, pp. 107-121, 2002.
  31. C. Smith, "Factors associated with early sexual activity among urban adolescents," Social Work, Vol. 42, No. 4, pp. 334-346, 1997. https://doi.org/10.1093/sw/42.4.334
  32. C. Cho and H. Cheon, "Children's Exposure to Negative Internet Content:Effects of Family Context,"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 49, No. 4, pp. 488-509, 2005. https://doi.org/10.1207/s15506878jobem4904_8
  33. 남영옥,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및 사이버 성중독의 심리사회적 변인과 문제행동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50권, pp. 173-207, 2002.
  34. 신미, 유미숙, "청소년 성발달과 잠재비행간 경로에 대한 구조모형분석", 아동학회지, 제32권, 제3호, pp. 91-105, 2011. https://doi.org/10.5723/KJCS.2011.32.3.91
  35. 김정규, "청소년비행 원인의 비교 분석", 형사정책, 제21권, 제1호, pp. 159-189, 2009.
  36. J. Peter and P. Valkenburg, "Adolescents' Exposure to Sexually Explicit Internet Material, Sexual Uncertainty, and Attitudes Toward Uncommitted Sexual Exploration:Is There a Link?," Communication Research, Vol. 35, No. 5, pp. 579-601, 2008. https://doi.org/10.1177/0093650208321754
  37. 백혜정, 김은정, 청소년 성의식 및 행동 실태와 대처방안 연구, 연구보고08-R08,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8.
  38. 김현숙, 청소년의 건강행위와 비행의 영향요인에 관한 모형 구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39. 이계원,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40. T. Hirshi, Causes of delinquenc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9.
  41. J. Sieverding, N. Adler, S. Witt, and J. Ellen, "The influence of parental monitering on adolescent sexual initiation," Archives of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Vol. 159, pp. 724-729, 2005 https://doi.org/10.1001/archpedi.159.8.724
  42. A. Vaux, J. Phillips, L. Holly, B. Thomson, D. Williams, and D. Stewart, "The social support appraisal(SS-A)scale:Studie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Vol. 14, pp. 195-219, 1986. https://doi.org/10.1007/BF00911821
  43. 한미현,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 지각과 행동문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44. 류나미, 청소년의 개인특성, 부모특성과 대중매체 환경이 음주행동에 미치는 영향-음주기대와 음주거절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45. R. Hoyle, M. Stephenson, P. Palmgreen, E. Lorch, and R. Donohew,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brief measure of sensation seek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 Vol. 32, pp. 401-414, 2002. https://doi.org/10.1016/S0191-8869(01)00032-0
  46. R. Jessor, J. Van DenBos, J. Vanderryn, F. Costa, and M. Turbin, "Protective factors in adolescent problem behavior:Moderator effects and developmental change," Develomental Psychology, Vol. 31, pp. 923-933, 1995. https://doi.org/10.1037/0012-1649.31.6.923
  47. J. Peter and P. Valkenburg, "Adolescents' Exposure to Sexually Explicit Online Material and recreational attitudes toward sex," Journal of Communication, Vol. 56, pp. 639-660, 2006. https://doi.org/10.1111/j.1460-2466.2006.00313.x
  48. V. Lo and R. Wei, "Exposure to Internet pornography and Taiwanese Adolescents' sexual attitudes and behavior,"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 49, pp. 221-237, 2005. https://doi.org/10.1207/s15506878jobem4902_5
  49. D. Shek and C. Ma, "Consumption of Pornographic Materials among Hong Kong Early Adolescents : A Replication," The Scientific World Journal, pp. 1-8, 2012.
  50. 이성식, "청소년의 휴대전화를 이용한 성비행 원인 탐색", 한국청소년연구, 제21권, 제2호, pp. 153-175, 2010.
  51. 조항민, "디지털미디어 등장과 새로운 위험유형-융합매체로서 스마트폰의 위험특성과 이용자 위험인식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8호, pp. 353-364,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8.353
  52. 김병년,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4호, pp. 208-217,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4.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