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송아름, "1990년대의 불안과 <여고괴담>의 공포", 한국극예술연구, 제34집, p.293, 2011.
- 허문영, "공포영화가 안된다고?예상 밖의 흥행, <여고괴담> 신드롬 분석", 씨네 21, 1998.
-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3nom&no=7875&page=
- 임유경, "공포와 죄의식의 이중주:<장화, 홍련>, <거미숲>, <소름>을 중심으로", 문학과 영상, 제11권, 제3호, p.745, 2010.
- 황혜진, "공포영화에 나타난 가족서사 연구:<장화, 홍련>과 <4인용 식탁>에 나타난 기억의 문제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제29호, 한국영화학회, p.381, 2006.
- 유운성, "감독의 장르적 상상력", 씨네 21, 2003.
- 정성일, "기이하고 불안한 반(反)페미니스트 영화", 월간 말, 7월호, p.206, 2003.
- 김훈순, 이소연, "한국 현대 공포영화와 장르 관습의 변화", 미디어.젠더&문화, 제4호, p.21, 2005.
- 정승훈, "공포의 형이하학을 넘진 못했지만 눈을 뗄 수 없는 <장화, 홍련>", 씨네 21, 제408호, 2003.
- 이효인, "<장화, 홍련>전래동화와는 아무 상관없네...반칙이다", 씨네 21, 제408호, 2003.
- 정재형, "상상력, 환상, 기억 그리고 일탈의 공간정치", 문화예술, 8월호, pp.54-55, 2003.
- 심영섭, "수미의 내면 대신 다리에 탐닉하는 <장화, 홍련", 씨네 21, 제409호, 2003.
- 여형옥, 캐릭터 분석을 통해 본 <장화홍련전>과 콘텐츠,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논문, pp.45-49, 2010.
- 김지영, "오형근 초상사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3호, 2014.
- 류은영, "비평에서 리터러시로:영화 스토리텔링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세계문학비교연구, 제38집, p.357, 2012.
- 시드 필드, 박지홍 역, 시나리오 워크북, 경당, 2001.
- 김시무, "라캉의 주체개념 연구:상상적 기표에서 실재의 틈입까지", 미학.예술학연구, 제26집, pp.131-132, 2007
Cited by
- A Delphi analysis on green performance evaluation indices for ports in China vol.44, pp.5, 2017, https://doi.org/10.1080/03088839.2017.1327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