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지영 (조선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4.01.10
  • Accepted : 2014.03.11
  • Published : 2014.04.28

Abstract

The horro movie which was released in 2003, was a box office hit drawing audiences totaling 3,140,000 people. Then, there were partial opinions that it wa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content of the movie. However, it was most favorably received in the horror movies which were released before and after 2003. The 4 main characters in the movie are a family. The family conflicts begin as the dad has an affair. Muhyeon(the dad)'s infidelity leads his wife to kill herself. The suicide of the wife and mom again leads Suyeon(the younger sister) to be dead. At this moment, Suyeon's death is related to Eunju(the step mom). Sumi(the older sister) is deeply hurt by the fact that Eunju left her younger sister's death after she was dead. But at the same time, she realizes that she is also related to Eunju's act. And she felt guilty about her younger sister's death. Eunju was also hurt by Sumi's biting remarks. However, she feels guilty about the fact that she made Suyeon be dead. Director Jiun Kim said in the interview when it was released, "this movie is about hurts and guilt among families." These hurts and guilt are expressed by horror images that imagination and reality are mixed. Hurts are expressed by virtual images and guilt is done by real images. This paper presented still pictures which explain the virtual and real images and examined what hurts and guilt mean. And it described the symbolic meanings of three media which cause conflicts among main characters.

2003년 개봉된 공포영화 <장화, 홍련>은 약 314만 관객을 동원하며 흥행에 성공했다. 당시 일부에서는 영화의 내용을 이해하기 어렵다는 의견도 있었으나, 이 영화는 2003년을 전후로 개봉된 공포영화 중 가장 큰 호평을 받았다. 영화 속 4명의 주인공은 한 가족이고, 아빠의 외도로 가족 간 갈등이 시작된다. 무현(아빠)의 외도는 아내의 자살로 이어지고, 아내이자 엄마의 자살은 수연(동생)의 죽음으로 또다시 이어지는데, 이때 수연의 죽음에 은주(새엄마)가 관련되어 있다. 수미(언니)는 수연이 죽은 후 은주가 수연의 죽음을 그대로 방치한 사실로 큰 상처를 받지만, 동시에 그런 은주의 행동에 자신도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을 깨달으며 동생을 죽게 한 죄의식도 느낀다. 은주 역시 수미의 독설로 상처를 받았지만 그에 대한 복수로 수연을 죽게 한 사실에 죄의식을 느낀다. 김지운 감독은 개봉당시 인터뷰에서 "이 영화는 가족 간 상처와 죄의식에 관한 영화"라 밝혔는데, 영화 속에서 가족이 주고받은 상처와 죄의식은 가상과 실재 이미지가 뒤섞인 공포 이미지로 그려진다. 상처는 가상 이미지로, 죄의식은 실재 이미지로 표현된다. 이 글에서는 가상과 실재 이미지를 설명해주는 영화 속 스틸사진을 제시하면서 상처와 죄의식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 주인공 간 갈등을 유발하는 매개체 3가지가 지닌 상징적 의미도 서술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송아름, "1990년대의 불안과 <여고괴담>의 공포", 한국극예술연구, 제34집, p.293, 2011.
  2. 허문영, "공포영화가 안된다고?예상 밖의 흥행, <여고괴담> 신드롬 분석", 씨네 21, 1998.
  3.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3nom&no=7875&page=
  4. 임유경, "공포와 죄의식의 이중주:<장화, 홍련>, <거미숲>, <소름>을 중심으로", 문학과 영상, 제11권, 제3호, p.745, 2010.
  5. 황혜진, "공포영화에 나타난 가족서사 연구:<장화, 홍련>과 <4인용 식탁>에 나타난 기억의 문제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제29호, 한국영화학회, p.381, 2006.
  6. 유운성, "감독의 장르적 상상력", 씨네 21, 2003.
  7. 정성일, "기이하고 불안한 반(反)페미니스트 영화", 월간 말, 7월호, p.206, 2003.
  8. 김훈순, 이소연, "한국 현대 공포영화와 장르 관습의 변화", 미디어.젠더&문화, 제4호, p.21, 2005.
  9. 정승훈, "공포의 형이하학을 넘진 못했지만 눈을 뗄 수 없는 <장화, 홍련>", 씨네 21, 제408호, 2003.
  10. 이효인, "<장화, 홍련>전래동화와는 아무 상관없네...반칙이다", 씨네 21, 제408호, 2003.
  11. 정재형, "상상력, 환상, 기억 그리고 일탈의 공간정치", 문화예술, 8월호, pp.54-55, 2003.
  12. 심영섭, "수미의 내면 대신 다리에 탐닉하는 <장화, 홍련", 씨네 21, 제409호, 2003.
  13. 여형옥, 캐릭터 분석을 통해 본 <장화홍련전>과 콘텐츠,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논문, pp.45-49, 2010.
  14. 김지영, "오형근 초상사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3호, 2014.
  15. 류은영, "비평에서 리터러시로:영화 스토리텔링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세계문학비교연구, 제38집, p.357, 2012.
  16. 시드 필드, 박지홍 역, 시나리오 워크북, 경당, 2001.
  17. 김시무, "라캉의 주체개념 연구:상상적 기표에서 실재의 틈입까지", 미학.예술학연구, 제26집, pp.131-132, 2007

Cited by

  1. A Delphi analysis on green performance evaluation indices for ports in China vol.44, pp.5, 2017, https://doi.org/10.1080/03088839.2017.1327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