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농촌 마을과 주택의 통합적 접근에 의한 농촌주택 조사체계 정립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urvey System of a Rural Housing through the Integrated Approaching on Rural Village and Housing

  • 배웅규 (중앙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 ;
  • 김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 ;
  • 정동섭 (호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
  • 윤용우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도시설계전공)
  • Bae, Woong-Kyoo (Department of Urban Design and Studies, Chung-Ang University) ;
  • Kim, Owen (Urban Design Lab, Department of Urban Design and Studies, Chung-Ang University) ;
  • Jeong, Dong-Seop (Department of Architecture, Hoseo University) ;
  • Yun, Yong-Woo (Candidate in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4.02.12
  • 심사 : 2014.03.11
  • 발행 : 2014.03.30

초록

This study intends to establish a system to investigate and analyze various impacting factors to Rural Housings such as the relationship of characteristics of Rural Housings located in a Rural Village to the Village and a Unit Housing, to the External and Internal Spaces inside the Unit Housing and the Village, and to Living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and Space from an integrated point of 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argely summarized as following four kinds. Rural Housing Survey System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three stages, and they are a Preliminary Survey, Basic Survey and In-depth Survey. Along with these, the scope of the survey contents can be divided into a survey result by a unit of village, of land, of housing, and of resident's opinion survey. Secondly, the surveys by village unit are on location properties, Village Identity, Street Network, Land Use, Landscape Features and Public Facilities, and consist of Literature, Discussion and Field Survey. Thirdly, the land Unit Surveys are on a Driveway, Gate Location, Housing Placement, Outer Space Design in a Yard and Outer Space Use Characteristics, and consist of Questionnaire and Field Surveys. For the fourth, the Housing Unit Surveys are on an Internal Space Design and Placement, and consist of Questionnaire and Field Surveys. Finally, the Resident Questionnaire Survey consisted of Entire Discussion Survey and a Household one, and then the Entire Survey was on the Village's History, Village's Characteristics, Cultivation Characteristics and Community Activities while an individual one was on Main Living Characteristics, Satisfaction and Utilization Characteristic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영찬 외, 농어촌주택 석면슬레이트 지붕재료 사용실태 및 거주자 인식도 조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제26권 제11호, 2010, pp. 363-370.
  2. 김 원 외, 농촌마을의 주택조사사례분석 및 시사점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013.
  3. 김 원 외, 농촌마을 주택 건조환경 실태조사의 체계정립 방안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2013.
  4. (사)문화도시연구소, 남면농촌형 임대주택건설을 위한 저소득층 주거실태조사 연구 용역, 강원도 인제군, 2011.
  5. (사)문화도시연구소, 도시민 유치를 위한 기존 농촌마을 정비방안 연구, 농림부, 2008.
  6. (사)문화도시연구소, 상그린권역 마을단위경관계획 연구, 한국농촌공사, 2007.
  7. 성주인 외, 지역유형 구분과 농촌지역의 유형별 특성, 농촌경제, 제26권 제2호, 2003. pp. 1-22.
  8. 엄수원, 한국농촌지역의 유형화와 공간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1997.
  9. 이상학, 마을단위 농촌지역의 유형구분, 농촌경제연구, 제36권 제2호, 1995. pp. 2129-2143.
  10. 임석회 외, 농촌지역의 유형화와 특성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 제11권 제2호, 2005. pp. 211-232.
  11. 임승빈 외, 생태.문화자원에 기초한 농촌마을 유형 구분 및 문제점 분석, 농촌계획, 제8권 제1호, 2002. pp. 77-84.
  12. 장성준, 농촌지역의 마을과 주택의 유형과 진화 : 13개 마을사례에 대한 1980년대와 2010년 현황비교,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제26권 제7호, 2010, pp. 63-74.
  13. 장택주, 농촌지역의 유형별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제14권 제4호, 1998, pp. 69-80.
  14. 정건채 외, 마을유형에서 본 농촌주택의 구조유형과 주공간 형식의 변화양상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제19권 제2호, 2003, pp. 11-18.

피인용 문헌

  1. An Analysis of Residential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by Rural Area Types vol.20, pp.3, 2014, https://doi.org/10.7851/ksrp.2014.20.3.165